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사 인식-박정신(서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기독교사 인식-박정신(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필요가 있다
고 말한다. 그의 말마따나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는가 부정적으
로 작용하였는가에 상관없이 이 둘은 특수한 역사에서 각별하게 만나 깊게 물리고 엇물리는
역사를 연출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 생각을 덧붙이자면 기독교는 6·25전쟁
을 거치며 피폐해진 우리나라가 단기간에 지금과 같은 선진국으로 발전한 것은 기독교가 지
대한 공헌을 한 것 또한 작용했으리라 본다. 일제강점기 시절 때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이른
바 33인의 민족대표 가운데 16명이나 목사, 장로를 포함한 기독교계 사람들이었다는 점과
역대 대통령을 살펴봤을 때 10명중 이승만, 윤보선 등 다수의 대통령이 기독교신자 이었다
는 사실을 봤을 때도 얼마나 우리 사회에서 기독교가 미치는 영향이 큰 지 알 수 있다. 이
렇듯 우리나라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지대한 공헌을 한 것을 사람들은 암묵적으로 동의한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기에 우리나라에 있어서 기독교란 떼려야 뗄 수 없는, 선택이 아닌 필
수적이라 생각한다. 기독교 역사학자들이 말하는 가장 기독교적인 나라, 그리고 애국가에도
나와 있는 하나님이 보우하시는 나라, 그 나라가 바로 우리 대한민국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2.11.23
  • 저작시기201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