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행정조직론 보고서
Ⅰ. 고전적 조직이론‧‧‧‧‧‧‧‧‧‧‧‧‧‧‧‧‧‧‧‧‧‧‧‧‧‧‧‧‧‧‧‧‧‧‧‧‧‧‧‧‧‧‧‧‧‧<2>
Ⅱ. 신고전적 조직이론‧‧‧‧‧‧‧‧‧‧‧‧‧‧‧‧‧‧‧‧‧‧‧‧‧‧‧‧‧‧‧‧‧‧‧‧‧‧‧‧‧‧‧‧<11>
Ⅲ. 체제이론과 상황적응적 접근방법‧‧‧‧‧‧‧‧‧‧‧‧‧‧‧‧‧‧‧‧‧‧‧‧‧‧‧‧‧‧‧<13>
Ⅳ. 조직의 정의‧‧‧‧‧‧‧‧‧‧‧‧‧‧‧‧‧‧‧‧‧‧‧‧‧‧‧‧‧‧‧‧‧‧‧‧‧‧‧‧‧‧‧‧‧‧‧‧‧‧<16>
Ⅴ. 조직유형론‧‧‧‧‧‧‧‧‧‧‧‧‧‧‧‧‧‧‧‧‧‧‧‧‧‧‧‧‧‧‧‧‧‧‧‧‧‧‧‧‧‧‧‧‧‧‧‧‧‧‧<18>
Ⅵ. 조직과 환경‧‧‧‧‧‧‧‧‧‧‧‧‧‧‧‧‧‧‧‧‧‧‧‧‧‧‧‧‧‧‧‧‧‧‧‧‧‧‧‧‧‧‧‧‧‧‧‧‧‧<22>
Ⅶ. 전략적 선택이론‧‧‧‧‧‧‧‧‧‧‧‧‧‧‧‧‧‧‧‧‧‧‧‧‧‧‧‧‧‧‧‧‧‧‧‧‧‧‧‧‧‧‧‧‧‧<25>
Ⅷ. 자원의존성 이론‧‧‧‧‧‧‧‧‧‧‧‧‧‧‧‧‧‧‧‧‧‧‧‧‧‧‧‧‧‧‧‧‧‧‧‧‧‧‧‧‧‧‧‧‧‧<27>
Ⅸ. 조직군 생태이론‧‧‧‧‧‧‧‧‧‧‧‧‧‧‧‧‧‧‧‧‧‧‧‧‧‧‧‧‧‧‧‧‧‧‧‧‧‧‧‧‧‧‧‧‧‧<29>
Ⅹ. 제도화 이론‧‧‧‧‧‧‧‧‧‧‧‧‧‧‧‧‧‧‧‧‧‧‧‧‧‧‧‧‧‧‧‧‧‧‧‧‧‧‧‧‧‧‧‧‧‧‧‧‧‧<30>
Ⅺ. 관료제모형‧‧‧‧‧‧‧‧‧‧‧‧‧‧‧‧‧‧‧‧‧‧‧‧‧‧‧‧‧‧‧‧‧‧‧‧‧‧‧‧‧‧‧‧‧‧‧‧‧‧‧<32>
Ⅻ. 고전적 구조형성원리를 수정하는 모형‧‧‧‧‧‧‧‧‧‧‧‧‧‧‧‧‧‧‧‧‧‧‧‧‧‧<36>
ⅩⅢ .고전적 구조형성원리를 거부하는 반관료제적 모형‧‧‧‧‧‧‧‧‧‧‧‧‧‧‧<39>
Ⅹ Ⅳ .의사전달의 의미와 유형‧‧‧‧‧‧‧‧‧‧‧‧‧‧‧‧‧‧‧‧‧‧‧‧‧‧‧‧‧‧‧‧‧‧‧‧‧‧<42>
ⅩⅤ .의사전달의 장애‧‧‧‧‧‧‧‧‧‧‧‧‧‧‧‧‧‧‧‧‧‧‧‧‧‧‧‧‧‧‧‧‧‧‧‧‧‧‧‧‧‧‧‧‧‧<45>
ⅩⅥ .의사결정의 단계‧‧‧‧‧‧‧‧‧‧‧‧‧‧‧‧‧‧‧‧‧‧‧‧‧‧‧‧‧‧‧‧‧‧‧‧‧‧‧‧‧‧‧‧‧‧<48>
Ⅹ Ⅶ .문제발견의 방법과 대안선택의 전략‧‧‧‧‧‧‧‧‧‧‧‧‧‧‧‧‧‧‧‧‧‧‧‧‧‧‧‧<52>
Ⅹ Ⅷ . 의사결정의 모형-1‧‧‧‧‧‧‧‧‧‧‧‧‧‧‧‧‧‧‧‧‧‧‧‧‧‧‧‧‧‧‧‧‧‧‧‧‧‧‧‧‧‧‧‧<54>
ⅩⅨ . 의사결정의 모형-2‧‧‧‧‧‧‧‧‧‧‧‧‧‧‧‧‧‧‧‧‧‧‧‧‧‧‧‧‧‧‧‧‧‧‧‧‧‧‧‧‧‧‧‧<57>
ⅩⅩ . 리더쉽‧‧‧‧‧‧‧‧‧‧‧‧‧‧‧‧‧‧‧‧‧‧‧‧‧‧‧‧‧‧‧‧‧‧‧‧‧‧‧‧‧‧‧‧‧‧‧‧‧‧‧‧‧‧‧<59>
Ⅰ. 고전적 조직이론‧‧‧‧‧‧‧‧‧‧‧‧‧‧‧‧‧‧‧‧‧‧‧‧‧‧‧‧‧‧‧‧‧‧‧‧‧‧‧‧‧‧‧‧‧‧<2>
Ⅱ. 신고전적 조직이론‧‧‧‧‧‧‧‧‧‧‧‧‧‧‧‧‧‧‧‧‧‧‧‧‧‧‧‧‧‧‧‧‧‧‧‧‧‧‧‧‧‧‧‧<11>
Ⅲ. 체제이론과 상황적응적 접근방법‧‧‧‧‧‧‧‧‧‧‧‧‧‧‧‧‧‧‧‧‧‧‧‧‧‧‧‧‧‧‧<13>
Ⅳ. 조직의 정의‧‧‧‧‧‧‧‧‧‧‧‧‧‧‧‧‧‧‧‧‧‧‧‧‧‧‧‧‧‧‧‧‧‧‧‧‧‧‧‧‧‧‧‧‧‧‧‧‧‧<16>
Ⅴ. 조직유형론‧‧‧‧‧‧‧‧‧‧‧‧‧‧‧‧‧‧‧‧‧‧‧‧‧‧‧‧‧‧‧‧‧‧‧‧‧‧‧‧‧‧‧‧‧‧‧‧‧‧‧<18>
Ⅵ. 조직과 환경‧‧‧‧‧‧‧‧‧‧‧‧‧‧‧‧‧‧‧‧‧‧‧‧‧‧‧‧‧‧‧‧‧‧‧‧‧‧‧‧‧‧‧‧‧‧‧‧‧‧<22>
Ⅶ. 전략적 선택이론‧‧‧‧‧‧‧‧‧‧‧‧‧‧‧‧‧‧‧‧‧‧‧‧‧‧‧‧‧‧‧‧‧‧‧‧‧‧‧‧‧‧‧‧‧‧<25>
Ⅷ. 자원의존성 이론‧‧‧‧‧‧‧‧‧‧‧‧‧‧‧‧‧‧‧‧‧‧‧‧‧‧‧‧‧‧‧‧‧‧‧‧‧‧‧‧‧‧‧‧‧‧<27>
Ⅸ. 조직군 생태이론‧‧‧‧‧‧‧‧‧‧‧‧‧‧‧‧‧‧‧‧‧‧‧‧‧‧‧‧‧‧‧‧‧‧‧‧‧‧‧‧‧‧‧‧‧‧<29>
Ⅹ. 제도화 이론‧‧‧‧‧‧‧‧‧‧‧‧‧‧‧‧‧‧‧‧‧‧‧‧‧‧‧‧‧‧‧‧‧‧‧‧‧‧‧‧‧‧‧‧‧‧‧‧‧‧<30>
Ⅺ. 관료제모형‧‧‧‧‧‧‧‧‧‧‧‧‧‧‧‧‧‧‧‧‧‧‧‧‧‧‧‧‧‧‧‧‧‧‧‧‧‧‧‧‧‧‧‧‧‧‧‧‧‧‧<32>
Ⅻ. 고전적 구조형성원리를 수정하는 모형‧‧‧‧‧‧‧‧‧‧‧‧‧‧‧‧‧‧‧‧‧‧‧‧‧‧<36>
ⅩⅢ .고전적 구조형성원리를 거부하는 반관료제적 모형‧‧‧‧‧‧‧‧‧‧‧‧‧‧‧<39>
Ⅹ Ⅳ .의사전달의 의미와 유형‧‧‧‧‧‧‧‧‧‧‧‧‧‧‧‧‧‧‧‧‧‧‧‧‧‧‧‧‧‧‧‧‧‧‧‧‧‧<42>
ⅩⅤ .의사전달의 장애‧‧‧‧‧‧‧‧‧‧‧‧‧‧‧‧‧‧‧‧‧‧‧‧‧‧‧‧‧‧‧‧‧‧‧‧‧‧‧‧‧‧‧‧‧‧<45>
ⅩⅥ .의사결정의 단계‧‧‧‧‧‧‧‧‧‧‧‧‧‧‧‧‧‧‧‧‧‧‧‧‧‧‧‧‧‧‧‧‧‧‧‧‧‧‧‧‧‧‧‧‧‧<48>
Ⅹ Ⅶ .문제발견의 방법과 대안선택의 전략‧‧‧‧‧‧‧‧‧‧‧‧‧‧‧‧‧‧‧‧‧‧‧‧‧‧‧‧<52>
Ⅹ Ⅷ . 의사결정의 모형-1‧‧‧‧‧‧‧‧‧‧‧‧‧‧‧‧‧‧‧‧‧‧‧‧‧‧‧‧‧‧‧‧‧‧‧‧‧‧‧‧‧‧‧‧<54>
ⅩⅨ . 의사결정의 모형-2‧‧‧‧‧‧‧‧‧‧‧‧‧‧‧‧‧‧‧‧‧‧‧‧‧‧‧‧‧‧‧‧‧‧‧‧‧‧‧‧‧‧‧‧<57>
ⅩⅩ . 리더쉽‧‧‧‧‧‧‧‧‧‧‧‧‧‧‧‧‧‧‧‧‧‧‧‧‧‧‧‧‧‧‧‧‧‧‧‧‧‧‧‧‧‧‧‧‧‧‧‧‧‧‧‧‧‧‧<59>
본문내용
화된 활동을 조직목표에 귀일시키는 통합화 노력의 필요가 커진다.
일곱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유지관리구조의 상대적인 규모는 커진다. 행정농도 심화.
여덟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조직구성원들의 사기와 조직목표에 대한 몰입도 저하.
아홉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조직의 변동률, 개혁률이 높아진다.
(2) 연구의 예
1) 복잡성과 조직변동
복잡성이 조직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 조직변동은 쇄신, 개혁, 사업변동등 여러 가지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 Jerald Hage와 Michael Aiken-\'조직의 복잡성이 높을수록 사업 변동률이 높다’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들이 말하는 복잡성은 조직 내에 있는 전문직업의 수와 전문화 수준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반영하는 개념이다. 조직 내에 전문 직업집단이 많고 그들의 전문화 수준이 높으면 사람들은 이른바 전문가 정신을 갖게 된다. 전문가 정신은 고객에 대해 보다 나은 전문적 봉사를 하려는 자세와 지식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자 세를 바탕으로 하는데, 이 두 가지 바탕은 조직의 변동을 촉진한다. 조직에 새로운 직업분야가 보태질 때마다 새로운 사업을 벌이거나 기존의 사업을 변동시켜야 할 필요가 생겨난다. 그리고 직업분야의 수가 많다는 사실 자체도 변화의 동인이 될 수 있다. 직업 종류가 많을수록 구성원들의 관점과 가치관은 다양해지고 각 직업집단은 조직 내의 권력과 보상을 더 많이 차지하려고 경쟁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일종의 갈등은 변화를 촉진하게 된다. 그리고 조직 내에 직업분야가 많으면 조정의 필요가 커지며 이것은 조정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능의 발전을 촉진하게 된다.
◎ Gerald Zaltman과 Robert Duncan, jonny Holbek
- 조직상의 쇄신과 복잡성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쇄신의 단계별로 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즉 쇄신의 착안단계에서는 복잡성이 쇄신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만 시행단계에서는 복잡성이 쇄신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조직이 복잡할수록 더 많은 쇄신의 착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쇄신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다방면에서 풍부하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의 복잡성이 크면 어떤 쇄신안을 채택할 것인지에 대하여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다.
2) 복잡성과 조직의 통합 그리고 환경의 영향
-복잡성의 한 국면인 수평적 분화와 환경적 복잡성 그리고 조직의 통합에 관한 문제를 연관 지은 연구의 예. 세 가지 종류의 산업체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ⅰ) 조직의 분화율이 높은 것은 고도로 분화되고 급속하게 변동하는 환경에 연관되어 있다.
ⅱ) 조직단위와 업무의 분화는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분화 및 행동분화를 수반한다.
ⅲ) 조직단위와 업무 분화율이 높고 그에 따른 태도 및 행동의 분화율이 높은 조직 내에는 갈등이 많아지고 그에 대응한 통합노력의 필요는 증대된다는 것.
ⅳ) 환경의 분화와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분화율이 높고 갈등이 많은 조직이 효율적인바 그것은 갈등을 해소하는 통합작용이 성공적이었기 때문이라는 것.
ⅴ) 효율적인 통합장치의 양태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는 것 등을 발견하였다.
◎ Lawrence와 Lorsch- 플라스틱제조업체들이 가장 복잡하고 급변하는 환경에 처해 있었으며 조직의 분화율도 가장 높았다. 두 번째 순위를 차지하는 것은 포장식품제조업체들이었으며 가장 하위를 차지하는 것은 컨테이너제조업체들이었다. 이러한 업체들에서 하위조직단위와 업무가 구분되면 그에 따라 소속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관련된 지향성이 서로 달라지고 따라서 갈등이 야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3) 복잡성과 조직구성원의 행태
◎ James Worthy- 조직구조와 구성원의 사기를 관련지은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조직의 과도한 복잡성은 조직내의 인간관계를 해치고 사기를 저하시킨다는 결론을 얻은 바 있다. 그가 말하는 복잡성에는 수평적 분화와 수직적 분화가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조직구조의 ‘과도한 복잡성’은 노사관계를 악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다.
둘째, 직무가 지나치게 세분되면 산출이 줄어들고 사기가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 과도한 복잡성은 감독과 조정의 필요를 증대시키며 유지관리구조의 비대화를 초래한다.
넷째, 과도하게 복잡한 조직구조는 독단적이고 강압적인 리더를 필요로 한다. 강압적 수단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은 리더의 성격보다 구조의 큭성에 더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다섯째, 감독의 계층이 많고 면밀한 통제의 체제가 사용되고 있는 곳에서는 직원들이 자신감을 갖고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잃게 된다.
4) 복잡성과 행정농도, 기술 및 규모
Theodore Anderson과 Seymour Warkov는 병원조직에 대한 연구에서 장소적 분산과 유지관리구조의 규모 사이에 적극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Edna Raphael은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에서 그와 반대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장소적 분산이 심할수록 유지관리구조의 규모는 작아지는 현상을 관찰한 것이다. Raphael은 노동조합이 자발적 조직이며 지역적으로 분산된 단위조합들이 중앙통제로부터 높은 자율성을 누리기 때문에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났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William Mckinley는 제조회사들에 관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기술적 및 구조적 복잡성과 행정농도의 관계에 개입하는 조직쇠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는 성장하는 조직인가 아니면 쇠퇴하는 조직인가에 따라 복잡성과 행정농도의 관계는 달라진다는 사실 그리고 조직쇠퇴의 경향이 강할수록 기술적, 구조적 복잡성과 행정농도 사이의 적극적 상관관계는 약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iken과 Hage는 16개의 사회봉사조직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업의 범위가 넓고 그 곤란성이 크면 기술의 수와 직업종류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조직의 규모가 크면 유지관리부문이라는 전문 직업분야를 따로 두어야 하므로 그 문제에 관한 한 규모와 복잡성은 적극적으로 상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곱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유지관리구조의 상대적인 규모는 커진다. 행정농도 심화.
여덟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조직구성원들의 사기와 조직목표에 대한 몰입도 저하.
아홉째, 구조의 복잡성이 높아지면 조직의 변동률, 개혁률이 높아진다.
(2) 연구의 예
1) 복잡성과 조직변동
복잡성이 조직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 조직변동은 쇄신, 개혁, 사업변동등 여러 가지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 Jerald Hage와 Michael Aiken-\'조직의 복잡성이 높을수록 사업 변동률이 높다’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들이 말하는 복잡성은 조직 내에 있는 전문직업의 수와 전문화 수준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지식의 넓이와 깊이를 반영하는 개념이다. 조직 내에 전문 직업집단이 많고 그들의 전문화 수준이 높으면 사람들은 이른바 전문가 정신을 갖게 된다. 전문가 정신은 고객에 대해 보다 나은 전문적 봉사를 하려는 자세와 지식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자 세를 바탕으로 하는데, 이 두 가지 바탕은 조직의 변동을 촉진한다. 조직에 새로운 직업분야가 보태질 때마다 새로운 사업을 벌이거나 기존의 사업을 변동시켜야 할 필요가 생겨난다. 그리고 직업분야의 수가 많다는 사실 자체도 변화의 동인이 될 수 있다. 직업 종류가 많을수록 구성원들의 관점과 가치관은 다양해지고 각 직업집단은 조직 내의 권력과 보상을 더 많이 차지하려고 경쟁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일종의 갈등은 변화를 촉진하게 된다. 그리고 조직 내에 직업분야가 많으면 조정의 필요가 커지며 이것은 조정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능의 발전을 촉진하게 된다.
◎ Gerald Zaltman과 Robert Duncan, jonny Holbek
- 조직상의 쇄신과 복잡성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쇄신의 단계별로 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즉 쇄신의 착안단계에서는 복잡성이 쇄신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만 시행단계에서는 복잡성이 쇄신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조직이 복잡할수록 더 많은 쇄신의 착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쇄신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다방면에서 풍부하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의 복잡성이 크면 어떤 쇄신안을 채택할 것인지에 대하여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다.
2) 복잡성과 조직의 통합 그리고 환경의 영향
-복잡성의 한 국면인 수평적 분화와 환경적 복잡성 그리고 조직의 통합에 관한 문제를 연관 지은 연구의 예. 세 가지 종류의 산업체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ⅰ) 조직의 분화율이 높은 것은 고도로 분화되고 급속하게 변동하는 환경에 연관되어 있다.
ⅱ) 조직단위와 업무의 분화는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분화 및 행동분화를 수반한다.
ⅲ) 조직단위와 업무 분화율이 높고 그에 따른 태도 및 행동의 분화율이 높은 조직 내에는 갈등이 많아지고 그에 대응한 통합노력의 필요는 증대된다는 것.
ⅳ) 환경의 분화와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분화율이 높고 갈등이 많은 조직이 효율적인바 그것은 갈등을 해소하는 통합작용이 성공적이었기 때문이라는 것.
ⅴ) 효율적인 통합장치의 양태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는 것 등을 발견하였다.
◎ Lawrence와 Lorsch- 플라스틱제조업체들이 가장 복잡하고 급변하는 환경에 처해 있었으며 조직의 분화율도 가장 높았다. 두 번째 순위를 차지하는 것은 포장식품제조업체들이었으며 가장 하위를 차지하는 것은 컨테이너제조업체들이었다. 이러한 업체들에서 하위조직단위와 업무가 구분되면 그에 따라 소속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관련된 지향성이 서로 달라지고 따라서 갈등이 야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3) 복잡성과 조직구성원의 행태
◎ James Worthy- 조직구조와 구성원의 사기를 관련지은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조직의 과도한 복잡성은 조직내의 인간관계를 해치고 사기를 저하시킨다는 결론을 얻은 바 있다. 그가 말하는 복잡성에는 수평적 분화와 수직적 분화가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조직구조의 ‘과도한 복잡성’은 노사관계를 악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다.
둘째, 직무가 지나치게 세분되면 산출이 줄어들고 사기가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 과도한 복잡성은 감독과 조정의 필요를 증대시키며 유지관리구조의 비대화를 초래한다.
넷째, 과도하게 복잡한 조직구조는 독단적이고 강압적인 리더를 필요로 한다. 강압적 수단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은 리더의 성격보다 구조의 큭성에 더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다섯째, 감독의 계층이 많고 면밀한 통제의 체제가 사용되고 있는 곳에서는 직원들이 자신감을 갖고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잃게 된다.
4) 복잡성과 행정농도, 기술 및 규모
Theodore Anderson과 Seymour Warkov는 병원조직에 대한 연구에서 장소적 분산과 유지관리구조의 규모 사이에 적극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Edna Raphael은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에서 그와 반대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장소적 분산이 심할수록 유지관리구조의 규모는 작아지는 현상을 관찰한 것이다. Raphael은 노동조합이 자발적 조직이며 지역적으로 분산된 단위조합들이 중앙통제로부터 높은 자율성을 누리기 때문에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났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William Mckinley는 제조회사들에 관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기술적 및 구조적 복잡성과 행정농도의 관계에 개입하는 조직쇠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는 성장하는 조직인가 아니면 쇠퇴하는 조직인가에 따라 복잡성과 행정농도의 관계는 달라진다는 사실 그리고 조직쇠퇴의 경향이 강할수록 기술적, 구조적 복잡성과 행정농도 사이의 적극적 상관관계는 약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iken과 Hage는 16개의 사회봉사조직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업의 범위가 넓고 그 곤란성이 크면 기술의 수와 직업종류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조직의 규모가 크면 유지관리부문이라는 전문 직업분야를 따로 두어야 하므로 그 문제에 관한 한 규모와 복잡성은 적극적으로 상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