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염증, 통증 및 발열을 수반하는 감염증의 치료보조
위 또는 장관의 출혈
심혈관계의 위험성을 증가
5) 연관되는 간호진단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설사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3.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4. 약물의 사용과 관련된 변비의 위험
6) 간호과정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밥이 맛없어요.”
“안먹을래요.”
“배는 안고픈데요.”
진단: 장간막림프절염
입원 시(4/22) 신장 151cm, 몸무게 40kg -> 4/25일 몸무게 39kg 감소 (-1kg)
4/월 25일 통증사정: 3점 (간혈적)
식사의 1/4만 섭취하는 모습이 관찰됨
7) 간호목표
목표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2일 이내 식사의 1/2 이상을 섭취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영양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8) 간호계획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매일 일정한 시간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매 식사 시 마다 대상자의 복통과 식사량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듀티 시, 식사 시간을 함께 보내며 음식을 섭취하도록 지지한다.
4. 식사 전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5. 가능할 시, 보호자로 하여금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가지고 올 수 있도록 교육한다.
6.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영양제를 투약한다.
<교육적 계획>
7.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할 것을 교육한다.
8.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위에 자극이 될 수 있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을 것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체중은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객관적 지표로 활용된다.
통증은 식욕부진과 섭취불량을 초래한다.
3. 편안하고 즐거운 식사를 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4. 식사 전 구강을 깨끗히 유지함으로 식욕을 증진하고 음식 맛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
5.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더 잘 섭취하기 때문이다.
6. 자발적 음식 섭취를 방해하지 않으며 칼로리와 단백질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7. 대상자에게 식사의 부담을 줄여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8. 자극적인 음식의 위를 자극시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9) 간호수행
간호수행
1. 매일 일정한 시간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04/26 (09:00)
04/27 (09:00)
04/28 (09:00)
체중
39 kg
38.9 kg
39.1 kg
2. 매 식사 시 마다 대상자의 복통과 식사량을 사정하였다.
04월 26일
04월 27일
04월 28일
NRS(07:00)
3점
0점
1점
아침식사량
X
바나나 1개, 씨리얼
전복죽 1/2 공기
NRS(11:00)
1점
1점
0점
점심식사량
흰죽 1/4 공기
전복죽 1/2 공기
닭죽 3/4 공기
간식
X
카스테라 반개
토마토 2개, 바나나 2개
3. 듀티 시, 식사 시간을 함께 보내며 음식을 섭취하도록 지지하였다.
식사 시 옆에 앉아서 틱톡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한 숟가락이라도 더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4. 식사 전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식사 30분 전 통증을 사정하며, 가글을 하도록 하였다.
5. 가능할 시, 보호자로 하여금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가지고 올 수 있도록 한다.
의사에게 일반식이도 가능한지 확인 후, 아이가 좋아하는 죽 종류의 음식을 직접해서 와도 됨을 설명하고, 전복죽과 닭죽을 가지고 오도록 하였다.
6.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영양제를 투약하였다.
처방에 따라 페디아민을 4/27일 am 10:00 투약하였다.
<교육적 계획>
7.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할 것을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식사 시간을 맞춰 먹는 것도 좋으나 먹고 싶을 때 그때 그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괜찮다고 설명하였다.
8.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위에 자극이 될 수 있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을 것을 교육한다.
떡볶이, 피자, 햄버거, 탄산음료 등을 섭취하지 말 것을 교육하고, 증상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확인을 받고 식이를 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10) 간호평가
간호평가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25일 39kg -> 4/27일 39.1kg로 0.1 kg 체중이 증가하였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 식사의 1/2 이상을 섭취한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26일 죽 1/2을 섭취하고, 간식도 섭취함을 확인하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영양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목표미달성)
3. 결론(사례연구 후 소감)
이런 질환에 대해 처음 알았으며, 내가 어린 시절 복통으로 고생했던 생각이 났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질환으로 인해 꽤 많은 아이들이 입원을 했고, 했던 기록이 있었으나 아직은 정확한 연구가 없기에 일단은 대중적 치료만을 한다고 수간호사선생님께서 말씀해주셨고, 의사선생님들의 경험에 따르면 예방적 맹장 수술을 하면 발생율이 감소하고 증상 또한 사라진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자료를 찾아보니 정말 자료가 한정적이였습니다. 그리고 이 질환으로 꽤 길게 증상을 가져가기에 아이들이 고생을 많이 하는 것 같아 안쓰러웠습니다. 아이를 내일까지 쭉 지켜보고 싶었으나, 오후에 V/S를 하던 중 아이가 쳐져 있어 체온을 확인하니 39.9가 나와 신속항원검사에서 코로나를 진단받아 격리를 하게 되어 마저 지켜보지 못하게 되어 매우 아쉬웠습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 :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소아과 : 제 47 권 제 1 호 2004년 (박철한 외)
위 또는 장관의 출혈
심혈관계의 위험성을 증가
5) 연관되는 간호진단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설사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3.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4. 약물의 사용과 관련된 변비의 위험
6) 간호과정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밥이 맛없어요.”
“안먹을래요.”
“배는 안고픈데요.”
진단: 장간막림프절염
입원 시(4/22) 신장 151cm, 몸무게 40kg -> 4/25일 몸무게 39kg 감소 (-1kg)
4/월 25일 통증사정: 3점 (간혈적)
식사의 1/4만 섭취하는 모습이 관찰됨
7) 간호목표
목표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2일 이내 식사의 1/2 이상을 섭취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영양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8) 간호계획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매일 일정한 시간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매 식사 시 마다 대상자의 복통과 식사량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듀티 시, 식사 시간을 함께 보내며 음식을 섭취하도록 지지한다.
4. 식사 전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5. 가능할 시, 보호자로 하여금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가지고 올 수 있도록 교육한다.
6.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영양제를 투약한다.
<교육적 계획>
7.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할 것을 교육한다.
8.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위에 자극이 될 수 있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을 것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체중은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객관적 지표로 활용된다.
통증은 식욕부진과 섭취불량을 초래한다.
3. 편안하고 즐거운 식사를 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4. 식사 전 구강을 깨끗히 유지함으로 식욕을 증진하고 음식 맛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
5.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더 잘 섭취하기 때문이다.
6. 자발적 음식 섭취를 방해하지 않으며 칼로리와 단백질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7. 대상자에게 식사의 부담을 줄여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8. 자극적인 음식의 위를 자극시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9) 간호수행
간호수행
1. 매일 일정한 시간에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04/26 (09:00)
04/27 (09:00)
04/28 (09:00)
체중
39 kg
38.9 kg
39.1 kg
2. 매 식사 시 마다 대상자의 복통과 식사량을 사정하였다.
04월 26일
04월 27일
04월 28일
NRS(07:00)
3점
0점
1점
아침식사량
X
바나나 1개, 씨리얼
전복죽 1/2 공기
NRS(11:00)
1점
1점
0점
점심식사량
흰죽 1/4 공기
전복죽 1/2 공기
닭죽 3/4 공기
간식
X
카스테라 반개
토마토 2개, 바나나 2개
3. 듀티 시, 식사 시간을 함께 보내며 음식을 섭취하도록 지지하였다.
식사 시 옆에 앉아서 틱톡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한 숟가락이라도 더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4. 식사 전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식사 30분 전 통증을 사정하며, 가글을 하도록 하였다.
5. 가능할 시, 보호자로 하여금 좋아하는 음식을 집에서 가지고 올 수 있도록 한다.
의사에게 일반식이도 가능한지 확인 후, 아이가 좋아하는 죽 종류의 음식을 직접해서 와도 됨을 설명하고, 전복죽과 닭죽을 가지고 오도록 하였다.
6.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영양제를 투약하였다.
처방에 따라 페디아민을 4/27일 am 10:00 투약하였다.
<교육적 계획>
7.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할 것을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식사 시간을 맞춰 먹는 것도 좋으나 먹고 싶을 때 그때 그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괜찮다고 설명하였다.
8.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위에 자극이 될 수 있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을 것을 교육한다.
떡볶이, 피자, 햄버거, 탄산음료 등을 섭취하지 말 것을 교육하고, 증상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확인을 받고 식이를 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10) 간호평가
간호평가
간호진단1: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중이 감소하지 않는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25일 39kg -> 4/27일 39.1kg로 0.1 kg 체중이 증가하였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 식사의 1/2 이상을 섭취한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4/26일 죽 1/2을 섭취하고, 간식도 섭취함을 확인하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영양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목표미달성)
3. 결론(사례연구 후 소감)
이런 질환에 대해 처음 알았으며, 내가 어린 시절 복통으로 고생했던 생각이 났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질환으로 인해 꽤 많은 아이들이 입원을 했고, 했던 기록이 있었으나 아직은 정확한 연구가 없기에 일단은 대중적 치료만을 한다고 수간호사선생님께서 말씀해주셨고, 의사선생님들의 경험에 따르면 예방적 맹장 수술을 하면 발생율이 감소하고 증상 또한 사라진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자료를 찾아보니 정말 자료가 한정적이였습니다. 그리고 이 질환으로 꽤 길게 증상을 가져가기에 아이들이 고생을 많이 하는 것 같아 안쓰러웠습니다. 아이를 내일까지 쭉 지켜보고 싶었으나, 오후에 V/S를 하던 중 아이가 쳐져 있어 체온을 확인하니 39.9가 나와 신속항원검사에서 코로나를 진단받아 격리를 하게 되어 마저 지켜보지 못하게 되어 매우 아쉬웠습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 :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소아과 : 제 47 권 제 1 호 2004년 (박철한 외)
키워드
추천자료
폐암 케이스
만성신부전 case study
노인실습 케이스스터디(척추관협착증, 쇼그렌증후군)
[성인간호학] 장간막림프절염 케이스 CASE STUDY - 간호사정,간호진단,간호계획/중재
성인간호학실습 방광암 bladder cancer case study
Hepatocellular carcinoma(간세포암) 케이스 스터디 A+
[A+성인]Pneumonia폐렴 + COPD Case study
A+ 칭찬 췌장암(Pancreatic cancer) 문헌고찰 케이스
담관염(Cholangitis) A+ 받은 case study 간호진단5
미숙아의 폐 미성숙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