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및 문제제기
2. 학벌주의의 개념
3. 학벌주의의 원인
4. 학벌주의의 문제점
5. 대안 제시 및 결론
1) 학벌주의 타파의 이유
2)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수단 및 도구
3) 학벌주의 타파에 효과적인 이념 혹은 사상
4) 결론
6. 참고문헌 및 출처
2. 학벌주의의 개념
3. 학벌주의의 원인
4. 학벌주의의 문제점
5. 대안 제시 및 결론
1) 학벌주의 타파의 이유
2)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수단 및 도구
3) 학벌주의 타파에 효과적인 이념 혹은 사상
4) 결론
6.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순수학문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기관이 되어야 하며, 실용학문분야는 특수교육기관으로 분리시켜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교육과 실업교육을 지원하고 활성화해서 대학으로 몰리는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분산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나가야 한다.
④ 사회적 불평등지수를 개선해나가야 한다. 이와 더불어 무엇에 의해 생기는 불평등이든 모든 종류의 불평등의 정도를 완화해나가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권력과 부의 분배의 불평등의 정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은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의 하나이다. 이런 현실이 개선되지 않을 때에는 교육과정을 다원화시키고 대학을 평준화시킨다 하더라도 사회적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3) 학벌주의 타파에 효과적인 이념 혹은 사상
수단 및 도구가 문제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나 그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것이 사람들 스스로의 사고다. 즉, 사람들의 사고가 변하지 않으면 수단 및 도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큰 효과를 일으키거나 당장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수단 및 도구에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는 최적의 사상은 무엇일까? 그 해답은 북유럽 국가들의 교육에 대한 기본적 사상에서 찾았다. 북유럽 국가들의 교육에 대한 기본적 사상은 두 가지에 기초한다. 하나는 평등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자유이다. 즉 평등을 기반으로 한 교육방침이란 인종과 사회적 출신 성분에 관계없이 성장기에 있는 모든 어린이와 젊은이는 동등하게 교육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부의 차이, 인종의 차이 그리고 나이의 차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자유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자유교육이란 개개인의 다양한 개성에 따라 교육을 자유롭게 선택, 학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스스로가 배우고자 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배울 수 있고 강압과 통제가 아닌 열린 교육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북유럽 국가들의 선진교육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기본사상이 큰 밑거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둘 중에서 평등보다도 자유라는 것에 더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강압과 통제가 아닌 열린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현실과는 현저히 대비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것은 결국 국민들의 기본 사고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박혀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학벌타파를 위한 대안은 수 없이 많고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일시적인 대책에 지나지 않고 장기적인 계획이 실천되게 하기 위해서는 교육기본사상을 제대로 국민들에게 뿌리 깊게 정착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4) 결론
공정한 사회건설을 위한 밑거름은 평등한 교육기회의 부여, 그리고 사회에 만연해 있는 학벌주의의 타파에서 시작된다고 본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학벌주의의 산실인 대학의 폐해를 없애야 하고 더 나아가 현재 좋은 롤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이나 동유럽국가중 핀란드의 경우처럼 대학을 평준화하고 동시에 대학의 질을 높여야 한다. 또한, 여러 대안들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 가장 기본중의 기본인 교육사상을 국민들 뇌리에 심어둘 필요가 있다. 교육이념 및 사상이 효과적인 제도, 수단 및 도구와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비로소 우리의 교육은 제 갈 길을 찾게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학벌주의 타파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들이 바라는 진정한 공정한 사회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6. 참고문헌 및 출처
학벌없는 사회, 어떻게 가능한가
정영섭저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교보문고 정치/사회 김동훈저
웹사이트 : 위키페디아
④ 사회적 불평등지수를 개선해나가야 한다. 이와 더불어 무엇에 의해 생기는 불평등이든 모든 종류의 불평등의 정도를 완화해나가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권력과 부의 분배의 불평등의 정도가 지나치게 크다는 것은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의 하나이다. 이런 현실이 개선되지 않을 때에는 교육과정을 다원화시키고 대학을 평준화시킨다 하더라도 사회적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3) 학벌주의 타파에 효과적인 이념 혹은 사상
수단 및 도구가 문제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나 그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것이 사람들 스스로의 사고다. 즉, 사람들의 사고가 변하지 않으면 수단 및 도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큰 효과를 일으키거나 당장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학벌주의 타파를 위한 수단 및 도구에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는 최적의 사상은 무엇일까? 그 해답은 북유럽 국가들의 교육에 대한 기본적 사상에서 찾았다. 북유럽 국가들의 교육에 대한 기본적 사상은 두 가지에 기초한다. 하나는 평등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자유이다. 즉 평등을 기반으로 한 교육방침이란 인종과 사회적 출신 성분에 관계없이 성장기에 있는 모든 어린이와 젊은이는 동등하게 교육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부의 차이, 인종의 차이 그리고 나이의 차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자유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자유교육이란 개개인의 다양한 개성에 따라 교육을 자유롭게 선택, 학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스스로가 배우고자 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배울 수 있고 강압과 통제가 아닌 열린 교육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북유럽 국가들의 선진교육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기본사상이 큰 밑거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둘 중에서 평등보다도 자유라는 것에 더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강압과 통제가 아닌 열린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현실과는 현저히 대비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것은 결국 국민들의 기본 사고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박혀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학벌타파를 위한 대안은 수 없이 많고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다. 다만, 일시적인 대책에 지나지 않고 장기적인 계획이 실천되게 하기 위해서는 교육기본사상을 제대로 국민들에게 뿌리 깊게 정착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4) 결론
공정한 사회건설을 위한 밑거름은 평등한 교육기회의 부여, 그리고 사회에 만연해 있는 학벌주의의 타파에서 시작된다고 본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학벌주의의 산실인 대학의 폐해를 없애야 하고 더 나아가 현재 좋은 롤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이나 동유럽국가중 핀란드의 경우처럼 대학을 평준화하고 동시에 대학의 질을 높여야 한다. 또한, 여러 대안들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 가장 기본중의 기본인 교육사상을 국민들 뇌리에 심어둘 필요가 있다. 교육이념 및 사상이 효과적인 제도, 수단 및 도구와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비로소 우리의 교육은 제 갈 길을 찾게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학벌주의 타파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들이 바라는 진정한 공정한 사회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6. 참고문헌 및 출처
학벌없는 사회, 어떻게 가능한가
정영섭저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교보문고 정치/사회 김동훈저
웹사이트 : 위키페디아
추천자료
학벌주의의 극복방안
학벌주의, 학력주의에 관한 조사
[학벌][학력][학벌주의][학력주의][입시위주교육]학벌과 학력이 갖는 사회적 의미, 학벌주의...
[학벌주의][학력주의][학벌][학력][학벌주의극복][학력주의극복]학벌과 학력 그리고 학교, 학...
[학력주의][학벌주의][학력학벌주의]학력학벌주의의 성립, 학력학벌주의의 원인, 배경과 보수...
학벌주의.학력주의의 개념, 학벌에 집착하는 학부모가 학벌주의.학력주의가 미치는 영향, 학...
[학벌주의][학력주의][학벌][학력]학벌과 학력 그리고 학교, 학벌주의(학력주의) 연줄사회와 ...
[학벌][학력][학벌주의][학력주의][학벌주의와 학력주의의 타파]학벌과 학력의 모순적 사회, ...
학벌주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학벌주의] 학벌주의의 원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