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보고서
1) 병태생리
2) 원인 및 임상적 증상
3) 진단적 검사
(1) 영상의학적 소견
(2) 진단적 검사적 소견
4) 치료적 중재술
5) 중재술 관련 간호
2. Case Study 보고서
1) 진단명
2) 일반정보
3) 신체검진
4) 임상검사 소견
5) 간호과정(기도개방유지불능/피부손상위험성)
3. 참고문헌
1) 병태생리
2) 원인 및 임상적 증상
3) 진단적 검사
(1) 영상의학적 소견
(2) 진단적 검사적 소견
4) 치료적 중재술
5) 중재술 관련 간호
2. Case Study 보고서
1) 진단명
2) 일반정보
3) 신체검진
4) 임상검사 소견
5) 간호과정(기도개방유지불능/피부손상위험성)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강, 비강, 기관지 등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호흡수와 호흡의 깊이, 흉곽 운동을 사정한다. 청색증과 빈호흡과 같은 호흡부전의 징후를 모니터 한다.
청진상 수포음, 비정상 호흡음,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된 부위를 확인한다.
신체 상부를 올리고 체위변경을 자주 수행한다.
심호흡 운동을 하도록 지지한다. 필요시 앉은 자세에서 가슴을 지지하고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준다.
금기 사항이 아니면 차가운 물보다는 따뜻한 온도의 수분을 1일 2,5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한다.
분무요법과 페활량계를 이용한 호흡운동, 간헐적 양압호흡법, 흉부 진동법, 체위배액과 같은 호흡물리 요법을 수행한다.
정맥 수액요법과 산소요법을 수행하고 적절한 실내의 습도를 유지한다.
흉부 X-선 사진 촬영결과, 동맥혈 가스분석, 산소포화도를 모니터 한다.
pulse oximetery monitoring 한다.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Spo2 수치를 한시간 간격으로 monitoring을 한다.
semi fowler\'s와 fowler\'s position 자세를 취하고 있다.
기도개방을 위해 보호자가 수시로 기관절개관 suction을 시행한다. (기관절개관 흡인간호)
기관절개관 개방성 및 고정 확인한다.
ABGA 검사 실시한다.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사지피부 순환 사정한다.
참고문헌
1. 김근순 외. (2016), 성인간호학I. 경기도: 수문사. p622~628.
2. 질병관리본부KCDC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2. Case Study 보고서★
【Ⅱ】Case Study 보고서
▣ 진단명: Pneumonia
▣ 일반정보
성별/나이 : M/76
직업 : 모름
발병 이전 건강상태 : fever(38.5), dyspnea 증상이 있어 본원에 내원하였고, SpO2 85%check되어 O2 5L 사용후 90~92%, r/o aspiration pneumonia 진단받음.
입원일 : 20XX/XX/XX
결혼여부 : 기혼
발병이후 현재까지의 치료방법 : 4월 재원당시 aspiration pneumonia develop 되었고 당시 sputum culture 상 MRSA 지속 동정된 상태로 TAZO/VANCO 사용하여 manage 하였고 sputum expectoration 충분하지 않아 tracheostomy 시행함.
환자 보존적 치료 위해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주증상(chief complaints) : cough, dyspnea, yellow sputum, general weakness,
현병력(present illness) : pneumonia로 OO병원 치료 후 보존적 치료위해 본원 adm함
과거병력(past history) : known Alzheimer\'s ds, osteoporosis, 대퇴골 경부 폐쇄성 골절 s/p 내고정수술, DM(2005), HTN, Tb
가족력(family history) : 부, 모, 형제 및 자매 모두 없음
▣ 신체검진
신장 : 측정불가 체중 : 측정불가
활력징후 : BP 130/60, CT 38.0, P 81, R 32
의식상태 : 혼미 영양상태 : 나쁨 (L-tube 18Fr 경관급식 1800kcal)
HEENT : light reflex( / ), lymph node enlargement( / ), thyroid enlargement( )
chest : 통증 측정불가 abdomen :
피부 : 피부상태 - 흉터, 상처, 욕창(Lt, Rt foot heel grade2) / 피부색깔 - 정상
수면상태: 수면시간 약4시간/일
배변: 1회/일 정상 / 배뇨: 배뇨곤란 (foley 18Fr)
일반적인 외모 : 양호
지남력 : 무, 의식이 혼미하며 의사소통이 불가능함
호흡기계: 가래가 많으며, 기관절개관(t-tube)
소화기계: L-tube 18Fr insert
순환기계: 무
신경계: 동공크기 - 대칭 / 시력 : 시력장애 무 / 청각 : 청력장애 무
▣ 임상검사 소견
CBC & Differential Count
구분
임상결과
임상적 의미
정상범위
WBC
18.30
WBC는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이 있을 경우나 면역력과 관련
-증가 : 백혈병, 세균성/급성 감염, 다혈구혈증
-감소 : 재생 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약물중독, 방사선 과다노출, 무과립구 증가증
4~10×10^3/㎕
RBC
2.78
RBC는 빈혈 혹은 출혈문제와 관련
-증가 : 탈수, 신부전, 진성 적혈구 증가증, 이차성 적혈구 증가증, 급성중독, 심장과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저산소증, 화상 후 혈액농축, 높은 고도
-감소 : 모든빈혈, 백혈병, 출혈후 전혈량이 정상으로 돌아왔을때, 골수기능 부전증
4.2~6×10^6/㎕
HGB
8.5
hemoglobin은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 하는 기능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를 운반하는 기능을 함
-증가 :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폐색성질환, 고지대에 사는 주민들, 울혈성심부전
-감소 : 빈혈, 수액과다, 임신, 중증 및 장기빈혈
13.5~17.5g/dL
HCT
25.2
hematocrit은 whole blood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증가 :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심한화상, shock
-감소 : 빈혈, 다량의 급성 출혈, 간경변증, 적혈구 파괴
40~52%
MCV
90.6
-증가: 대적혈구성 빈혈
-감소: 소적혈구성 빈혈
82~92fL
MCH
30.6
-증가: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27~31pg
MCHC
33.7
-증가: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32~36g/dL
RDW
14.2
12.2~14.6%
PLT
223
증가 : 비장절제술, 원발성 혈소판 증가증, 만성과립구성 백혈병출혈, 감염성질환
-감소 : 골수에서의 생산저하, 빈혈, 비장 기능 항진증, 비타민 B12와 엽산결핍
120~450×10^3/㎕
MPV
9.8
평균적혈구용적으로 혈소판 부피의 평균값이며 감소시 혈소판 하나하나의 크기가 감소
호흡수와 호흡의 깊이, 흉곽 운동을 사정한다. 청색증과 빈호흡과 같은 호흡부전의 징후를 모니터 한다.
청진상 수포음, 비정상 호흡음,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된 부위를 확인한다.
신체 상부를 올리고 체위변경을 자주 수행한다.
심호흡 운동을 하도록 지지한다. 필요시 앉은 자세에서 가슴을 지지하고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준다.
금기 사항이 아니면 차가운 물보다는 따뜻한 온도의 수분을 1일 2,5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한다.
분무요법과 페활량계를 이용한 호흡운동, 간헐적 양압호흡법, 흉부 진동법, 체위배액과 같은 호흡물리 요법을 수행한다.
정맥 수액요법과 산소요법을 수행하고 적절한 실내의 습도를 유지한다.
흉부 X-선 사진 촬영결과, 동맥혈 가스분석, 산소포화도를 모니터 한다.
pulse oximetery monitoring 한다.
호흡수와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Spo2 수치를 한시간 간격으로 monitoring을 한다.
semi fowler\'s와 fowler\'s position 자세를 취하고 있다.
기도개방을 위해 보호자가 수시로 기관절개관 suction을 시행한다. (기관절개관 흡인간호)
기관절개관 개방성 및 고정 확인한다.
ABGA 검사 실시한다.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사지피부 순환 사정한다.
참고문헌
1. 김근순 외. (2016), 성인간호학I. 경기도: 수문사. p622~628.
2. 질병관리본부KCDC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2. Case Study 보고서★
【Ⅱ】Case Study 보고서
▣ 진단명: Pneumonia
▣ 일반정보
성별/나이 : M/76
직업 : 모름
발병 이전 건강상태 : fever(38.5), dyspnea 증상이 있어 본원에 내원하였고, SpO2 85%check되어 O2 5L 사용후 90~92%, r/o aspiration pneumonia 진단받음.
입원일 : 20XX/XX/XX
결혼여부 : 기혼
발병이후 현재까지의 치료방법 : 4월 재원당시 aspiration pneumonia develop 되었고 당시 sputum culture 상 MRSA 지속 동정된 상태로 TAZO/VANCO 사용하여 manage 하였고 sputum expectoration 충분하지 않아 tracheostomy 시행함.
환자 보존적 치료 위해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주증상(chief complaints) : cough, dyspnea, yellow sputum, general weakness,
현병력(present illness) : pneumonia로 OO병원 치료 후 보존적 치료위해 본원 adm함
과거병력(past history) : known Alzheimer\'s ds, osteoporosis, 대퇴골 경부 폐쇄성 골절 s/p 내고정수술, DM(2005), HTN, Tb
가족력(family history) : 부, 모, 형제 및 자매 모두 없음
▣ 신체검진
신장 : 측정불가 체중 : 측정불가
활력징후 : BP 130/60, CT 38.0, P 81, R 32
의식상태 : 혼미 영양상태 : 나쁨 (L-tube 18Fr 경관급식 1800kcal)
HEENT : light reflex( / ), lymph node enlargement( / ), thyroid enlargement( )
chest : 통증 측정불가 abdomen :
피부 : 피부상태 - 흉터, 상처, 욕창(Lt, Rt foot heel grade2) / 피부색깔 - 정상
수면상태: 수면시간 약4시간/일
배변: 1회/일 정상 / 배뇨: 배뇨곤란 (foley 18Fr)
일반적인 외모 : 양호
지남력 : 무, 의식이 혼미하며 의사소통이 불가능함
호흡기계: 가래가 많으며, 기관절개관(t-tube)
소화기계: L-tube 18Fr insert
순환기계: 무
신경계: 동공크기 - 대칭 / 시력 : 시력장애 무 / 청각 : 청력장애 무
▣ 임상검사 소견
CBC & Differential Count
구분
임상결과
임상적 의미
정상범위
WBC
18.30
WBC는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이 있을 경우나 면역력과 관련
-증가 : 백혈병, 세균성/급성 감염, 다혈구혈증
-감소 : 재생 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약물중독, 방사선 과다노출, 무과립구 증가증
4~10×10^3/㎕
RBC
2.78
RBC는 빈혈 혹은 출혈문제와 관련
-증가 : 탈수, 신부전, 진성 적혈구 증가증, 이차성 적혈구 증가증, 급성중독, 심장과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저산소증, 화상 후 혈액농축, 높은 고도
-감소 : 모든빈혈, 백혈병, 출혈후 전혈량이 정상으로 돌아왔을때, 골수기능 부전증
4.2~6×10^6/㎕
HGB
8.5
hemoglobin은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 하는 기능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를 운반하는 기능을 함
-증가 :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폐색성질환, 고지대에 사는 주민들, 울혈성심부전
-감소 : 빈혈, 수액과다, 임신, 중증 및 장기빈혈
13.5~17.5g/dL
HCT
25.2
hematocrit은 whole blood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증가 :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심한화상, shock
-감소 : 빈혈, 다량의 급성 출혈, 간경변증, 적혈구 파괴
40~52%
MCV
90.6
-증가: 대적혈구성 빈혈
-감소: 소적혈구성 빈혈
82~92fL
MCH
30.6
-증가: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27~31pg
MCHC
33.7
-증가: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32~36g/dL
RDW
14.2
12.2~14.6%
PLT
223
증가 : 비장절제술, 원발성 혈소판 증가증, 만성과립구성 백혈병출혈, 감염성질환
-감소 : 골수에서의 생산저하, 빈혈, 비장 기능 항진증, 비타민 B12와 엽산결핍
120~450×10^3/㎕
MPV
9.8
평균적혈구용적으로 혈소판 부피의 평균값이며 감소시 혈소판 하나하나의 크기가 감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