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철학의이해
아래의 세 문제 중 두 문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작성합니다.
(1)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의와 가치에 대해 서술한다.
(2) 교재 2장을 정독한 후,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보인 철학자들과 욕망하는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보인 철학자들 중 한 그룹을 택하여 핵심내용을 요약한다.
(3) 교재 3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유가 사상과 도가 사상 중 하나를 골라 오늘날 우리 시대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 서술한다.
<참고문헌>
1번, 3번 선택
아래의 세 문제 중 두 문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작성합니다.
(1)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의와 가치에 대해 서술한다.
(2) 교재 2장을 정독한 후,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보인 철학자들과 욕망하는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보인 철학자들 중 한 그룹을 택하여 핵심내용을 요약한다.
(3) 교재 3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유가 사상과 도가 사상 중 하나를 골라 오늘날 우리 시대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 서술한다.
<참고문헌>
1번, 3번 선택
본문내용
다른 존재들과 연대감을 느끼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고 주장한다. 도가는 우주 속에 만물들이 함께 사는 이와 같은 삶을 무위의 삶이라고 말한다. 이는 자연의 이치에 반하는 인위적인 것을 행하지 않는 것이다. 도가에 의하면 삶의 불행은 집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에 집착하는 것은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이 때문에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 노자는 그 집착하지 않아야 하는 대상을 도덕과 지식으로 말한다. 도가가 말하는 무위의 삶은 안일과 타성을 경계하고 틀에 박힌 제도와 질서를 비판하면서 자유인으로 사는 삶을 사는 것이다. 이정호 외, 위의 도서, pp. 63-67.
유가와 도가 사상은 물론 각각 치명적인 단점과 한계를 갖는다. 유가 사상의 실천덕목으로 대표되는 인의예지는 변화된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고, 기존의 비합리적인 질서로서 여겨지며, 기득권을 합리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우주의 원리보다 억압의 원리로서 여겨지기도 했으며, 지배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의 하나로 여겨졌다. 반면 도가 사상은 무위의 태도를 통해 어떠한 세계를 건설해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다. 이는 타성적 질서를 파괴할 수 있게 하지만, 이후 새로운 질서를 만들지는 못한다. 도가는 새로운 이성적 질서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정호 외, 위의 도서, p.68
오늘날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가치는 어떤 사상일까? 어느 하나의 사상을 택하는 것이야말로 “길 위에 있는 것”이라는 철학의 위상에 반하는 것이 아닐까. 유가사 상과 도가 사상은 각 사상이 강조하는 가치가 반대되어 보이지만, 하나의 지혜로 종합할 수 있다. 욕망, 본능과 같은 기질을 도덕적 본성을 통해 반성하면서 선하게 살아가되, 이에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은 진정 광활한 우주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 깨닫고 우주를 구성하는 다른 존재들과 연대감을 느끼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더 많이 갖는 것, 남과 비교해서 더 나은 삶을 사는 것에 집착한다. SNS로 타인의 삶을 관찰할 수 있게 된 어느 시점부터 개인의 행복은 그 자체로의 가치가 폄하되어왔다. 타인의 인정, 관심, 부러움, 질투가 나의 행복의 반증이 된다. 타인의 행복을 질투하는 개인은 과시를 통해 또 다른 질투를 부른다. 모든 현대인은 자기반성을 통한 수양이 필요하다. 자신을 반성하고 경계하는 마음으로 지혜와 도덕을 되
유가와 도가 사상은 물론 각각 치명적인 단점과 한계를 갖는다. 유가 사상의 실천덕목으로 대표되는 인의예지는 변화된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고, 기존의 비합리적인 질서로서 여겨지며, 기득권을 합리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우주의 원리보다 억압의 원리로서 여겨지기도 했으며, 지배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의 하나로 여겨졌다. 반면 도가 사상은 무위의 태도를 통해 어떠한 세계를 건설해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다. 이는 타성적 질서를 파괴할 수 있게 하지만, 이후 새로운 질서를 만들지는 못한다. 도가는 새로운 이성적 질서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정호 외, 위의 도서, p.68
오늘날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가치는 어떤 사상일까? 어느 하나의 사상을 택하는 것이야말로 “길 위에 있는 것”이라는 철학의 위상에 반하는 것이 아닐까. 유가사 상과 도가 사상은 각 사상이 강조하는 가치가 반대되어 보이지만, 하나의 지혜로 종합할 수 있다. 욕망, 본능과 같은 기질을 도덕적 본성을 통해 반성하면서 선하게 살아가되, 이에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은 진정 광활한 우주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 깨닫고 우주를 구성하는 다른 존재들과 연대감을 느끼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더 많이 갖는 것, 남과 비교해서 더 나은 삶을 사는 것에 집착한다. SNS로 타인의 삶을 관찰할 수 있게 된 어느 시점부터 개인의 행복은 그 자체로의 가치가 폄하되어왔다. 타인의 인정, 관심, 부러움, 질투가 나의 행복의 반증이 된다. 타인의 행복을 질투하는 개인은 과시를 통해 또 다른 질투를 부른다. 모든 현대인은 자기반성을 통한 수양이 필요하다. 자신을 반성하고 경계하는 마음으로 지혜와 도덕을 되
추천자료
2022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 1장, 2장, 3장 정독)
2022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 1장, 2장, 3장 정독)
철학의이해 = ) (1) 교재 1장을 정독 후, 핵심내용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 철학의 의의와 가치...
철학의이해 = )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 요약 본인 생각 철학 의의 가치
철학의이해 ) (1) 교재 1장을 정독, 핵심내용 요약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의와 가치에 대...
철학의 이해 ) (1)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
철학의이해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의와 가치...
철학이해 교재 1장을 정독한 후, 핵심내용을 요약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철학의 의의와 가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