코로나19(COVID-19)와 미래 변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로나19(COVID-19)와 미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코로나19 현황
2, 코로나19와 평생교육
3, 드라이브-인 공연 (Drive-in)
4, 코로나19와 스마트 워크
5, 비대면 1인 여가의 발달
6, 코로나19와 스트레스
7, 코로나19와 밀키트 산업
8, 세계 경제, 인플레이션 상황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속하게 전환된 디지털 생활을 직장·학업, 여가·취미, 소비·쇼핑, 헬스·케어 등에서 1인 여가에 대한 요구가 보편화되고 있다. 여가 스포츠 차원에서도 요즘 가장 유행하고 있는 홈트(Home Training)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개인이 직접 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거나, Zoom과 같은 실시간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운동 지도, 악기 지도, 미술 지도 등 다양한 여가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코로나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혼자 하는 여가의 가능성을 살린다면, 아이디어 많은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획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6, 코로나19와 스트레스
질병관리청은 지난 4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해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기간 신체활동, 아침결식, 정신건강(우울감·스트레스), 당뇨병 관리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개인위생, 비만, 고혈압 진단 경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개선됐다가 2021년에는 소폭 악화됐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스트레스는 심리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지목되는 대표적인 변인이며,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구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스원(stressor)을 경험하게 된다(김보라 등, 2019; 심지은, 안하얀, 김지혜, 2011; 이동훈 등, 2018; Wilard, Long, & Phipps, 2016). Lazarus와 Folkman(1984)은 스트레스-대처-적응 이론(Stress-Coping-Adaptation Model)에서 스트레스를 환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으로 보았으며,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따라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의 수준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심지은 등, 2011; 조미연, 2020).
이 모델에 따르면 사람들이 사건을 자신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지각하게 되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과 전략을 평가하고 선택하는 이차적인 과정을 거친 후에 특정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조미연, 2020). 또한 Tedeschi와 Calhoun(2004)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따르면 심리적 트라우마는 사건의 종류보다는 개인의 주관적 지각을 중심적으로 보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있어서 위기라고 지각되는 사건이라면 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고 볼 수 있다(김보라 등, 2019; 김은혜, 2018;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Robinson & Larson, 2010). 실제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신체적 질환, 실업, 재정적인 문제, 이혼 같은 가족 문제, 대인관계 문제 등과 같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사건을 개인이 위협적으로 지각하고 반추나 사고의 억압을 통해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ssari & Lankarani, 2016a; Cameron et al., 2010;Ruscio et al., 2015; van den Berg et al., 2017).
7, 코로나19와 밀키트 산업
2022년에도 간편식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가 뚜렷하다. 지난해 2587억 원에 달한 시장 규모가 올해에는 3400억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밀키트나 간편식에 대한 관심이 낮았던 미국에서도 증가세가 뚜렷하다. 소매업 시장분석업체 \'코어사이트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밀 키트 시장은 지난 2019년 34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58억 달러 수준으로, 2021년 68억 달러 남짓으로 나타났다. 당초 식품업계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줄고 거리두기가 해제되면 밀키트 판매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다른 나라는 그렇다 치더라도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국내 밀키트 1위 기업 프레시지의 올해 1~5월 밀키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2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HY(구 한국야쿠르트)의 지난 5월 밀 키트 판매량도 한 달 전보다 18.6% 늘어난 5만 여개를 기록했으며 당연히 매출도 22% 증가하였다. 미국은 2022년에는 2021년에 비해 밀키트 시장이 과열 경쟁 등으로 위축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증가세를 계속 유지한 데에는 물가와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물가 상승세의 영향으로 외식비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등에서 장을 보려 해도 식자재 값이 만만치 않자 끼니 당 비용이 저렴한 밀키트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식품 가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10.04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