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관계 법령
2. 관련 용어
3. 침수위 관련 분석방법
1)분석요소 및 분석방법 _외부환경
2)건축물 침수예상 모의실험(초고층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_내부환경
3)침수위 관련 분석 업체
4)침수위 관련 기관 및 홈페이지
4. 월파대응 기술 및 공법
1)방호벽
2)접이식 방파구조물 (가동식 차수벽)
3)방재호안 _부산시 남항 기본계획 참조
4)친수공간 확보
5)완충녹지 조성
6)차수벽과 트랜치 설치
5. 침수대응 기술 및 공법
1)차수판, 차수문
2)차수재
3)차수 관련 업체
6. 지하층 누수의 원인과 영향
1)누수원인
2)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3)물리적 요인에 의하 누수
4)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5)내방수 공법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7. 방수 공법
1)방수 종류
2)수밀성 확보 방안
3)자기치유 콘크리트, 방수재 종류 및 특징
4)방수재 관련 업체
9. 기타, 참조리스트
참조1) 부산 도시침수 재해정보지도
참조2) 제4차(‘21~’30) 전국 연안항 기본계획
참조3) “부산남항 수제선(방재호안) 정비공사” 공개
참조4)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홈페이지 참조
참조5) ㈜해양정보기술 홈페이지
참조6)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지하공간 침수대책 평가기준 연구
참조7)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대비한 월파방지용 접이식 방파구조물 개발
참조8) 해사신문(http://www.haesanews.com)
참조9) 건설전문위키-콘스쿨
참조10)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
1. 관계 법령
2. 관련 용어
3. 침수위 관련 분석방법
1)분석요소 및 분석방법 _외부환경
2)건축물 침수예상 모의실험(초고층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_내부환경
3)침수위 관련 분석 업체
4)침수위 관련 기관 및 홈페이지
4. 월파대응 기술 및 공법
1)방호벽
2)접이식 방파구조물 (가동식 차수벽)
3)방재호안 _부산시 남항 기본계획 참조
4)친수공간 확보
5)완충녹지 조성
6)차수벽과 트랜치 설치
5. 침수대응 기술 및 공법
1)차수판, 차수문
2)차수재
3)차수 관련 업체
6. 지하층 누수의 원인과 영향
1)누수원인
2)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3)물리적 요인에 의하 누수
4)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5)내방수 공법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7. 방수 공법
1)방수 종류
2)수밀성 확보 방안
3)자기치유 콘크리트, 방수재 종류 및 특징
4)방수재 관련 업체
9. 기타, 참조리스트
참조1) 부산 도시침수 재해정보지도
참조2) 제4차(‘21~’30) 전국 연안항 기본계획
참조3) “부산남항 수제선(방재호안) 정비공사” 공개
참조4)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홈페이지 참조
참조5) ㈜해양정보기술 홈페이지
참조6)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지하공간 침수대책 평가기준 연구
참조7)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대비한 월파방지용 접이식 방파구조물 개발
참조8) 해사신문(http://www.haesanews.com)
참조9) 건설전문위키-콘스쿨
참조10)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
본문내용
처:
02-861-8048
02-861-8049
한국안전차수판
연락처 :
02-861-9930
010-4822-4006
㈜정진이앤지
연락처:
041-356-7842
6. 지하층 누수의 원인과 영향
1)누수원인
- 구조체에 미치는 화학적, 물리적 영향에 의한 누수
- 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 기존 방수공법의 한계(내방수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2)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구분
피해성질
성능저하 요인과 현상
수질 및 토양성분
염해
바닷가의 지하수 및 토양 내 존재하는 염소 이온의 침투 -> 구조체 외측 철근 부식 위험성 증대, 일부 방수층(벤토나이트계, 시멘트계의 화학적 침식의 원인이 됨)
산, 알칼리, 유산염 피해
공장지역, 온천지역, 오염지역 등에서 지하수 및 토양 내 존재하는 산, 알칼리, 유산염의 침투-> 콘크리트 체적팽창, 침식으로 인한 균열 및 박리, 중성화 원인
유류피해
가솔린 등 각종 유류생산, 사용, 취급지역에서의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유류 성분의 침투-> 콘크리트 및 철근 부식, 일부 방수층(아스팔트계, 도막계, 시트계)의 용해의 원인 됨
공기질 성분
산화
지하주차장에서의 자동차 시동등의 영향으로 이산화탄소, 염화수소, 황화수소 발생-> 콘크리트 및 철근 부식, 일부 방수층(벤토나이트계, 시멘트계) 성능저하의 원인이 됨
- 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바닷가 근처의 지하수가 염분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 화학적 성질을
견딜 수 있는 방수재가 요구됨
3)물리적 요인에 의한 누수
구분
피해성질
성능저하 요인과 현상
온도 영향 피해
동결융해
구조체 외측의 동결융해 반복으로 콘크리트 균열 및 박리 발생
기동 영향 피해
온도응력 및 건조 수축
콘크리트 수화열과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 등 미세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지진 및 진동
지진, 차량 진동, 내부 설비 사동 등에 의한 균열등 미세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부등침하
장기간에 걸친 부등침하로 인한 균열 발생에 따른 침하 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수압 및 유속 피해
장기간에 걸친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수압작용, 유속의 변화에 의한 방수층 손상
4)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콘크리트는 재료 자체만으로도 우수한 수밀성을 지니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어치기부분, 신축 줄눈부분, 폼타이 구멍, 균열, 타 연결부분(접합) 및 결함 등이 존재하므로 완전한 수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움.
참조9) 건설전문위키-콘스쿨
참조10)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
5)내방수 공법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대부분의 지하공간에서의 방수는 구조체 안쪽에서 시멘트계 방수재를 사용하는 내방수를 주로 시공함.
-내방수 공법은 지하수의 침입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므로, 구조물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일부
허용하게 됨.
내방수
외방수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에서는 지하구조물의 벽면방수 경우
내방수 공법에서 외방수 공법으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음.
-현재 대지는 해안과 가깝고 조석간만의 수위가 변동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로 외방수층이
손상될수 있음.
7. 방수 공법
1)방수공법 종류
전면 방수
멤브레인 방수
아스팔트방수
아스팔트 방수 열공법
아스팔트 방수 상온공법(냉공법)
개량 아스팔트 방수 공법(자착식, 토치공법)
시트방수
합성고무계(가황고무계, 비가황고무계)
합성수지계(염화비닐수지계,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계)
도막방수
우레탄 고무계
고무 아스팔트계
클로로프렌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무기질계 방수
무기질+유기질계 방수
시멘트액체방수(모르터방수)
폴리머시멘트모르터방수
시멘트혼입폴리머계방수(수화응고형 도포방수)
규산질계 도포방수
벤토나이트 방수
선방수
실링방수
정형실링재(Gasket)
시트방수
합성고무계(가황고무계, 비가황고무계
합성수지계(염화비닐수지계,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계
고무아스팔트계
부정형실링재
실리콘계, 변성실리콘계
폴리설파이드계, 변경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계
지수공사
정형
판상, 테이프상, 봉상
부정형
주입공법, 충전공법, 도포공법
구체방수
기타방수 공법
복합방수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
우레탄 복합방수
지착식 복합방수
자착식 복합방수
자기치유콘크리트(방수)
무기질계
폴리머계
-시멘트액체방수
-시멘트액체방수: 방수재를 물에 타서 섞은 다음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섞어 방수처리하는 것
-규산질계 도포방수(침투성방수):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하거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목적으로 하는 방수법으로 침투성 도포방수제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발라 이과정에서 가용성 성분이 침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수밀화하는 동시에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줌. 방수효과가 크고 오래 지속되고 백화현상이나 이끼, 곰팡이가 끼지 않고 내약품성과 내마모성도 우수함.
규산질계 분말과 폴리머 액상을 합하여 모체에 도포한 후 모체 공극내에서 불용성염을 생성, 수밀화된 방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법.
물 또는 HY에멀전과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도포하면 강력한 접착력과 침투력으로 모체 깊숙이 침투하여 콘크리트내의 수분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팽창함으로서 공극을 수밀화하여 콘크리트 모체 자체를 방수층화하는 침투성 도포 방수제.
-시트방수: 합성고무계, 합성수지계, 고무아스팔트계등의 방수재를 적찹제로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함.
-구체방수공법: 콘크리트 자체의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구조체 자체에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구조물 전체를 방수화하는 공법.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 비닐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보강, 적층한 부분 절연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우레탄 복합방수: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자착식 복합방수: 초속경화형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층에 양방향 2중 HDPE필름과 고무화 아스팔트가 결합된 고성능 자착식 시트를 복합 시공하는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우레탄 도막방수(비노출): 폴리우레탄 수지와 정제TAR를 혼합한 주제와 가교제, 충전제 등을 주원료로하는 경화제로 이루지는 2성분형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를 바탕면에 수차례 칠하여 일정두께의 막을 형성하는 도막 방수공법.
02-861-8048
02-861-8049
한국안전차수판
연락처 :
02-861-9930
010-4822-4006
㈜정진이앤지
연락처:
041-356-7842
6. 지하층 누수의 원인과 영향
1)누수원인
- 구조체에 미치는 화학적, 물리적 영향에 의한 누수
- 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 기존 방수공법의 한계(내방수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2)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구분
피해성질
성능저하 요인과 현상
수질 및 토양성분
염해
바닷가의 지하수 및 토양 내 존재하는 염소 이온의 침투 -> 구조체 외측 철근 부식 위험성 증대, 일부 방수층(벤토나이트계, 시멘트계의 화학적 침식의 원인이 됨)
산, 알칼리, 유산염 피해
공장지역, 온천지역, 오염지역 등에서 지하수 및 토양 내 존재하는 산, 알칼리, 유산염의 침투-> 콘크리트 체적팽창, 침식으로 인한 균열 및 박리, 중성화 원인
유류피해
가솔린 등 각종 유류생산, 사용, 취급지역에서의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유류 성분의 침투-> 콘크리트 및 철근 부식, 일부 방수층(아스팔트계, 도막계, 시트계)의 용해의 원인 됨
공기질 성분
산화
지하주차장에서의 자동차 시동등의 영향으로 이산화탄소, 염화수소, 황화수소 발생-> 콘크리트 및 철근 부식, 일부 방수층(벤토나이트계, 시멘트계) 성능저하의 원인이 됨
- 화학적 요인에 의한 누수: 바닷가 근처의 지하수가 염분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 화학적 성질을
견딜 수 있는 방수재가 요구됨
3)물리적 요인에 의한 누수
구분
피해성질
성능저하 요인과 현상
온도 영향 피해
동결융해
구조체 외측의 동결융해 반복으로 콘크리트 균열 및 박리 발생
기동 영향 피해
온도응력 및 건조 수축
콘크리트 수화열과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 등 미세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지진 및 진동
지진, 차량 진동, 내부 설비 사동 등에 의한 균열등 미세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부등침하
장기간에 걸친 부등침하로 인한 균열 발생에 따른 침하 거동으로 방수층 손상
수압 및 유속 피해
장기간에 걸친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수압작용, 유속의 변화에 의한 방수층 손상
4)구조체 수밀성 확보의 한계에 따른 누수
-콘크리트는 재료 자체만으로도 우수한 수밀성을 지니고 있지만, 현장에서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어치기부분, 신축 줄눈부분, 폼타이 구멍, 균열, 타 연결부분(접합) 및 결함 등이 존재하므로 완전한 수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움.
참조9) 건설전문위키-콘스쿨
참조10)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
5)내방수 공법의 문제점에 따른 누수
-대부분의 지하공간에서의 방수는 구조체 안쪽에서 시멘트계 방수재를 사용하는 내방수를 주로 시공함.
-내방수 공법은 지하수의 침입을 직접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므로, 구조물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일부
허용하게 됨.
내방수
외방수
-국토부_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예방을 위한 방수설계 가이드라인에서는 지하구조물의 벽면방수 경우
내방수 공법에서 외방수 공법으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음.
-현재 대지는 해안과 가깝고 조석간만의 수위가 변동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로 외방수층이
손상될수 있음.
7. 방수 공법
1)방수공법 종류
전면 방수
멤브레인 방수
아스팔트방수
아스팔트 방수 열공법
아스팔트 방수 상온공법(냉공법)
개량 아스팔트 방수 공법(자착식, 토치공법)
시트방수
합성고무계(가황고무계, 비가황고무계)
합성수지계(염화비닐수지계,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계)
도막방수
우레탄 고무계
고무 아스팔트계
클로로프렌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무기질계 방수
무기질+유기질계 방수
시멘트액체방수(모르터방수)
폴리머시멘트모르터방수
시멘트혼입폴리머계방수(수화응고형 도포방수)
규산질계 도포방수
벤토나이트 방수
선방수
실링방수
정형실링재(Gasket)
시트방수
합성고무계(가황고무계, 비가황고무계
합성수지계(염화비닐수지계,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계
고무아스팔트계
부정형실링재
실리콘계, 변성실리콘계
폴리설파이드계, 변경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계
지수공사
정형
판상, 테이프상, 봉상
부정형
주입공법, 충전공법, 도포공법
구체방수
기타방수 공법
복합방수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
우레탄 복합방수
지착식 복합방수
자착식 복합방수
자기치유콘크리트(방수)
무기질계
폴리머계
-시멘트액체방수
-시멘트액체방수: 방수재를 물에 타서 섞은 다음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섞어 방수처리하는 것
-규산질계 도포방수(침투성방수):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하거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목적으로 하는 방수법으로 침투성 도포방수제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발라 이과정에서 가용성 성분이 침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수밀화하는 동시에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줌. 방수효과가 크고 오래 지속되고 백화현상이나 이끼, 곰팡이가 끼지 않고 내약품성과 내마모성도 우수함.
규산질계 분말과 폴리머 액상을 합하여 모체에 도포한 후 모체 공극내에서 불용성염을 생성, 수밀화된 방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법.
물 또는 HY에멀전과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도포하면 강력한 접착력과 침투력으로 모체 깊숙이 침투하여 콘크리트내의 수분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팽창함으로서 공극을 수밀화하여 콘크리트 모체 자체를 방수층화하는 침투성 도포 방수제.
-시트방수: 합성고무계, 합성수지계, 고무아스팔트계등의 방수재를 적찹제로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함.
-구체방수공법: 콘크리트 자체의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구조체 자체에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구조물 전체를 방수화하는 공법.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 비닐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보강, 적층한 부분 절연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우레탄 복합방수: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자착식 복합방수: 초속경화형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층에 양방향 2중 HDPE필름과 고무화 아스팔트가 결합된 고성능 자착식 시트를 복합 시공하는 비노출 복합방수공법.
-우레탄 도막방수(비노출): 폴리우레탄 수지와 정제TAR를 혼합한 주제와 가교제, 충전제 등을 주원료로하는 경화제로 이루지는 2성분형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를 바탕면에 수차례 칠하여 일정두께의 막을 형성하는 도막 방수공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