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농축산환경학
1.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설명하시오
2. 농약 사용상의 2가지 유익성과 3가지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스마트팜 (Smart Farm) 또는 스마트 농업을 활용한 방안들에 대하여 제시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i)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
ii) 농약의 사용
iii) 스마트팜 (Smart Farm)과 스마트 농업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1.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설명하시오
2. 농약 사용상의 2가지 유익성과 3가지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스마트팜 (Smart Farm) 또는 스마트 농업을 활용한 방안들에 대하여 제시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i)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
ii) 농약의 사용
iii) 스마트팜 (Smart Farm)과 스마트 농업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er이다. 사실 특정 군집은 그 식생 구조로 주로 특징이 지워지곤 한다. 식생 구조는 수평적 (집단화) 및 수직적 (서로 다른 층의 종단면) 구성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자연 생태계와 농업 생태계를 비교하면 생각 외로 간단한 결과를 보여준다.1) 종의 다양성 및 유전적 다양성에 있어서는 자연생태계가 농업생태계를 압도한다. 농업생태계는 특정 식물을 위한 생태계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같은 이유에서 생산력 및 특정 종의 dominance&relative abundance는 농업생태계가 자연생태계를 압도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영양사슬구조는 자연생태계는 복잡한 반면 농업생태계는 비교적 간단하다. 탄력성 및 저항성은 더 복잡한 식생 구조와 구조사슬을 가진 자연생태계가 이것이 가진 평형상태를 깨기가 어렵다. 하나의 변화에 대해 여러 단계의 구성요소가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비해 농업 생태계는 구조사슬의 단순화로 인해 이것이 가진 평형상태를 깨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운 것이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농업 생태계는 인간에게서 비독립적이지만 자연생태계는 인간으로부터 독립적이다.
(ii) 농약의 사용
농업에 있어서의 농약의 사용은 원예 분야에서 재배 기술이 도입될 때 함께 도입된 해충 방지 기술에 기인한다.2) 이후 제2차세계대전 때 DDT, dichlorodiphenyl trichloroethane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BHC, benzene hexachloride이 영국에서 발명되어 해충 박멸 및 식량 증산에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 같은 유기 염소계 농약들은 현재는 독성으로 인해 제조 및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1950~1960년대 식량 증산의 주역으로서 활약하게 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농약은 살균제 (fungicide), 살충제 (insecticide), 제초제 (herbicide), 훈증제 (fumigant) 그리고 살서제 (rodenticide)로 나뉘며 농약의 종류로는 유기인제 (organophosphates), 카바메이트제 (carbamates) 유기염소제, (organochlorines), 항응고제 (anticoagulates), 나이트로 및 크롤로피놀 류 (Nitro & Chlorophenols), 그리고 비피리딜류 (bipyridyls)가 있다. 각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유해하여 가능한 한 직접 접촉은 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유해한 작용의 예로는 혈액 응고 지연, 대사 작용 촉진, 중추신경 자극 및 chlorinesterase activity 방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농약이 꾸준히 사용되는 데에는 명백한 이유가 두 가지 정도 있다.2) 먼저 질병의 퇴치이다. 제 2차세계대전 중 발진푸스(typhus)를 일으키는 이와 벼룩을 제거하기 위해 피난민과 군인 등에게 직접적으로 DDT를 살포한 기록이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해충이 일으키는 질병의 퇴치(모기를 매개로 하는 말라리아, 쥐벼룩이 매체인 선페스트, 째
앞서 설명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자연 생태계와 농업 생태계를 비교하면 생각 외로 간단한 결과를 보여준다.1) 종의 다양성 및 유전적 다양성에 있어서는 자연생태계가 농업생태계를 압도한다. 농업생태계는 특정 식물을 위한 생태계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같은 이유에서 생산력 및 특정 종의 dominance&relative abundance는 농업생태계가 자연생태계를 압도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영양사슬구조는 자연생태계는 복잡한 반면 농업생태계는 비교적 간단하다. 탄력성 및 저항성은 더 복잡한 식생 구조와 구조사슬을 가진 자연생태계가 이것이 가진 평형상태를 깨기가 어렵다. 하나의 변화에 대해 여러 단계의 구성요소가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비해 농업 생태계는 구조사슬의 단순화로 인해 이것이 가진 평형상태를 깨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운 것이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농업 생태계는 인간에게서 비독립적이지만 자연생태계는 인간으로부터 독립적이다.
(ii) 농약의 사용
농업에 있어서의 농약의 사용은 원예 분야에서 재배 기술이 도입될 때 함께 도입된 해충 방지 기술에 기인한다.2) 이후 제2차세계대전 때 DDT, dichlorodiphenyl trichloroethane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BHC, benzene hexachloride이 영국에서 발명되어 해충 박멸 및 식량 증산에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 같은 유기 염소계 농약들은 현재는 독성으로 인해 제조 및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1950~1960년대 식량 증산의 주역으로서 활약하게 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농약은 살균제 (fungicide), 살충제 (insecticide), 제초제 (herbicide), 훈증제 (fumigant) 그리고 살서제 (rodenticide)로 나뉘며 농약의 종류로는 유기인제 (organophosphates), 카바메이트제 (carbamates) 유기염소제, (organochlorines), 항응고제 (anticoagulates), 나이트로 및 크롤로피놀 류 (Nitro & Chlorophenols), 그리고 비피리딜류 (bipyridyls)가 있다. 각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유해하여 가능한 한 직접 접촉은 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유해한 작용의 예로는 혈액 응고 지연, 대사 작용 촉진, 중추신경 자극 및 chlorinesterase activity 방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농약이 꾸준히 사용되는 데에는 명백한 이유가 두 가지 정도 있다.2) 먼저 질병의 퇴치이다. 제 2차세계대전 중 발진푸스(typhus)를 일으키는 이와 벼룩을 제거하기 위해 피난민과 군인 등에게 직접적으로 DDT를 살포한 기록이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해충이 일으키는 질병의 퇴치(모기를 매개로 하는 말라리아, 쥐벼룩이 매체인 선페스트, 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