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과교육론
다음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각각 1개씩 총 2개(이야기나누기, 동극, 게임, 새노래, 미술, 신체표현, 요리, 과학 활동 중 선택) 선택하여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유아(C)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작성하시오. 놀이중심의 활동계획안 2개에는 다음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시오
다음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각각 1개씩 총 2개(이야기나누기, 동극, 게임, 새노래, 미술, 신체표현, 요리, 과학 활동 중 선택) 선택하여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유아(C)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작성하시오. 놀이중심의 활동계획안 2개에는 다음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시오
본문내용
이 그림을 보니 어떠한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을까? 혹시 이야기해 줄 친구가 있을까요?
C : 빗물 같아. 뚝뚝뚝.
③ 아이들이 이야기 한 느낌과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해 본다.
T ; 아, 00이는 그림이 빗물같이 느껴졌구나. 그럼 이 빗물이 뚝뚝뚝 떨어지는 건 어떤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C : 음...(움직이며) 이렇게?
T : 아, 00이는 이 그림을 보고 손바닥으로 바닥을 뚝뚝 쳐보고 싶었구나. 그럼 손 말고 무릎이나 발가락, 얼굴은 가만히 있으면 될까?
C : 똑똑-(입으로 소리를 낸다.)
T : 똑- 똑-(아이와 다르게 소리를 끊어서) 이렇게 내면 될까?
C : 아니, 좀 더 빨리 똑똑-
④ 다른 아이들의 생각과 느낌, 표현도 들어본다.
T : 아, 그럼 00이는 이 그림을 보고 손바닥으로 바닥을 치며 똑똑 입으로 소리를 내보고 싶었구나. 그럼 혹시 “나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하는 친구들은 있어요?
⑤ 신체 표현 시 규칙을 정해본다.
T : 우리 00 이들.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있구나, 그럼 이제부터 우리 함께 일어나서 내가 느낀 걸 자유롭게 몸을 움직이면서 표현해 볼까? 근데 그전에 약속해야 할 것이 하나 있어요. 혹시 우리가 어떤 약속을 해야 할지 아는 사람?
C : 친구들과 부딪히지 않아요!
T : 맞아요.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즐거우려면 다른 친구들이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돼요. 또 있을까?
C : 계속 돌아다니지 않아요.
T : 그래요. 그럼 선생님이 이 모래시계를 돌려놓을 거야 이 모래가 다 떨어질 때까지 내 몸으로 소리를 내도 되고, 몸을 움직여도 되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괜찮으니 내가 느낀 걸 표현해보자. 이건 자유로운 시간이야. 그래서 우리 00반 친구들에게 선생님은 어떠한 표현을 해도 다 인정해줄 거야. 하고 싶지 않은 친구들은 다른 친구들이 어떻게 움직이나 감상을 해도 돼요. 그러니까 00반 친구들 첫 번째, 친구가 표현한 것을 놀리지 않기. 두 번째, 친구들과 부딪히지 않게 조심하기. 세 번째, 모래 시계가 끝나면 다시 앉았던 자리에 모여 앉기. 이 세가지 약속을 지키면서 움직여봐요.
자유롭게 아이들과 몸으로 표현해 본다.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표현을 해보며 아이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남긴다. 그러면서 중간중간 아이들의 몸짓을 언어로 표현을 해준다.
T : 00아, 00이는 지금 무얼 표현하고 있을까?
T: 아, 지금 그림의 이 부분을 몸을 느리게 움직이면서 표현하고 있구나.
아이들이 그린 그림의 색깔이 있는 버전을 보여 주고 탐색해 본다. 그 뒤, 그림을 보고 난 뒤 느껴지는 느낌, 생각에 대해 이야기를 해본다. 그 뒤, 아이들이 이야기 한 느낌과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해 보는 과정을 반복한다.
T : 우리 00반 친구들, 자유롭게 몸을 움직여보았어요? 이번에는 선생님이 조금 다른 그림을 보여주려고 해. 그림을 아까처럼 말하지 않고 봐 볼까요? 여러분 이 그림을 보니 어떠한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을까? 혹시 이야기해 줄 친구가 있을까요?
C : 노란색은 통통- 하는 느낌이고 빨간색은 팔랑팔랑해.
T : 그 느낌을 00이 몸으로 표현해 보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C : (아이가 몸으로 표현해 본다.)
T : 아, 노란색은 몸을 통통 뛰고, 빨간색은 팔을 팔랑팔랑 흔드는 거구나.
그럼, 00반, 이번에도 약속을 지키면서 몸을 움직여보자.
색의 차이가 있는 두 그림을 보여주며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눠본다.
T : 이 두 그림을 같이 보니까 어때?
C : 똑같은데 달라.
T : 뭐가 다르게 느껴질까?
C : 색이 여러 가지라서 느낌이 다르고 기쁜데, 검은색이랑 흰색만 있는 건 슬퍼.
T : 아, 00이는 그렇게 느껴졌구나. 혹시 다르게 느낀 친구들 있나요?
아이들이 각각의 그림에 춤을 추는 영상을 보여준다.
T : 우리가 이 두 그림을 보고 춤을 추는 모습을 선생님이 여기에 담아왔어. 함께 이걸 보자. (영상을 본 뒤) 이 영상 속 친구들의 모습을 보니까 어떤 생각이 들어? 친구들의 모습이 같은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네.
C : 통통통 뛰는 친구들이 많았어! 팔을 그림처럼 흔들흔들 해.
00이는 몸도 흔들흔들 해.
T : 그러게. 00이도 **이도 흔들흔들 하는데, 00이는 팔을 흔들고, **이는 몸을 흔들고 있네. 00아, 혹시 왜 00이는 팔을 흔들흔들 했었어?
C : 그림에 바람처럼 흔들흔들 하는데가 있어.
T : 거기가 어딜까? 나와서 친구들에게 왜 몸을 흔들었는지 설명해 줄 수 있어?
C : 여기가 바람 같았어.
T : 아, 그랬구나. **아 **이는 왜 몸을 흔들었어?
C : 나는 여기 노란색 있는 부분이 보니까 몸 흔드는 풍선 같아서 흔들었어.
T : 아, 그렇구나. 00이랑 **이는 같은 부분을 봤는데, 다르게 느껴졌네.
아이들과 함께 색이 같은 그림을 본 두 아이의 다른 표현, 색의 변화가 있는 두 그림을 본 아이들의 표현을 살펴본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마무리한다.
T : 오늘은 우리가 같은 그림을 보고 함께 춤춰 보고, 모양은 같지만 색이 다른 그림을 보고도 춤을 춰봤어. 오늘 춤춰본 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은게 있는 친구 있을까요? 다음에는 우리가 무얼 같이 해보면 좋을까?
C : 우리 춤을 친구들한테 보여주자! 동영상으로 찍어서 엄마, 아빠한테 보여주자!
⑪ 다양한 그림이 시간에 따라 넘어가는 영상을 빛 그림방에 틀어놓는다.
T : 이제는 그림들이 다양하게 나올 거에요. 이 그림들은 00반이 계속해서 볼 수 있도록 빛 놀이방에 틀어놓을게요. 보고 싶으면 언제든 선생님에게 말하고 빛 놀이방으로 와서 함께 감상해요. 선생님은 이 방법으로 우리 00반 친구들의 움직임들을 남기고 계속 감상하려 하는데, 혹시 다른 좋은 방법이 있는 친구들은 선생님에게 이야기 해주세요~
4) 출처 및 참고 문헌
교과교육론_15강
- 「 태극1장 」, 윤봉선 지음 그림, 여우고개, 2007
- 「고양이 해결사 깜냥3 태권도의 고수가 되어라!」, 홍민정 지음 김재희 그림, 창비, 2021
- 「넌 어떻게 춤을 추니?」, 티라헤더 글 그림, 책과콩나무,2020
C : 빗물 같아. 뚝뚝뚝.
③ 아이들이 이야기 한 느낌과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해 본다.
T ; 아, 00이는 그림이 빗물같이 느껴졌구나. 그럼 이 빗물이 뚝뚝뚝 떨어지는 건 어떤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C : 음...(움직이며) 이렇게?
T : 아, 00이는 이 그림을 보고 손바닥으로 바닥을 뚝뚝 쳐보고 싶었구나. 그럼 손 말고 무릎이나 발가락, 얼굴은 가만히 있으면 될까?
C : 똑똑-(입으로 소리를 낸다.)
T : 똑- 똑-(아이와 다르게 소리를 끊어서) 이렇게 내면 될까?
C : 아니, 좀 더 빨리 똑똑-
④ 다른 아이들의 생각과 느낌, 표현도 들어본다.
T : 아, 그럼 00이는 이 그림을 보고 손바닥으로 바닥을 치며 똑똑 입으로 소리를 내보고 싶었구나. 그럼 혹시 “나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하는 친구들은 있어요?
⑤ 신체 표현 시 규칙을 정해본다.
T : 우리 00 이들.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있구나, 그럼 이제부터 우리 함께 일어나서 내가 느낀 걸 자유롭게 몸을 움직이면서 표현해 볼까? 근데 그전에 약속해야 할 것이 하나 있어요. 혹시 우리가 어떤 약속을 해야 할지 아는 사람?
C : 친구들과 부딪히지 않아요!
T : 맞아요.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즐거우려면 다른 친구들이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돼요. 또 있을까?
C : 계속 돌아다니지 않아요.
T : 그래요. 그럼 선생님이 이 모래시계를 돌려놓을 거야 이 모래가 다 떨어질 때까지 내 몸으로 소리를 내도 되고, 몸을 움직여도 되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괜찮으니 내가 느낀 걸 표현해보자. 이건 자유로운 시간이야. 그래서 우리 00반 친구들에게 선생님은 어떠한 표현을 해도 다 인정해줄 거야. 하고 싶지 않은 친구들은 다른 친구들이 어떻게 움직이나 감상을 해도 돼요. 그러니까 00반 친구들 첫 번째, 친구가 표현한 것을 놀리지 않기. 두 번째, 친구들과 부딪히지 않게 조심하기. 세 번째, 모래 시계가 끝나면 다시 앉았던 자리에 모여 앉기. 이 세가지 약속을 지키면서 움직여봐요.
자유롭게 아이들과 몸으로 표현해 본다.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표현을 해보며 아이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남긴다. 그러면서 중간중간 아이들의 몸짓을 언어로 표현을 해준다.
T : 00아, 00이는 지금 무얼 표현하고 있을까?
T: 아, 지금 그림의 이 부분을 몸을 느리게 움직이면서 표현하고 있구나.
아이들이 그린 그림의 색깔이 있는 버전을 보여 주고 탐색해 본다. 그 뒤, 그림을 보고 난 뒤 느껴지는 느낌, 생각에 대해 이야기를 해본다. 그 뒤, 아이들이 이야기 한 느낌과 생각을 움직임으로 표현해 보는 과정을 반복한다.
T : 우리 00반 친구들, 자유롭게 몸을 움직여보았어요? 이번에는 선생님이 조금 다른 그림을 보여주려고 해. 그림을 아까처럼 말하지 않고 봐 볼까요? 여러분 이 그림을 보니 어떠한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을까? 혹시 이야기해 줄 친구가 있을까요?
C : 노란색은 통통- 하는 느낌이고 빨간색은 팔랑팔랑해.
T : 그 느낌을 00이 몸으로 표현해 보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C : (아이가 몸으로 표현해 본다.)
T : 아, 노란색은 몸을 통통 뛰고, 빨간색은 팔을 팔랑팔랑 흔드는 거구나.
그럼, 00반, 이번에도 약속을 지키면서 몸을 움직여보자.
색의 차이가 있는 두 그림을 보여주며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눠본다.
T : 이 두 그림을 같이 보니까 어때?
C : 똑같은데 달라.
T : 뭐가 다르게 느껴질까?
C : 색이 여러 가지라서 느낌이 다르고 기쁜데, 검은색이랑 흰색만 있는 건 슬퍼.
T : 아, 00이는 그렇게 느껴졌구나. 혹시 다르게 느낀 친구들 있나요?
아이들이 각각의 그림에 춤을 추는 영상을 보여준다.
T : 우리가 이 두 그림을 보고 춤을 추는 모습을 선생님이 여기에 담아왔어. 함께 이걸 보자. (영상을 본 뒤) 이 영상 속 친구들의 모습을 보니까 어떤 생각이 들어? 친구들의 모습이 같은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네.
C : 통통통 뛰는 친구들이 많았어! 팔을 그림처럼 흔들흔들 해.
00이는 몸도 흔들흔들 해.
T : 그러게. 00이도 **이도 흔들흔들 하는데, 00이는 팔을 흔들고, **이는 몸을 흔들고 있네. 00아, 혹시 왜 00이는 팔을 흔들흔들 했었어?
C : 그림에 바람처럼 흔들흔들 하는데가 있어.
T : 거기가 어딜까? 나와서 친구들에게 왜 몸을 흔들었는지 설명해 줄 수 있어?
C : 여기가 바람 같았어.
T : 아, 그랬구나. **아 **이는 왜 몸을 흔들었어?
C : 나는 여기 노란색 있는 부분이 보니까 몸 흔드는 풍선 같아서 흔들었어.
T : 아, 그렇구나. 00이랑 **이는 같은 부분을 봤는데, 다르게 느껴졌네.
아이들과 함께 색이 같은 그림을 본 두 아이의 다른 표현, 색의 변화가 있는 두 그림을 본 아이들의 표현을 살펴본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마무리한다.
T : 오늘은 우리가 같은 그림을 보고 함께 춤춰 보고, 모양은 같지만 색이 다른 그림을 보고도 춤을 춰봤어. 오늘 춤춰본 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은게 있는 친구 있을까요? 다음에는 우리가 무얼 같이 해보면 좋을까?
C : 우리 춤을 친구들한테 보여주자! 동영상으로 찍어서 엄마, 아빠한테 보여주자!
⑪ 다양한 그림이 시간에 따라 넘어가는 영상을 빛 그림방에 틀어놓는다.
T : 이제는 그림들이 다양하게 나올 거에요. 이 그림들은 00반이 계속해서 볼 수 있도록 빛 놀이방에 틀어놓을게요. 보고 싶으면 언제든 선생님에게 말하고 빛 놀이방으로 와서 함께 감상해요. 선생님은 이 방법으로 우리 00반 친구들의 움직임들을 남기고 계속 감상하려 하는데, 혹시 다른 좋은 방법이 있는 친구들은 선생님에게 이야기 해주세요~
4) 출처 및 참고 문헌
교과교육론_15강
- 「 태극1장 」, 윤봉선 지음 그림, 여우고개, 2007
- 「고양이 해결사 깜냥3 태권도의 고수가 되어라!」, 홍민정 지음 김재희 그림, 창비, 2021
- 「넌 어떻게 춤을 추니?」, 티라헤더 글 그림, 책과콩나무,20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