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카뮈의 <<이방인>>과 아니 에르노의 <<한 여자>>
2. 계층 이탈과 부끄러움
3. 새로운 모녀관계, 정전을 깨부수기
1. 카뮈의 <<이방인>>과 아니 에르노의 <<한 여자>>
2. 계층 이탈과 부끄러움
3. 새로운 모녀관계, 정전을 깨부수기
본문내용
한 계급의 전형이기도 한 여인으로서 어머니를 형상화한다.
자신을 통해 개인적인 내밀한 삶 속의 사회적 요소들을 밝혀내겠다는 포부가 글 속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 감정과 회한의 무게에 짓눌리는 법 없이 분석적이고 객관적이며 군더더기 없는 글을 쓰고자 한다. 그것은 때로 복잡한 심경이나 고통으로 어머니를 재정의 하는 과정을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삶을 통해 어머니의 삶 그리고 화자의 삶은 재조립되고 재정의 된다. 에르노의 글은 결론을 어머니의 세계로도, 자신의 세계로도 편입시키지 않는다. 두 세계를 그저 관조하면서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제3의 지대인 문학 아래 놓여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작품은 ‘문학적인 것’ 혹은 정전에 담긴 통념들에 대한 명백한 거부라고 할 수 있다.
에르노가 부끄러움을 벗어나기 위해 재정의 하고 재창조한 모녀 관계는 다시 작가에게 돌아와 그녀의 기반이 된다. 여기서 딸의 시선과 의지로 자신의 근원을 정의하고 어머니를 새로이 빚어낸다. 에르노는 부끄러워했던 자기 근원과 그런 부끄러움을 승화하는 작업으로 어머니와의 관계를 재창조한다. 그렇게 에르노의 작품은 ‘자전’을 새롭게 정의하며 문학의 전혀 색다른 지평을 선사한다.
자신을 통해 개인적인 내밀한 삶 속의 사회적 요소들을 밝혀내겠다는 포부가 글 속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 감정과 회한의 무게에 짓눌리는 법 없이 분석적이고 객관적이며 군더더기 없는 글을 쓰고자 한다. 그것은 때로 복잡한 심경이나 고통으로 어머니를 재정의 하는 과정을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삶을 통해 어머니의 삶 그리고 화자의 삶은 재조립되고 재정의 된다. 에르노의 글은 결론을 어머니의 세계로도, 자신의 세계로도 편입시키지 않는다. 두 세계를 그저 관조하면서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제3의 지대인 문학 아래 놓여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작품은 ‘문학적인 것’ 혹은 정전에 담긴 통념들에 대한 명백한 거부라고 할 수 있다.
에르노가 부끄러움을 벗어나기 위해 재정의 하고 재창조한 모녀 관계는 다시 작가에게 돌아와 그녀의 기반이 된다. 여기서 딸의 시선과 의지로 자신의 근원을 정의하고 어머니를 새로이 빚어낸다. 에르노는 부끄러워했던 자기 근원과 그런 부끄러움을 승화하는 작업으로 어머니와의 관계를 재창조한다. 그렇게 에르노의 작품은 ‘자전’을 새롭게 정의하며 문학의 전혀 색다른 지평을 선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