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주입식 교육관
2) 성장식 교육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2.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1) 주입식 교육관
2) 성장식 교육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2.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필요한 자신감, 독립에 대한 욕구를 말한다. 이러한 욕구는 명예, 인정, 관심, 신분 등의 가치와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자기실현의 욕구는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자하는 욕구이며,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키는 욕구라고 말한다. 장재인/욕구이론과 교회교육의 관계연구 : 매슬로우를 중심으로/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2021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살펴볼 때 다음과 같은 논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첫 번째로, 상호적인 위계를 가지는 다섯 가지 욕구는 위계를 정할 수 있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욕구위계질서의 순서가 생리, 안정, 사랑, 자존감, 자아실현의 순서대로야만 하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논리적 요소가 전무하다면, 그것은 매슬로우가 말하는 것처럼 ‘항상 극도로 배고픈 사람한테 유토피아는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많은 곳’이라는 사실에 따라서 순서를 정한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배고픈 사람에게 사랑의 욕구나 안정의 욕구, 그리고 자기실현의 욕구에 대한 갈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 예를 들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금욕적인 수행을 진행하는 수도승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무시한다. 또한 일반인들도 다양한 이유를 바탕으로 욕구위계질서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례를 보면 욕구들 간의 위계를 정할 수 있는 논리적인 요소를 알 수 없다.
두 번째로, 생리적 욕구로부터 자존감의 욕구로 연결되는 낮은 위계의 욕구 간의 관계는 자아실현의 욕구와 같은 관점으로 볼 수 없다. 매슬로우 이론에 따라서 낮은 위계의 욕구들 사이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위 위계의 욕구인 자아실현의 욕구는 밑에 있는 네 가지 욕구에 대한 연장이라고는 볼 수 없다. 이는 매슬로우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메타 욕구(metaneeds)’ 혹은 ‘메타동기(meta-motivation)’라고 말하면서, 자아실현의 욕구는 밑에 있는 네 가지 욕구와는 성질이 다르다는 것을 말했다. 따라서 밑의 네 가지 욕구를 결핍동기라고 지칭하고 가장 상위의 자아실현의 욕구를 성장 동기라고 불렀다. 그 결과 메슬로우는 이를 ‘하위 욕구(lower needs)’와 ‘상위 욕구(higher needs)’로 나누어서 두 가지 종류의 욕구의 다른 점을 자세히 설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이들 욕구가 발현되는 시간의 차이나 발현되는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차이가 여전히 사실적인 측면에서 확인된 것만을 확인했다. 결국에는 하위욕구와 상위욕구가 논리적인 측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세 번째로, 자아실현의 의미를 알아가는 것에 대하여 그것이 만족되어야 할 욕구인지, 또는 그것에 닿아야 할 욕구인지에 대하여 설명이 필요하다. 매슬로우는 자신의 저서에서 하위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결핍동기(D-motivation)를, 상위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성장동기(B-motivation)를 들면서, 자아실현의 욕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물론 그는 성장동기가 결핍동기를 만족시키는 방식과 다른 측면으로 만족되는 것이라 했지만, 그것에 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것에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면, 상위 욕구라고 정해진 자아실현의 욕구 또한 하위욕구처럼 만족되어야할 욕구라고 여겨진다.
네 번째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결핍동기라고 설명한 하위 욕구 중에서도 결핍에 대한 것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성취의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정의 욕구보다 사랑의 욕구가 대중적인 가치를 나타낸다던지 혹은 같은 위계 안이라도 다른 모습으로 성취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사를 하는 것은 배를 채울 수 있는 생리적 욕구를 만족시키지만, 같이 식사를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증진함으로써 사랑의 욕구를 채울 수 있으며, 맛있는 식사를 즐기면서 자아실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는 하나의 행동이 하나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행동마다 여러 단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김정래/교육목적으로서 ‘자기실현’의 재음미 : 매슬로우의 이론을 단초로 한 논의/교육철학연구/2014
3. 결론
지금까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생리적 욕구, 안정의 욕구, 사랑의 욕구, 자존감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구성된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살펴볼 때는 이러한 위계를 정하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거나, 하나의 행동이 하나의 욕구만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등의 논점을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다.
4. 출처 및 참고 문헌
장재인/욕구이론과 교회교육의 관계연구 : 매슬로우를 중심으로/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2021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a6ff744de5824ddffe0bdc3ef48d419&keyword=%EC%9A%95%EA%B5%AC%EC%9D%B4%EB%A1%A0%EA%B3%BC%20%EA%B5%90%ED%9A%8C%EA%B5%90%EC%9C%A1
김정래/교육목적으로서 ‘자기실현’의 재음미 : 매슬로우의 이론을 단초로 한 논의/교육철학연구/201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15aae19381935f86aae8a972f9116fb&keyword=%EA%B5%90%EC%9C%A1%EB%AA%A9%EC%A0%81%EC%9C%BC%EB%A1%9C%EC%84%9C%20%E2%80%98%EC%9E%90%EA%B8%B0%EC%8B%A4%ED%98%84%E2%80%99%EC%9D%98%20%EC%9E%AC%EC%9D%8C%EB%AF%B8%20%20%20%EB%A7%A4%EC%8A%AC%EB%A1%9C%EC%9A%B0%EC%9D%98%20%EC%9D%B4%EB%A1%A0%EC%9D%84%20%EB%8B%A8%EC%B4%88%EB%A1%9C%20%ED%95%9C%20%EB%85%BC%EC%9D%98
강의자료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살펴볼 때 다음과 같은 논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첫 번째로, 상호적인 위계를 가지는 다섯 가지 욕구는 위계를 정할 수 있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욕구위계질서의 순서가 생리, 안정, 사랑, 자존감, 자아실현의 순서대로야만 하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논리적 요소가 전무하다면, 그것은 매슬로우가 말하는 것처럼 ‘항상 극도로 배고픈 사람한테 유토피아는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많은 곳’이라는 사실에 따라서 순서를 정한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배고픈 사람에게 사랑의 욕구나 안정의 욕구, 그리고 자기실현의 욕구에 대한 갈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 예를 들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금욕적인 수행을 진행하는 수도승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무시한다. 또한 일반인들도 다양한 이유를 바탕으로 욕구위계질서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례를 보면 욕구들 간의 위계를 정할 수 있는 논리적인 요소를 알 수 없다.
두 번째로, 생리적 욕구로부터 자존감의 욕구로 연결되는 낮은 위계의 욕구 간의 관계는 자아실현의 욕구와 같은 관점으로 볼 수 없다. 매슬로우 이론에 따라서 낮은 위계의 욕구들 사이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위 위계의 욕구인 자아실현의 욕구는 밑에 있는 네 가지 욕구에 대한 연장이라고는 볼 수 없다. 이는 매슬로우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메타 욕구(metaneeds)’ 혹은 ‘메타동기(meta-motivation)’라고 말하면서, 자아실현의 욕구는 밑에 있는 네 가지 욕구와는 성질이 다르다는 것을 말했다. 따라서 밑의 네 가지 욕구를 결핍동기라고 지칭하고 가장 상위의 자아실현의 욕구를 성장 동기라고 불렀다. 그 결과 메슬로우는 이를 ‘하위 욕구(lower needs)’와 ‘상위 욕구(higher needs)’로 나누어서 두 가지 종류의 욕구의 다른 점을 자세히 설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이들 욕구가 발현되는 시간의 차이나 발현되는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차이가 여전히 사실적인 측면에서 확인된 것만을 확인했다. 결국에는 하위욕구와 상위욕구가 논리적인 측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세 번째로, 자아실현의 의미를 알아가는 것에 대하여 그것이 만족되어야 할 욕구인지, 또는 그것에 닿아야 할 욕구인지에 대하여 설명이 필요하다. 매슬로우는 자신의 저서에서 하위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결핍동기(D-motivation)를, 상위욕구에 대한 설명으로 성장동기(B-motivation)를 들면서, 자아실현의 욕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물론 그는 성장동기가 결핍동기를 만족시키는 방식과 다른 측면으로 만족되는 것이라 했지만, 그것에 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것에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면, 상위 욕구라고 정해진 자아실현의 욕구 또한 하위욕구처럼 만족되어야할 욕구라고 여겨진다.
네 번째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결핍동기라고 설명한 하위 욕구 중에서도 결핍에 대한 것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성취의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정의 욕구보다 사랑의 욕구가 대중적인 가치를 나타낸다던지 혹은 같은 위계 안이라도 다른 모습으로 성취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사를 하는 것은 배를 채울 수 있는 생리적 욕구를 만족시키지만, 같이 식사를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증진함으로써 사랑의 욕구를 채울 수 있으며, 맛있는 식사를 즐기면서 자아실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는 하나의 행동이 하나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행동마다 여러 단계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김정래/교육목적으로서 ‘자기실현’의 재음미 : 매슬로우의 이론을 단초로 한 논의/교육철학연구/2014
3. 결론
지금까지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생리적 욕구, 안정의 욕구, 사랑의 욕구, 자존감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구성된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질서를 살펴볼 때는 이러한 위계를 정하는 논리적인 요소가 없다거나, 하나의 행동이 하나의 욕구만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등의 논점을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다.
4. 출처 및 참고 문헌
장재인/욕구이론과 교회교육의 관계연구 : 매슬로우를 중심으로/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2021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a6ff744de5824ddffe0bdc3ef48d419&keyword=%EC%9A%95%EA%B5%AC%EC%9D%B4%EB%A1%A0%EA%B3%BC%20%EA%B5%90%ED%9A%8C%EA%B5%90%EC%9C%A1
김정래/교육목적으로서 ‘자기실현’의 재음미 : 매슬로우의 이론을 단초로 한 논의/교육철학연구/201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15aae19381935f86aae8a972f9116fb&keyword=%EA%B5%90%EC%9C%A1%EB%AA%A9%EC%A0%81%EC%9C%BC%EB%A1%9C%EC%84%9C%20%E2%80%98%EC%9E%90%EA%B8%B0%EC%8B%A4%ED%98%84%E2%80%99%EC%9D%98%20%EC%9E%AC%EC%9D%8C%EB%AF%B8%20%20%20%EB%A7%A4%EC%8A%AC%EB%A1%9C%EC%9A%B0%EC%9D%98%20%EC%9D%B4%EB%A1%A0%EC%9D%84%20%EB%8B%A8%EC%B4%88%EB%A1%9C%20%ED%95%9C%20%EB%85%BC%EC%9D%98
강의자료
추천자료
[인간과교육] 1.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육관...
인간과교육2014) 1.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육...
[2014인간과교육] 1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2014인간과교육)1.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인간과교육 공통과제]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
[인간과교육 2016] 1. 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
[2016 인간과교육] 1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인간과교육]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육관...
[2016년 인간과교육] 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