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1. 연구논문 요약
1. 논문명
2. 학술지명
3. 저자
4. 연구의 필요성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7. 결론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I-2. 연구논문 요약
1. 논문명
2. 학술지명
3. 저자
4. 연구의 필요성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7. 결론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II. 연구계획서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가설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운동 방법
3-3. 인지기능 평가
3-4. 연구설계
3-5. 연구방법
1. 논문명
2. 학술지명
3. 저자
4. 연구의 필요성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7. 결론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I-2. 연구논문 요약
1. 논문명
2. 학술지명
3. 저자
4. 연구의 필요성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7. 결론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II. 연구계획서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가설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운동 방법
3-3. 인지기능 평가
3-4. 연구설계
3-5. 연구방법
본문내용
주하는 노인들의 인지기능,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우울증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치매를 예방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노인들이 다른 운동을 하는 등의 활동들을 통제할 수 없어 정확한 비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동이 개인 운동이 아닌 집단 운동으로 진행되어, 인지기능 및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 개선이 운동으로 인한 효과인지 아니면 이웃과의 사회활동으로 인한 효과인지 명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워, 운동 자체만의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10주간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있었지만, 더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I. 연구계획서
1. 연구의 필요성: 노인은 근력과 대뇌 신경세포의 퇴화로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신체기능이 저하되며,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꾸준한 운동을 통한 신체기능 저하 방지 노력이 인지기능 저하 방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 가설
첫째, 신체기능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신체기능 향상이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65세이상 노인
3-2. 운동 방법
①근력운동수행능력
-상체근력: 아령들기(무게측정)
-하체근력: 런지 김은비, 여성의 대둔근 활성화 운동 유형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한 다리를 앞으로 어깨너비만큼 내밀고 양 다리를 90도로 굽혔다 펴며 앉았다 일어선다. 양손에 덤벨을 쥐고 무게를 조절한다.
-코어근력(균형능력): 한발 서기 최보람, 고민석, 이원휘, 하지 근력운동 방법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비교, 한국보건복지학회, 2016, 41-54.
한발 서기 검사는 선 자세에서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Stones와 Kozma(1987)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평평한 바닥 위에 서고, 양 팔을 허리 위에 올린 상태에서 눈을 뜬 상태로 시작 명령과 함께 한 쪽 다리를 올리고, 다리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검사를 시작하여 발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Bohannon과 Larkin(1984)의 측정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평소에 많이 사용하는 발(우세측 발)을 이용하여 한발 서기하고, 다른 쪽 다리는5cm 정도 올린 다음, 들려진 다리가 바닥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초시계를 이용하여 초(sec)단위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측정은 외발서기를 2회 실시한 후에 높은측정치를 선택한다. OLST 검사 시 대상자가 넘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검사자는 대상자의 옆에서 넘어지는 것을 감독한다.
②유연성검사: 앞으로 굽히기
③근력상태 : 생체전기저항법기기(InBody) 사용하여 측정
3-3. 인지기능 평가: 우리나라에서 선별검사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중인 MMSE-DS 검사 수행
3-4. 연구설계
사전검사
개입
사후검사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운동수행능력
·건강상태
·우울증
·근력상태
실험군
→
·개인별 운동 지도(2회/주)
·인지기능
·건강상태
·운동수행능력
·우울증
·근력상태
→
→
대조군
→
·제공하는 것 없으나, 개인적으로 하는 운동이 있는 경우 적도록 함
3-5. 연구기간: 6개월
4. 참고문헌
1)김은비, 여성의 대둔근 활성화 운동 유형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2)최보람, 고민석, 이원휘, 하지 근력운동 방법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비교, 한국보건복지학회, 2016, 41-54.
8. 해당 연구의 개선사항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노인들이 다른 운동을 하는 등의 활동들을 통제할 수 없어 정확한 비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동이 개인 운동이 아닌 집단 운동으로 진행되어, 인지기능 및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 개선이 운동으로 인한 효과인지 아니면 이웃과의 사회활동으로 인한 효과인지 명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워, 운동 자체만의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10주간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있었지만, 더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I. 연구계획서
1. 연구의 필요성: 노인은 근력과 대뇌 신경세포의 퇴화로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신체기능이 저하되며,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꾸준한 운동을 통한 신체기능 저하 방지 노력이 인지기능 저하 방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 가설
첫째, 신체기능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신체기능 향상이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65세이상 노인
3-2. 운동 방법
①근력운동수행능력
-상체근력: 아령들기(무게측정)
-하체근력: 런지 김은비, 여성의 대둔근 활성화 운동 유형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한 다리를 앞으로 어깨너비만큼 내밀고 양 다리를 90도로 굽혔다 펴며 앉았다 일어선다. 양손에 덤벨을 쥐고 무게를 조절한다.
-코어근력(균형능력): 한발 서기 최보람, 고민석, 이원휘, 하지 근력운동 방법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비교, 한국보건복지학회, 2016, 41-54.
한발 서기 검사는 선 자세에서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Stones와 Kozma(1987)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평평한 바닥 위에 서고, 양 팔을 허리 위에 올린 상태에서 눈을 뜬 상태로 시작 명령과 함께 한 쪽 다리를 올리고, 다리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검사를 시작하여 발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Bohannon과 Larkin(1984)의 측정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평소에 많이 사용하는 발(우세측 발)을 이용하여 한발 서기하고, 다른 쪽 다리는5cm 정도 올린 다음, 들려진 다리가 바닥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초시계를 이용하여 초(sec)단위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측정은 외발서기를 2회 실시한 후에 높은측정치를 선택한다. OLST 검사 시 대상자가 넘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검사자는 대상자의 옆에서 넘어지는 것을 감독한다.
②유연성검사: 앞으로 굽히기
③근력상태 : 생체전기저항법기기(InBody) 사용하여 측정
3-3. 인지기능 평가: 우리나라에서 선별검사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중인 MMSE-DS 검사 수행
3-4. 연구설계
사전검사
개입
사후검사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운동수행능력
·건강상태
·우울증
·근력상태
실험군
→
·개인별 운동 지도(2회/주)
·인지기능
·건강상태
·운동수행능력
·우울증
·근력상태
→
→
대조군
→
·제공하는 것 없으나, 개인적으로 하는 운동이 있는 경우 적도록 함
3-5. 연구기간: 6개월
4. 참고문헌
1)김은비, 여성의 대둔근 활성화 운동 유형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2)최보람, 고민석, 이원휘, 하지 근력운동 방법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비교, 한국보건복지학회, 2016, 41-5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