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스스로 연금을 적게 받겠다고 나서지 않는 한 실질적인 혜택은 없다. 연금 수령 시기와 금액을 통합하면 부실 규모만 커지고 정부의 지급 의무 범위는 확대될 뿐이다. 연금별 개혁 방안은 이미 제시된 바 있다. 국민연금과 사학연금은 \'더 내고 덜 받는다\'는 말 외에는 답이 없다. 동시에 선진국의 연금 등 펀드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무원과 군인연금은 기대(예상)연금액을 줄여 재정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보험료를 내는 신규 가입자와 현직 직원의 부담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한 신규 가입자를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역시 기여금을 어떤 방식으로 배분해야 할지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복잡한 사안은 행정편의로 접근하기 어렵다. 핵심 쟁점은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다.
추천자료
국민연금 이대로 괜찮은가?(재정위기 대처방안으로서의 연금통합)
[재무행정론] 한국의 기금제도
국민연금제도
[공무원연금제도]공무원연금제도의 개념, 연혁, 급여관리, 미국의 공무원연금제도 사례, 공무...
공무원 연금에대한 여러 의견 정리
(사회복지정책론)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제도 개요와 특성을 서술하고 개선과제를 3페이지 이내...
[사회복지정책론] 국민연금제도 분석
[특수직역연금, 특수연금]특수직역연금(특수연금)과 공무원연금, 특수직역연금(특수연금)과 ...
2014 공무원 연금 개혁안 정리 {공무원 연금제도, 공무원 연금제도 개편과 재정 현황, 공무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