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벼의 생태종
2)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은 지역에 재배했을 때 나타나는 생육상 특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벼의 생태종
2)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은 지역에 재배했을 때 나타나는 생육상 특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복성이 강하고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도 강하다. 그러나 줄무늬잎마름병이나 벼멸구에는 약하다. 재배 적응지역은 중북부 중간지나 남부의 중산가지와 고랭지에서 가능하며 키가 작아서 쓰러짐에는 강하지만 질소질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도열병이나 미질저하, 쓰러짐이 유발될 수 있어 균형시비가 필요하다. 바이러스병과 기타 병해충에 약해 적기 방제가 필요하며 가을 장마 시에 수발아가 우려되어 적기 수확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
중생종은 벼의 성숙기가 조생종에 비해 느리나 만생종에 비해 빠른 것으로 여기에 속하는 재배종은 하이아미, 맛드림, 대보, 화선찰 등이 있다. 이러한 중생종은 적기 수확이나 적기 방제 그리고 적정량의 비료가 중요한데 비료가 과하게 뿌려질 경우 품질의 저하나 병해충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한 병해충에 내성이 있는데 이는 흰 잎 마름병과 줄무늬 잎 마름병으로 기타 병충해인 오갈병이나 벼멸구에도 약하다. 각 품종별 내성을 갖는 병해충과 없는 병해충의 종류는 차이가 있다. 쌀알이 조생종처럼 심복백이 많은 편이 아니라 약간 투명하며 맛이 좋은 단원형태를 가지고 있다.
품종 중 하이아미의 경우 농진청에서 선정한 최고 품질로 쌀 외관이 양호하고 밥맛이 우수하다. 내냉성과 내도복성이나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해 강하며 흰잎마름병이나 벼멸구에는 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주로 재배 적응지역은 중부평야와 영남내륙평야, 남부중산간지다. 질소질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미질이 저하되고 등숙저하와 벼 껍질색이 불량하고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어 적정한 균형시비가 필요하며 적기에 기본방제를 통해 흰잎마름병이나 멸구류에 대응해야 한다. 또한 수확기 장마에는 수발아가 우려되어 적기수확이 중요하다.
보람찰은 찰벼로 단간 내도복 다수성을 특성으로 흰잎마름병이나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찰밥이나 떡용과 같은 가공용이다. 재배 적응지역의 경우 수원 이남 평야지로 알려져있으며 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해 철저하게 종자 소독이 필요하다. 질소비료가 과도할 경우 출수지연과 청미 발생과 같이 미질 저하가 우려될 수 있어 과비재배를 피해야한다. 또한 가을철 장마 시에는 수발아가 우려되어 적기에 수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이러스병이나 해충에 약해 적기에 방제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만생종의 경우 성숙기가 가장 느린 편에 속하는 재배종으로써 새누리, 신동진, 추청, 일품, 동진찰 등이 포함된다. 찰벼인 동진찰은 입형이 신선찰벼에 비해 둥근편이며 밥맛은 낮은 편이다. 도열병에 약해 이모작과 만식 재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각종 병해충에 약해 적기 방제가 요구되며 탈립 정도가 심해 우박 피해의 우려가 있다면 이전에 적기 수확이 필요하다.
만생종 중 추청은 농진청에서 선정한 고품질로 쌀 외관이 양호하며 내수발아성이 적절한 수준이며 내도복성이나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나 오갈병 등에 약한 특성을 가진다. 주로 중부 평야지나 남주 중산간지에서 재배 적응지역으로 알려져있으며, 병해충에 약해 발병 상습지에서의 재배를 피해아하며 사전예방 및 방제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해안지방에서 흰
중생종은 벼의 성숙기가 조생종에 비해 느리나 만생종에 비해 빠른 것으로 여기에 속하는 재배종은 하이아미, 맛드림, 대보, 화선찰 등이 있다. 이러한 중생종은 적기 수확이나 적기 방제 그리고 적정량의 비료가 중요한데 비료가 과하게 뿌려질 경우 품질의 저하나 병해충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한 병해충에 내성이 있는데 이는 흰 잎 마름병과 줄무늬 잎 마름병으로 기타 병충해인 오갈병이나 벼멸구에도 약하다. 각 품종별 내성을 갖는 병해충과 없는 병해충의 종류는 차이가 있다. 쌀알이 조생종처럼 심복백이 많은 편이 아니라 약간 투명하며 맛이 좋은 단원형태를 가지고 있다.
품종 중 하이아미의 경우 농진청에서 선정한 최고 품질로 쌀 외관이 양호하고 밥맛이 우수하다. 내냉성과 내도복성이나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해 강하며 흰잎마름병이나 벼멸구에는 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주로 재배 적응지역은 중부평야와 영남내륙평야, 남부중산간지다. 질소질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미질이 저하되고 등숙저하와 벼 껍질색이 불량하고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어 적정한 균형시비가 필요하며 적기에 기본방제를 통해 흰잎마름병이나 멸구류에 대응해야 한다. 또한 수확기 장마에는 수발아가 우려되어 적기수확이 중요하다.
보람찰은 찰벼로 단간 내도복 다수성을 특성으로 흰잎마름병이나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찰밥이나 떡용과 같은 가공용이다. 재배 적응지역의 경우 수원 이남 평야지로 알려져있으며 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해 철저하게 종자 소독이 필요하다. 질소비료가 과도할 경우 출수지연과 청미 발생과 같이 미질 저하가 우려될 수 있어 과비재배를 피해야한다. 또한 가을철 장마 시에는 수발아가 우려되어 적기에 수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이러스병이나 해충에 약해 적기에 방제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만생종의 경우 성숙기가 가장 느린 편에 속하는 재배종으로써 새누리, 신동진, 추청, 일품, 동진찰 등이 포함된다. 찰벼인 동진찰은 입형이 신선찰벼에 비해 둥근편이며 밥맛은 낮은 편이다. 도열병에 약해 이모작과 만식 재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각종 병해충에 약해 적기 방제가 요구되며 탈립 정도가 심해 우박 피해의 우려가 있다면 이전에 적기 수확이 필요하다.
만생종 중 추청은 농진청에서 선정한 고품질로 쌀 외관이 양호하며 내수발아성이 적절한 수준이며 내도복성이나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나 오갈병 등에 약한 특성을 가진다. 주로 중부 평야지나 남주 중산간지에서 재배 적응지역으로 알려져있으며, 병해충에 약해 발병 상습지에서의 재배를 피해아하며 사전예방 및 방제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해안지방에서 흰
추천자료
(방통대 식용작물학1)쌀의영양가와기능성을설명하고 기능성과 기능성 품종명 기능성품종 주요...
2022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식용작물학 I)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 나라 장려품종을 ...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식용작물학1(공통)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
식용작물학 ) 벼 생태종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설명, 우리 나라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 나라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은...
식용작물학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장려품종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