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화기술 성공사례
1.음악계의 넷플릭스로 성장한 스포티파이(Spotify)
2. 비디오테이프 표준 전쟁에서 승리한 VHS
문화기술 실패 사례
1. 소니의 미니디스크(MD)
2.애플의 메시지 패드
3. 구글 글래스
자료출처
1.음악계의 넷플릭스로 성장한 스포티파이(Spotify)
2. 비디오테이프 표준 전쟁에서 승리한 VHS
문화기술 실패 사례
1. 소니의 미니디스크(MD)
2.애플의 메시지 패드
3. 구글 글래스
자료출처
본문내용
7년 만에 베타 방식은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하게 되었다.
문화기술 실패 사례
1. 소니의 미니디스크(MD)
미니디스크(MiniDisc)는 광자기 디스크의 기술을 응용하여 만든 음성 기록용 매체 저장 장치로, 소니에서 1991년에 개발해 1992년 1월 12일에 출시했다.
MD의 장점은 CD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휴대가 편하며 LP 모드를 이용하면 여러장의 CD를 하나의 미니디스크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작은 미디어의 크기로 미니디스크플레이어에서 다른 휴대 기기에 비해 재생시간이 아주 길다. 따라서 녹취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MD레코더 끼리의 복사가 용이하다.
MD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NetMD는 컴퓨터에서의 음악 파일 전송을 통한 녹음 방식이며 USB를 이용한다. Hi-MD는 2004년에 발표된 더 진보된 미니디스크 포맷으로, HI-MD 디스크를 지원하며 기존MD에 비해 1기가라는 대용량을 지원한다. NetMD가 아닌 경우 기록하는 시간이 재생 시간 만큼 소요 되며 광출력(Optical Output)이 지원되는 오디오나 CD플레이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니는 HD-MD를 발표하여 용량을 1기가로 하였으나 가격 부분에선 여전히 고가여서 가격 경쟁력이 없었고 내구성에서도 MP3에 비해 뒤쳐져 있었기에 결국 그 사용자가 적어지고 소니에서도 MZ-RH1이란 MP3까지 지원하는 최후의 MD를 내놓은 이후 신형 MD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음악을 MD가 아닌 하드디스크에 음악을 저장, 공유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검색으로 원하는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MD에 넣어 감상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MD는 2000년 전후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었으나 데이터를 CD의 10분의 1로 압축하는 MP3의 등장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얻지 못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의 중소기업인 세한미디어가 세계 최초로 MP3를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시장의 냉담한 반응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후에 애플사가 MP3 플레이어를 출시하여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애플의 메시지 패드
애플은 1993년 뉴턴 메시지 패드라는 PDA 형태 단말기를 출시했다. 이는 \'지식 탐색기\'란 개념을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이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해 액정에 직접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스티븐 잡스는 \'스타일러스 팬\'을 질색하게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이 무렵엔 애플에서
문화기술 실패 사례
1. 소니의 미니디스크(MD)
미니디스크(MiniDisc)는 광자기 디스크의 기술을 응용하여 만든 음성 기록용 매체 저장 장치로, 소니에서 1991년에 개발해 1992년 1월 12일에 출시했다.
MD의 장점은 CD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휴대가 편하며 LP 모드를 이용하면 여러장의 CD를 하나의 미니디스크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작은 미디어의 크기로 미니디스크플레이어에서 다른 휴대 기기에 비해 재생시간이 아주 길다. 따라서 녹취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MD레코더 끼리의 복사가 용이하다.
MD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NetMD는 컴퓨터에서의 음악 파일 전송을 통한 녹음 방식이며 USB를 이용한다. Hi-MD는 2004년에 발표된 더 진보된 미니디스크 포맷으로, HI-MD 디스크를 지원하며 기존MD에 비해 1기가라는 대용량을 지원한다. NetMD가 아닌 경우 기록하는 시간이 재생 시간 만큼 소요 되며 광출력(Optical Output)이 지원되는 오디오나 CD플레이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니는 HD-MD를 발표하여 용량을 1기가로 하였으나 가격 부분에선 여전히 고가여서 가격 경쟁력이 없었고 내구성에서도 MP3에 비해 뒤쳐져 있었기에 결국 그 사용자가 적어지고 소니에서도 MZ-RH1이란 MP3까지 지원하는 최후의 MD를 내놓은 이후 신형 MD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음악을 MD가 아닌 하드디스크에 음악을 저장, 공유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검색으로 원하는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MD에 넣어 감상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MD는 2000년 전후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었으나 데이터를 CD의 10분의 1로 압축하는 MP3의 등장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얻지 못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의 중소기업인 세한미디어가 세계 최초로 MP3를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시장의 냉담한 반응으로 성공하지 못하고 후에 애플사가 MP3 플레이어를 출시하여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애플의 메시지 패드
애플은 1993년 뉴턴 메시지 패드라는 PDA 형태 단말기를 출시했다. 이는 \'지식 탐색기\'란 개념을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이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해 액정에 직접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스티븐 잡스는 \'스타일러스 팬\'을 질색하게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이 무렵엔 애플에서
추천자료
기업인수합병(M&A)의 특징과 성공실패 사례분석
해외직접투자의 개요와 이론적분석 및 기업의 성공실패 사례
[기업인수합병] 기업인수합병(M&A)에 대하여
[M&A, 기업인수합병] M&A(기업인수합병)의 원인과 종류 및 장단점과 사례 - M&A ...
도요타 성공원인과 실패사례 분석(리콜사태 관련)
LG전자 휴대폰의 성공/실패사례 분석
테마파크 성공사례분석
한국정부론3공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부실패’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사례 내용의 설명,...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사례 분석 ; 외국인직접투자의 정의와 경제적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