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배경
1)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정학적 이해관계 충돌
2) 우크라이나의 NATO가입 반대
3) 돈바스 내전의 발발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서강 세계의 러시아 제재
3. 서방 세계의 제재조치에 대한 러시아의 역제재
4. 우크라이나의 반격 개시,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에 병합
5.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 제기
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국제정치적 시사점
1) 러시아는 ‘외교적 관여’ 대신 ‘군사력 투사’선택, 국제적 평판 저하
2) 러시아 푸틴 체제의 전도와 국내정치적 안정성에도 상당한 불확실 초래 가능성
3) 유럽·대서양 지역에서 러시아와 서방 세계간의 갈등 및 긴장 고조
4) 미국의 외교·안보적 관심의 우선순위가 인도·태평양에서 유럽·대서양 지역으로 이동
5)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 · 평화 유지의 어려움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유인의 강화
1)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정학적 이해관계 충돌
2) 우크라이나의 NATO가입 반대
3) 돈바스 내전의 발발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서강 세계의 러시아 제재
3. 서방 세계의 제재조치에 대한 러시아의 역제재
4. 우크라이나의 반격 개시,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에 병합
5.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 제기
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국제정치적 시사점
1) 러시아는 ‘외교적 관여’ 대신 ‘군사력 투사’선택, 국제적 평판 저하
2) 러시아 푸틴 체제의 전도와 국내정치적 안정성에도 상당한 불확실 초래 가능성
3) 유럽·대서양 지역에서 러시아와 서방 세계간의 갈등 및 긴장 고조
4) 미국의 외교·안보적 관심의 우선순위가 인도·태평양에서 유럽·대서양 지역으로 이동
5)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 · 평화 유지의 어려움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유인의 강화
본문내용
크게 증가시키면서 당분간 강대국 경쟁의 강화와 미국 및 서방 대 중-러로 대변되는 대립적 세력권 간의 갈등과 대립을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4) 미국의 외교·안보적 관심의 우선순위가 인도·태평양에서 유럽·대서양 지역으로 이동
바이든 정부는 중국을 미국에 대한 ‘유일한 도전국’으로 인식하고 對중국 포위·압박 정책을 입안하였으나, 이번 전쟁을 통해 러시아가 유럽·대서양 지역 안보의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상대임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시간 내에 해결될 수 없는 사안으로 미국의 전략적 관심과 우선순위에서 유럽·대서양 지역과 러시아에 대한 고려의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5)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 · 평화 유지의 어려움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유인의 강화
북한이 미국과 한국의 대화 제안에 호응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유럽·대서양 내 첨예한 안보 현안의 대두로 한반도 문제에 대한 관심 저하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을 통해 힘에 기초한 국제관계의 냉혹한 현실을 지켜보면서 핵과 미사일 등 전략적 억지력의 유지에 대한 필요성 재확인하였다. 또한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군사력을 배치하고 단독·연합 군사훈련을 진행하다 급기야 전면적 침공을 단행하였다. 바로 이러한 사건이 향후 북한의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한 비난과 맞대응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으로서는 단기적으로 한반도 비핵화 · 평화 프로세스의 정체 국면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최소화하고,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이 첨예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미국의 외교·안보적 관심의 우선순위가 인도·태평양에서 유럽·대서양 지역으로 이동
바이든 정부는 중국을 미국에 대한 ‘유일한 도전국’으로 인식하고 對중국 포위·압박 정책을 입안하였으나, 이번 전쟁을 통해 러시아가 유럽·대서양 지역 안보의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상대임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시간 내에 해결될 수 없는 사안으로 미국의 전략적 관심과 우선순위에서 유럽·대서양 지역과 러시아에 대한 고려의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5) 미국의 한반도 비핵화 · 평화 유지의 어려움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유인의 강화
북한이 미국과 한국의 대화 제안에 호응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유럽·대서양 내 첨예한 안보 현안의 대두로 한반도 문제에 대한 관심 저하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을 통해 힘에 기초한 국제관계의 냉혹한 현실을 지켜보면서 핵과 미사일 등 전략적 억지력의 유지에 대한 필요성 재확인하였다. 또한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군사력을 배치하고 단독·연합 군사훈련을 진행하다 급기야 전면적 침공을 단행하였다. 바로 이러한 사건이 향후 북한의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한 비난과 맞대응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으로서는 단기적으로 한반도 비핵화 · 평화 프로세스의 정체 국면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최소화하고,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이 첨예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