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외부 자기장 내 전류 고리의 접근
2. 유도 기전력
3. 유도 전류의 크기
4. 일률과 열에너지
5. 소용돌이 전류
2. 유도 기전력
3. 유도 전류의 크기
4. 일률과 열에너지
5. 소용돌이 전류
본문내용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음
4. 일률과 열에너지
ㆍ자기장으로부터 전류고리를 당길 때의 일률:
ㆍ등속도로 당기는 전류고리에 열에너지가 나타나는 비율
- 일률을 전류와 저항과 관련된 식으로 나타낸 것에 를 대입
ㆍ식과 식의 결과가 같다는 의미
- 전류고리의 일률이 열에너지 방출률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
- 자기장 내 전류고리를 당길 때 한 일이 모두 전류고리에서 열에너지로 전달됨을 의미
5. 소용돌이 전류
ㆍ[그림 3]은 [그림 1]에서 밀고 당기는 전류고리 대신 도체 판으로 바꾼 것
- 도체 판을 잡아당길 때 자기장과 도체 판 사이의 상하운동은 다시 도체 판 내의 전류를 유발
- 유도 전류에 의해 반대 방향의 힘이
나타남 → 일을 해주어야 함
ㆍ도체 판 내 유도 전류를 구성하는 전도전자
→ 전류고리처럼 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전자는 도체 판 내에서 요동침(소용돌이 전류)
→ 이때 도체 판이 자기장 속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마다 역학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
→ 몇 번의 진동 후에는 도체 판의 역학 에너지가 소진되며 열에너지로 변환됨을 의미(데워진 도체 판은 결국 멈출 것임을 의미)
4. 일률과 열에너지
ㆍ자기장으로부터 전류고리를 당길 때의 일률:
ㆍ등속도로 당기는 전류고리에 열에너지가 나타나는 비율
- 일률을 전류와 저항과 관련된 식으로 나타낸 것에 를 대입
ㆍ식과 식의 결과가 같다는 의미
- 전류고리의 일률이 열에너지 방출률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
- 자기장 내 전류고리를 당길 때 한 일이 모두 전류고리에서 열에너지로 전달됨을 의미
5. 소용돌이 전류
ㆍ[그림 3]은 [그림 1]에서 밀고 당기는 전류고리 대신 도체 판으로 바꾼 것
- 도체 판을 잡아당길 때 자기장과 도체 판 사이의 상하운동은 다시 도체 판 내의 전류를 유발
- 유도 전류에 의해 반대 방향의 힘이
나타남 → 일을 해주어야 함
ㆍ도체 판 내 유도 전류를 구성하는 전도전자
→ 전류고리처럼 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전자는 도체 판 내에서 요동침(소용돌이 전류)
→ 이때 도체 판이 자기장 속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마다 역학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
→ 몇 번의 진동 후에는 도체 판의 역학 에너지가 소진되며 열에너지로 변환됨을 의미(데워진 도체 판은 결국 멈출 것임을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