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음 <그림>은 3개 공급지(A, B, C)의 공급량(톤)과 3개 수요지(‘갑’, ‘을’, ‘병’)의 수요량(톤), 그리고 각 공급지로부터 각 수요지까지 1톤의 원료를 수송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만 원)을 나타낸 자료이다. 각 수요지별로 수요가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패널티’가 서로 다른데, ‘갑’의 미충족 수요 1톤은 150만 원, ‘을’의 미충족 수요 1톤은 200만 원, ‘병’의 미충족 수요 1톤은 180만 원의 ‘패널티’가 발생한다. 이때, 총수송비용과 총패널티의 합을 최소화하는 수송전략을 풀이과정과 함께 제시하시오. 또한 최적 수송전략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총수송비용과 총패널티를 구하고 둘의 합까지 모두 제시하시오. (30점)
본문내용
에서 110톤을 공급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병의 경우에는 공급받을 수 있는 곳이 C인데, C는 이미 갑에게 20톤, 을에게 110톤을 공급하는 것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200톤 중 70톤만 공급이 가능하여 40톤이 미충족 되는 것이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보면, 갑은 총 180톤에서 A에 160톤, C에 20톤, 을은 총 230톤 중 B에 120톤, C에 110톤, 병은 110톤 중 C에 70톤을 공급받으며, 대신에 병은 40톤을 미충족되어서 페널티를 받으며, 이것이 총수송비용과 페널티의 합을 최소활 할 수 있는 수송전략인 것이다.
이 전략에 따라서 총수송비용은 160*25만원+20*36만원+120*22만원+110*27만원+70*25=12,080만원이 되는 것이다. 또한 페널티는 미충족 1톤당 180만원이기
마지막으로 병의 경우에는 공급받을 수 있는 곳이 C인데, C는 이미 갑에게 20톤, 을에게 110톤을 공급하는 것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200톤 중 70톤만 공급이 가능하여 40톤이 미충족 되는 것이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보면, 갑은 총 180톤에서 A에 160톤, C에 20톤, 을은 총 230톤 중 B에 120톤, C에 110톤, 병은 110톤 중 C에 70톤을 공급받으며, 대신에 병은 40톤을 미충족되어서 페널티를 받으며, 이것이 총수송비용과 페널티의 합을 최소활 할 수 있는 수송전략인 것이다.
이 전략에 따라서 총수송비용은 160*25만원+20*36만원+120*22만원+110*27만원+70*25=12,080만원이 되는 것이다. 또한 페널티는 미충족 1톤당 180만원이기
추천자료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E형
2011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SCM과 APS의 통합)
2014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SCM과 APS의 통합)
2015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Marketplace의 형태, 기업경쟁)
2016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업간 전자적 협력)
2017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재고관리 방식)
2019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SCM과 APS)
[방통대 경영학과 3-2 중간과제물] 물류관리
2021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빈칸에 적절한 단어를 추가하여 문장을 완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