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I. 유전 및 염색체 이상
1. 상염색체 우성유전 관련 장애
2. 상염색체 열성유전 관련 장애
3. 성염색체 관련 장애
4. 염색체 수 관련 장애
5. 염색체 구조 관련 장애
II. 원인 불명의 두개골 기형
III. 환경 및 심리사회적 요인
1. 출생 전
2. 출산 시의 원인
3. 출생 후의 원인
4. 심리사회적 요인
* 참고문헌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I. 유전 및 염색체 이상
1. 상염색체 우성유전 관련 장애
2. 상염색체 열성유전 관련 장애
3. 성염색체 관련 장애
4. 염색체 수 관련 장애
5. 염색체 구조 관련 장애
II. 원인 불명의 두개골 기형
III. 환경 및 심리사회적 요인
1. 출생 전
2. 출산 시의 원인
3. 출생 후의 원인
4. 심리사회적 요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풍진, 방사선 조사, 헤르페스, 매독 등에 의해 선천성 기형이 생기기 쉬우며, 고양이의 배설물을 매개로 인간에게 전이되는 특소플라스마증(toxopmosis), 산모의 영양실조, 태아의 저체중, 산모의 연령(16세 이하거나 36세 이상인 산모), 음주(태아알코올증후군), 마약, 흡연 등에 의해서도 여러 합병증과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2) 출산 시의 원인
출산 시의 원인으로는 기계적 뇌손상, 미숙아 출산, 출산 시의 산소결핍 등이 있다. 기계적 뇌손상은 분만 중에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기계적인 도구(겸자 등)를 이용하여 태아를 인위적으로 분만시키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 모든 미숙아가 장애를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관이 완전히 성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출생하게 되므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출산 시의 산소결핍은 주로 태반조기박리(태반이 태아의 출생 전에 미리 떨어져 나가는 증상)나 난산에 의해 태아의 뇌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산소 공급이 중단된 시간이 길수록 예후는 좋지 않다.
(3) 출생 후의 원인
뇌 및 뇌막의 감염증, 뇌외상, 납중독, 면역접종 후 뇌염, 성장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유유아기의 뇌장애, 심리 및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한 발달장애 등이 해당된다.
(4) 심리사회적 요인
부모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영양 상태의 부실, 부모의 낮은 교육 수준, 부모의 지능 수준, 언어적 자극을 줄 수 없는 환경, 학대나 방임, 양육에 대한 무관심 등이 심리사회적 요인에 의한 지적장애아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2) 출산 시의 원인
출산 시의 원인으로는 기계적 뇌손상, 미숙아 출산, 출산 시의 산소결핍 등이 있다. 기계적 뇌손상은 분만 중에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기계적인 도구(겸자 등)를 이용하여 태아를 인위적으로 분만시키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 모든 미숙아가 장애를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관이 완전히 성숙하지 못한 상황에서 출생하게 되므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출산 시의 산소결핍은 주로 태반조기박리(태반이 태아의 출생 전에 미리 떨어져 나가는 증상)나 난산에 의해 태아의 뇌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산소 공급이 중단된 시간이 길수록 예후는 좋지 않다.
(3) 출생 후의 원인
뇌 및 뇌막의 감염증, 뇌외상, 납중독, 면역접종 후 뇌염, 성장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유유아기의 뇌장애, 심리 및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한 발달장애 등이 해당된다.
(4) 심리사회적 요인
부모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영양 상태의 부실, 부모의 낮은 교육 수준, 부모의 지능 수준, 언어적 자극을 줄 수 없는 환경, 학대나 방임, 양육에 대한 무관심 등이 심리사회적 요인에 의한 지적장애아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학습장애, 언어장애 치료교육 프로그램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진단]학습장애의 분류, 학습...
[시각장애][시각장애인][시각장애아]시각장애 원인, 시각장애 특성, 시각장애인 현황, 시각장...
청년기의 신체변화
지적장애 - 정의 원인 특징 사례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토론하시오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학점은행제(토론) 청소년지도방법론, 인간관계론, 산업신리학, 사회복지실천론
의사소통장애의 정의를 내리고 의사소통장애의 유형을 정리한 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