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성역할 및 양성 평등
(2) 전통적 성역할 이론
(3) 전생애 성역할 발달 이론
(4) 성역할의 역행 및 확장 이론
(5) 발달적 성역할 초월이론
(6) 성역할 해체 이론
3.결론_나의 의견
4.참고문헌
2.본론
(1) 성역할 및 양성 평등
(2) 전통적 성역할 이론
(3) 전생애 성역할 발달 이론
(4) 성역할의 역행 및 확장 이론
(5) 발달적 성역할 초월이론
(6) 성역할 해체 이론
3.결론_나의 의견
4.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잘못된 것에 대한 생각은 하지 않고 적극적인 경향을 띈다.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잘못된 것에 대해서 깨닫고 적극적으로 수정을 하는 단계로, 자신에 걸맞는 역할을 변화시키며 적응시킨다.
(6) 성역할 해체 이론
남성성, 그리고 여성성으로 크게 성역할을 나누는데 사실 이 두 개념만 있다고 보지 않는다. 사람 자체는 하나로 정의될 수 없고 고등 동물이며 복잡한 동물이기에 여러가지 개념이 섞여서 관찰된다는 것이다. 사람은 모두 양 성의 특성이 있으며, 그 비율을 각자마다 모두 다르게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라서는 각자에게 맞는 성을 만들어가며, 이 과정에서는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사라지며 성역할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져야 한다고 말하는 이론이다.
3.결론_나의 의견
사실상 지금 대한민국의 사회상만 보더라도 마지막에 말했던 성역할 해체 이론이 가장 바람직 하다고 생각한다. 당연하게도 여겨졌듯이 남자는 파란색을, 여자는 분홍색을 좋아해야 한다고 심지어는 색에도 여겨졌던 이 성역할이, 이제는 자신이 좋아하는 색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으며 남자 아이라도 머리를 기를 수 있고, 여자 아이라도 머리가 짧을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대한민국이 지녔던 고정 관념을 깨고 있는 시기가 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두 남녀가 만나서 새로운 가정을 꾸릴 때에도 예전과 같이 강요되었듯 집은 남자가 구해오고, 가전과 가구와 같은 이른바 혼수라고 불리는 것은 여자가 해오는 시대는 이른바 \'구닥다리\'시대로 변질된 것이다.
모든 사람은 존엄성을 지니고 있고, 각자의 인격체로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이를 자신이 정하지 않고 부여받은 고정 개념과 같은 \'성\'에 따라서 차별받고 또 다르게 받을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은 뿌리 깊게 박힌 대한민국 사회 내의 고정적인 성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해체시키려면 갈길이 멀긴 하다. 하지만 현재 사회활동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이른바 MZ세대들의 관념들이 많이 변화되면서, 언젠가는 한국에서도 고정되었던 성역할의 개념은 찾아보기 힘들고 각자의 인격과 각자의 인격체로만 평가받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4.참고문헌
- 이선자, 한국심리학회지 제1집, 성역할 구분에 대한 이론 고찰과 창문이론 명명하기, 1996
- 김춘경, 학지사, 상담학 사전, 2016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교육학 용어사전, 1995
- 고영복, 사회문화연구소, 사회학 사전, 2000
(6) 성역할 해체 이론
남성성, 그리고 여성성으로 크게 성역할을 나누는데 사실 이 두 개념만 있다고 보지 않는다. 사람 자체는 하나로 정의될 수 없고 고등 동물이며 복잡한 동물이기에 여러가지 개념이 섞여서 관찰된다는 것이다. 사람은 모두 양 성의 특성이 있으며, 그 비율을 각자마다 모두 다르게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라서는 각자에게 맞는 성을 만들어가며, 이 과정에서는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사라지며 성역할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져야 한다고 말하는 이론이다.
3.결론_나의 의견
사실상 지금 대한민국의 사회상만 보더라도 마지막에 말했던 성역할 해체 이론이 가장 바람직 하다고 생각한다. 당연하게도 여겨졌듯이 남자는 파란색을, 여자는 분홍색을 좋아해야 한다고 심지어는 색에도 여겨졌던 이 성역할이, 이제는 자신이 좋아하는 색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으며 남자 아이라도 머리를 기를 수 있고, 여자 아이라도 머리가 짧을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대한민국이 지녔던 고정 관념을 깨고 있는 시기가 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두 남녀가 만나서 새로운 가정을 꾸릴 때에도 예전과 같이 강요되었듯 집은 남자가 구해오고, 가전과 가구와 같은 이른바 혼수라고 불리는 것은 여자가 해오는 시대는 이른바 \'구닥다리\'시대로 변질된 것이다.
모든 사람은 존엄성을 지니고 있고, 각자의 인격체로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이를 자신이 정하지 않고 부여받은 고정 개념과 같은 \'성\'에 따라서 차별받고 또 다르게 받을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은 뿌리 깊게 박힌 대한민국 사회 내의 고정적인 성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해체시키려면 갈길이 멀긴 하다. 하지만 현재 사회활동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이른바 MZ세대들의 관념들이 많이 변화되면서, 언젠가는 한국에서도 고정되었던 성역할의 개념은 찾아보기 힘들고 각자의 인격과 각자의 인격체로만 평가받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4.참고문헌
- 이선자, 한국심리학회지 제1집, 성역할 구분에 대한 이론 고찰과 창문이론 명명하기, 1996
- 김춘경, 학지사, 상담학 사전, 2016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교육학 용어사전, 1995
- 고영복, 사회문화연구소, 사회학 사전, 2000
추천자료
가정폭력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와현대사회 가족의 변화와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족이란? 내가 생각하는 가족의 정의
[가족이란 무엇인가?](내가 생각하는 가족의 정의)
(성, 사랑, 사회 A형) 한국사회의 어떤 특징들이 엄마되기와 엄마노릇을 더 어렵게 하는지, ...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가족 내 양성적이고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갖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논하시오
가족의 개념과 관점
가족가치관의 개념을 서술하고, 그것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나를 살펴보고 진정한 가...
결혼과 가족 ) 성역할과 양성평등의 개념을 정의하고, 성역할 이론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