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문헌고찰(병태생리)
Ⅱ. 간호력
III. 투약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Ⅰ. 문헌고찰(병태생리)
Ⅱ. 간호력
III. 투약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상승시켜줌.
3)소변과 대변횟수 기록함.
11/20배설 STOOL: 3회 URINE: 8회
11/21배설 STOOL: 4회 URINE: 11회
11/22배설 STOOL: 5회 URINE: 9회
11/23배설 STOOL: 2회 URINE: 8회
11/24배설 STOOL: 3회 URINE: 8회
4)인공수유시 매회 섭취량 기록함.
11/20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38cc씩 총 304CC 섭취
11/21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2 경구수유 (B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3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4 경구수유 (PM)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5)아가 sucking power 유도 위해 구강 자극해줌.
:수유시 입안에 젖병꼭지를 넣어 살짝 돌리거나 부드럽게 누르고, 젖병을 톡톡 쳐 작은 자극을 줌.
-구토반사가 재태기간 36주가 될 때까지 발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아는 흡인되기 쉬워 매우 위험하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1)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서 수유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 너무 빨리 수유하도록 시도하면 구강-인두기전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영아를 지치게 하지않고, 영아의 수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2)
-상체를 30~40°로 상승시키는 것은 흡인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기본간호학2 p152)
-24시간동안 모든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것은 대상자의 기초자료 사정의 중요한부분이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포함한 수분상태를 정확히 사정하는 것은 수분,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을 겪고 있는 대상자와 고위험군 대상자 모두를 선별할 수있다.
(기본간호학2 p170)
2.아가의 체중변화를 관찰함.
11/19 20gm 11/23 체중변화 없음
11/20 체중변화 없음 11/24 20gm
11/21 40gm 11/25 50gm
11/22 20gm ->체중증가 매우 양호함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사정내용을 기록함.(기본간호학2, p172)
3.아가 경구 수유시 산소포화도를 관찰함.-> 97%이상 유지됨
-무호흡, 서맥, 청색증, 창백과 같은 빈약한 수유행동과 산소포화도 저하는 영아의 질환을 암시한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2)
간호평가
1.아가 경구 수유시 약간의 호흡저하보이나, 청색증 관찰되지 않으며,
아가 경구 수유시 구토증상 없으나, 약간 내용물 뱉어냄
그러나, 수유중간중간 쉬어주면 바로 호전됨
2.수유 진행상태 양호하며 정상적인 체중증가 보임.
4.아가 경구 수유시 산소포화도 97%이상 유지됨.
#2.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재태기간 35주 2일된 미숙아로 욕창발생 고위험군으로 판단됨
-스스로 체위변경할수 없는 상태임
-기저귀 교환시 약간의 발적과 습한양상 관찰됨
간호목표
1. 피부손상이 없다.
2. 적당한 피부순환상태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1.매 기저귀교환시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함
3.소변과 대변에 의한 자극을 줄이기 위해 기저기를 자주 갈아준다.
4.환아 sheetrk 겹치지 않게 펴준다.
5.매 2시간마다 체위변경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매 기저귀 교환시 피부상태를 관찰함.
-전체적인 피부상태 양호하나, 기저귀 닿는 부분 약간의 발적이 보임.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피부사정내용을 기록함.(기본간호학2, p405
2.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함.
-환아가 입고 있는 환의와 싸개의 상태를 확인하여 젖은 경우 교환해주고, 기저귀 교환시 서혜부와 성기부위가 건조될 수 있도록 함
-대변, 소변으로 더렵혀 질때마다 깨끗이 씻음.
-발한, 상처배액, 소변, 대변등으로 인한 습기는 피부를 손상시킨다. 습기는 미생물이 자라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피부에 포진이 생기고 찰과상을 입게 되고 침윤된다. 피부통합성을 유지하는 것은 간호책임이다. (기본간호학2,p397)
-자주씻으면 오염물질과의 접촉이 줄어 감염이 예방됨.(기본간호학2, p405)
-소변에 있는 요소(urea)가 피부 박테리아와 작용하여 기저귀 발진 발생함.(기본간호학2, p404)
3.소변과 대변에 의한 자극과 습한 환경을 줄이기 위해 기저귀를 자주 갈아줌.
-3시간 간격인 수유시간에 기저귀를 확인하여 교체함.
4.환아 sheet 겹치지 않게 펴주고, 싸개도 최대한 주름지지 않도록 싸도록 함.
-주름잡힌 홑이불에 누워 있는 대상자는 마찰에 의해 조직이 손상된다.(기본간호학2 p391)
5.매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함.
11/20~11/24
00:00 A/Lt↑ 06:00 A/S↑ 08:00 A/Rt↑ 10:00 A/S↑ 12:00 A/Lt↑ 14:00 A/S↑ 16:00 A/P↑ 18:00 A/Lt↑ 20:00 A/Rt↑22:00 A/S↑
-압력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체위변경을 매2시간마다 수행해야한다. 측위의 변형인 30도 측위는 특히 대전자부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다.(기본간호학2, p406)
간호평가
1. 피부손상이 없음.
2. 적당한 피부순환상태를 유지함.
Ⅴ. 참고문헌
1.양선희 외 공저(2020)/기본간호학1/현문사
2.양선희 외 공저(2020)/기본간호학2/현문사
3.원종순, 양선희 외 3명 저(2014)/기본간호학실습/현문사
4.차영남 외 공저(2013)/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5.Donna L.Wong저(2020)/아동간호학 총론/현문사
6.김희숙 외 공저(2007)/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신광출판사
3)소변과 대변횟수 기록함.
11/20배설 STOOL: 3회 URINE: 8회
11/21배설 STOOL: 4회 URINE: 11회
11/22배설 STOOL: 5회 URINE: 9회
11/23배설 STOOL: 2회 URINE: 8회
11/24배설 STOOL: 3회 URINE: 8회
4)인공수유시 매회 섭취량 기록함.
11/20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38cc씩 총 304CC 섭취
11/21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2 경구수유 (B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3 경구수유 (PM) 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11/24 경구수유 (PM)02:00 05:00 08:00 11:00 14:00 17:00 20:00 23:00 마다 40CC씩 총 320CC 섭취
5)아가 sucking power 유도 위해 구강 자극해줌.
:수유시 입안에 젖병꼭지를 넣어 살짝 돌리거나 부드럽게 누르고, 젖병을 톡톡 쳐 작은 자극을 줌.
-구토반사가 재태기간 36주가 될 때까지 발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아는 흡인되기 쉬워 매우 위험하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1)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서 수유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 너무 빨리 수유하도록 시도하면 구강-인두기전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영아를 지치게 하지않고, 영아의 수유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2)
-상체를 30~40°로 상승시키는 것은 흡인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기본간호학2 p152)
-24시간동안 모든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것은 대상자의 기초자료 사정의 중요한부분이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포함한 수분상태를 정확히 사정하는 것은 수분,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을 겪고 있는 대상자와 고위험군 대상자 모두를 선별할 수있다.
(기본간호학2 p170)
2.아가의 체중변화를 관찰함.
11/19 20gm 11/23 체중변화 없음
11/20 체중변화 없음 11/24 20gm
11/21 40gm 11/25 50gm
11/22 20gm ->체중증가 매우 양호함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사정내용을 기록함.(기본간호학2, p172)
3.아가 경구 수유시 산소포화도를 관찰함.-> 97%이상 유지됨
-무호흡, 서맥, 청색증, 창백과 같은 빈약한 수유행동과 산소포화도 저하는 영아의 질환을 암시한다.
(아동간호학 총론 p342)
간호평가
1.아가 경구 수유시 약간의 호흡저하보이나, 청색증 관찰되지 않으며,
아가 경구 수유시 구토증상 없으나, 약간 내용물 뱉어냄
그러나, 수유중간중간 쉬어주면 바로 호전됨
2.수유 진행상태 양호하며 정상적인 체중증가 보임.
4.아가 경구 수유시 산소포화도 97%이상 유지됨.
#2.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재태기간 35주 2일된 미숙아로 욕창발생 고위험군으로 판단됨
-스스로 체위변경할수 없는 상태임
-기저귀 교환시 약간의 발적과 습한양상 관찰됨
간호목표
1. 피부손상이 없다.
2. 적당한 피부순환상태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1.매 기저귀교환시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함
3.소변과 대변에 의한 자극을 줄이기 위해 기저기를 자주 갈아준다.
4.환아 sheetrk 겹치지 않게 펴준다.
5.매 2시간마다 체위변경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매 기저귀 교환시 피부상태를 관찰함.
-전체적인 피부상태 양호하나, 기저귀 닿는 부분 약간의 발적이 보임.
-개별화된 간호를 계획하고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피부사정내용을 기록함.(기본간호학2, p405
2.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함.
-환아가 입고 있는 환의와 싸개의 상태를 확인하여 젖은 경우 교환해주고, 기저귀 교환시 서혜부와 성기부위가 건조될 수 있도록 함
-대변, 소변으로 더렵혀 질때마다 깨끗이 씻음.
-발한, 상처배액, 소변, 대변등으로 인한 습기는 피부를 손상시킨다. 습기는 미생물이 자라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피부에 포진이 생기고 찰과상을 입게 되고 침윤된다. 피부통합성을 유지하는 것은 간호책임이다. (기본간호학2,p397)
-자주씻으면 오염물질과의 접촉이 줄어 감염이 예방됨.(기본간호학2, p405)
-소변에 있는 요소(urea)가 피부 박테리아와 작용하여 기저귀 발진 발생함.(기본간호학2, p404)
3.소변과 대변에 의한 자극과 습한 환경을 줄이기 위해 기저귀를 자주 갈아줌.
-3시간 간격인 수유시간에 기저귀를 확인하여 교체함.
4.환아 sheet 겹치지 않게 펴주고, 싸개도 최대한 주름지지 않도록 싸도록 함.
-주름잡힌 홑이불에 누워 있는 대상자는 마찰에 의해 조직이 손상된다.(기본간호학2 p391)
5.매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함.
11/20~11/24
00:00 A/Lt↑ 06:00 A/S↑ 08:00 A/Rt↑ 10:00 A/S↑ 12:00 A/Lt↑ 14:00 A/S↑ 16:00 A/P↑ 18:00 A/Lt↑ 20:00 A/Rt↑22:00 A/S↑
-압력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체위변경을 매2시간마다 수행해야한다. 측위의 변형인 30도 측위는 특히 대전자부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다.(기본간호학2, p406)
간호평가
1. 피부손상이 없음.
2. 적당한 피부순환상태를 유지함.
Ⅴ. 참고문헌
1.양선희 외 공저(2020)/기본간호학1/현문사
2.양선희 외 공저(2020)/기본간호학2/현문사
3.원종순, 양선희 외 3명 저(2014)/기본간호학실습/현문사
4.차영남 외 공저(2013)/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5.Donna L.Wong저(2020)/아동간호학 총론/현문사
6.김희숙 외 공저(2007)/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신광출판사
키워드
추천자료
미숙아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신생아중환자실 NICU 미숙아 case 케이스
Case Study : 미숙아 Prematurity NOS
NICU 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아동간호학][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NICU Case Study
아동간호학 Preterm infants case study, NICU, 미숙아무호흡증 간호과정 2개
[아동실습A+] 미숙아망막증(ROP)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