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재와 방송강의의 해당 부분을 찾아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 국어사 연구의 방법 (제1강)
2.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징 (제2강)
3. 국어사의 시대구분 (제3강)
4. 이두, 구결, 향찰 (제4강)
- 목 차 -
1. 국어사 연구 방법
2.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
3. 국어사의 시대구분
4. 이두, 구결, 향찰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국어사의 시대구분.hwp
2. 국어사의 연구 방법.hwp
3.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질.hwp
4. 이두, 구결, 향찰.hwp
5. 국어사의 시대구분2.hwp
6. 국어사의 연구 방법2.hwp
7.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질2.hwp
8. 이두, 구결, 향찰2.hwp
1. 국어사 연구의 방법 (제1강)
2.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징 (제2강)
3. 국어사의 시대구분 (제3강)
4. 이두, 구결, 향찰 (제4강)
- 목 차 -
1. 국어사 연구 방법
2.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
3. 국어사의 시대구분
4. 이두, 구결, 향찰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국어사의 시대구분.hwp
2. 국어사의 연구 방법.hwp
3.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질.hwp
4. 이두, 구결, 향찰.hwp
5. 국어사의 시대구분2.hwp
6. 국어사의 연구 방법2.hwp
7. 알타이 제어의 공통적 특질2.hwp
8. 이두, 구결, 향찰2.hwp
본문내용
1. 국어사 연구 방법
1) 문헌자료 연구
언어는 문자로 기록되기 때문에 각 시대의 문자 기록인 문헌자료는 어떤 언어의 지나온 자취를 밝혀주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문헌자료라 함은 문자로 기록되어 있어 눈으로 볼 수 있는 자료를 가리킨다. 현대의 여러 방언이나, 민요, 판소리 등의 음성자료에서도 국어의 옛 모습을 더듬어 볼 수 있겠지만, 국어사의 연구 자료로서 주축이 되는 것은 문헌자료이다.
이들 문헌자료는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문자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종(鍾)이나 비석(碑石) 등에 새겨진 것을 금석문(金石文)이라 하고, 종이나 비단 등에 쓰여지거나 인쇄된 것을 전적(典籍)이라 한다.
문헌자료 연구시 유의점은 문자의 보수성에 유의한다. 문자 체계나 정서법은 고정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보통 그 문헌이 이루어진 때의 언어보다는 앞선 단계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문자의 환영(幻影)에 속지 말아야 한다. 어떤 문자가 예로부터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되었다고 해서 그 문자의 가치가 언제나 같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현대국어의 단모음인 ‘ㅐ’, ‘ㅔ’는 15세기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음이 밝혀진 바 있다.
2) 비교방법
비교 방법은 언어 간의 친족 관계를 밝히고, 친족 관계가 확인된 언어들의 조어(祖語, 조상 언어)를 추정하며, 각 언어들이 조어에서 분화된 후의 역사적 변천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비교 언어학을 통해 세계의 언어를 여러 어족(語族)으로 나눌 수 있고,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 언어의 모습에 대해서도 알 수 있으며, 한 언어의 역사도 알아볼 수 있다.
비교 방법은 일반적으로 언어들의 문헌 이전의 역사, 즉 선사(先史)를 밝히는 방법을 말한다. 동일 계통에 속하는 언어들의 비교에 의해 그 공통조어를 재구하고 그 조어로부터 갈라져 나온 언어들이 변천한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 방법은 순수 이론적 언어학에서보다는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보통 기준언어는 학습자의 모국어가 되며 대비되는 언어는 학습자의 목표언어가 된다. 대조의 결과를 설명하는 메타언어는 분석자의 모국어로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며, 대조의 빈칸을 설명하기 위해 기준 언어를 바꾸는 것은 잘못이다. 하지만 실제 대조분석을 수행할 때 해당 자료가 어느 유형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보통 어휘적 대응 관계에서는 분석이 용이하나 음운, 통사, 화용 등 기타 영역에까지 일관성 있는 대조분석을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3) 내적 재구
한 언어의 자료만을 가지고 그 언어의 옛 모습을 추정하는 것을 내적 재구라 한다. 언어는 변화 과정에서 시간적ㆍ공간적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 흔적을 통해 언어의 변화 과정을 복원하여 그 변화가 일어나기 전의 어형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시간적 흔적은 문헌을 통해, 공간적 흔적은 방언을 통해 확인된다. 한 언어 안에서 어떤 단어의 어형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할 때 외적 재구보다 내적 재구를 사용하게 된다.
내적 재구란 15세기 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절의 유형들을 통해 이보다 앞선 시기, 즉 고대국어의 음절구조를 재구하는 것을 이른다. 내적 재구란 ‘한 언어 내에서 공시적인 형태론적 교체에서 출발하여 그것만을 유일한 증거로 하여 통시적인 음운규칙들을 재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내적 재구의 대상이 된 주된 언어적 단위는 음운이다.
이와 같이 내적 재구는 순전히 어떤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암시에 근거해서 그 이전의 상태를 재구하는 방법이다. 현대국어에서 ‘낫’, ‘낮’, ‘낯’, ‘낟’, ‘낱’의 말자음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제대로 나타나지만 휴지 앞에서는 모두 [t]로 중화되는데, 이는 어느 이른 단계에서는 이들의 말자음이 휴지 앞에서도 제대로 나타나다가 후에 하나로 합류되었음을 암시한다. 또한 15세기 국어의 명사 ‘나모~’, ‘~’의 교체로부터 ‘*나’, ‘*’의 옛 형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 중략 -
1) 문헌자료 연구
언어는 문자로 기록되기 때문에 각 시대의 문자 기록인 문헌자료는 어떤 언어의 지나온 자취를 밝혀주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문헌자료라 함은 문자로 기록되어 있어 눈으로 볼 수 있는 자료를 가리킨다. 현대의 여러 방언이나, 민요, 판소리 등의 음성자료에서도 국어의 옛 모습을 더듬어 볼 수 있겠지만, 국어사의 연구 자료로서 주축이 되는 것은 문헌자료이다.
이들 문헌자료는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문자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종(鍾)이나 비석(碑石) 등에 새겨진 것을 금석문(金石文)이라 하고, 종이나 비단 등에 쓰여지거나 인쇄된 것을 전적(典籍)이라 한다.
문헌자료 연구시 유의점은 문자의 보수성에 유의한다. 문자 체계나 정서법은 고정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보통 그 문헌이 이루어진 때의 언어보다는 앞선 단계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문자의 환영(幻影)에 속지 말아야 한다. 어떤 문자가 예로부터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되었다고 해서 그 문자의 가치가 언제나 같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현대국어의 단모음인 ‘ㅐ’, ‘ㅔ’는 15세기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음이 밝혀진 바 있다.
2) 비교방법
비교 방법은 언어 간의 친족 관계를 밝히고, 친족 관계가 확인된 언어들의 조어(祖語, 조상 언어)를 추정하며, 각 언어들이 조어에서 분화된 후의 역사적 변천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비교 언어학을 통해 세계의 언어를 여러 어족(語族)으로 나눌 수 있고,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 언어의 모습에 대해서도 알 수 있으며, 한 언어의 역사도 알아볼 수 있다.
비교 방법은 일반적으로 언어들의 문헌 이전의 역사, 즉 선사(先史)를 밝히는 방법을 말한다. 동일 계통에 속하는 언어들의 비교에 의해 그 공통조어를 재구하고 그 조어로부터 갈라져 나온 언어들이 변천한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 방법은 순수 이론적 언어학에서보다는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보통 기준언어는 학습자의 모국어가 되며 대비되는 언어는 학습자의 목표언어가 된다. 대조의 결과를 설명하는 메타언어는 분석자의 모국어로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며, 대조의 빈칸을 설명하기 위해 기준 언어를 바꾸는 것은 잘못이다. 하지만 실제 대조분석을 수행할 때 해당 자료가 어느 유형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보통 어휘적 대응 관계에서는 분석이 용이하나 음운, 통사, 화용 등 기타 영역에까지 일관성 있는 대조분석을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3) 내적 재구
한 언어의 자료만을 가지고 그 언어의 옛 모습을 추정하는 것을 내적 재구라 한다. 언어는 변화 과정에서 시간적ㆍ공간적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 흔적을 통해 언어의 변화 과정을 복원하여 그 변화가 일어나기 전의 어형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시간적 흔적은 문헌을 통해, 공간적 흔적은 방언을 통해 확인된다. 한 언어 안에서 어떤 단어의 어형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할 때 외적 재구보다 내적 재구를 사용하게 된다.
내적 재구란 15세기 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절의 유형들을 통해 이보다 앞선 시기, 즉 고대국어의 음절구조를 재구하는 것을 이른다. 내적 재구란 ‘한 언어 내에서 공시적인 형태론적 교체에서 출발하여 그것만을 유일한 증거로 하여 통시적인 음운규칙들을 재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내적 재구의 대상이 된 주된 언어적 단위는 음운이다.
이와 같이 내적 재구는 순전히 어떤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암시에 근거해서 그 이전의 상태를 재구하는 방법이다. 현대국어에서 ‘낫’, ‘낮’, ‘낯’, ‘낟’, ‘낱’의 말자음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제대로 나타나지만 휴지 앞에서는 모두 [t]로 중화되는데, 이는 어느 이른 단계에서는 이들의 말자음이 휴지 앞에서도 제대로 나타나다가 후에 하나로 합류되었음을 암시한다. 또한 15세기 국어의 명사 ‘나모~’, ‘~’의 교체로부터 ‘*나’, ‘*’의 옛 형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 중략 -
추천자료
- 2013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성)
- 2014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성)
- 2015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성)
- 2019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
- 2020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시대구분방법과 각 시기 특징)
- 2021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 연구의 목적와 연구방법 등)
- 2022년 1학기 우리말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어사의 연구 방법, 언어 변화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