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전쟁의 발단
3. 조선의 상황
4. 청나라와 러시아의 목표
5. 전쟁의 발발 및 결과
6. 평가
2. 전쟁의 발단
3. 조선의 상황
4. 청나라와 러시아의 목표
5. 전쟁의 발발 및 결과
6. 평가
본문내용
화약, 납 그리고 각종 군사 무기와 식량을 실은 배가 파괴되는 피해를 본 반면 조선군은 전사자 7명, 중상자 25명, 청군은 전사자 110명, 부상자 200명에 불과한 피해를 보며 조청 연합군이 대승을 거둔다.
6. 평가
1차 나선정벌 때 조선군은 7일 만에 적군을 패퇴시키고 1654년 6월 본국으로 개선했다. 이때 루스 차르국 소속인 카자크족은 조선 포수의 위력에 두려움을 떨었다고 전해진다. 2차 나선정벌 때 조선군은 10여 척의 배를 앞세워 공격해오는 러시아군에 총과 불화살로 맞서 싸우면서 대승을 거두었다. 전쟁 이후, 청과 러시아는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국경을 확정 짓는다. 어쨌든 2차에 걸친 나선정벌은 소규모 전투였으며 청나라의 요구로 어쩔 수 없이 전쟁을 치렀다는 점 그리고 조선이 나선정벌을 통해 얻은 이익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 큰 의미가 부여되지는 않는다. 전쟁 승리 이후 청군은 2차 정벌에 매우 많은 물자를 동원했던 관계로 무기고를 불려 피해를 만회하고자 했기 때문에 조선에 전리품을 주는 데 매우 인색했다. 나선정벌은 조선에 있어 불과 200년간의 평화 기간이 시작 이전 마지막 군대 실전 경험을 얻은 정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6. 평가
1차 나선정벌 때 조선군은 7일 만에 적군을 패퇴시키고 1654년 6월 본국으로 개선했다. 이때 루스 차르국 소속인 카자크족은 조선 포수의 위력에 두려움을 떨었다고 전해진다. 2차 나선정벌 때 조선군은 10여 척의 배를 앞세워 공격해오는 러시아군에 총과 불화살로 맞서 싸우면서 대승을 거두었다. 전쟁 이후, 청과 러시아는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국경을 확정 짓는다. 어쨌든 2차에 걸친 나선정벌은 소규모 전투였으며 청나라의 요구로 어쩔 수 없이 전쟁을 치렀다는 점 그리고 조선이 나선정벌을 통해 얻은 이익이 없었다는 점에 대해 큰 의미가 부여되지는 않는다. 전쟁 승리 이후 청군은 2차 정벌에 매우 많은 물자를 동원했던 관계로 무기고를 불려 피해를 만회하고자 했기 때문에 조선에 전리품을 주는 데 매우 인색했다. 나선정벌은 조선에 있어 불과 200년간의 평화 기간이 시작 이전 마지막 군대 실전 경험을 얻은 정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