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료적 관계>
< 정신간호 중재기법 >
< 조현병 >
< 양극성 장애>
< 우울장애 간호>
< 정신간호 중재기법 >
< 조현병 >
< 양극성 장애>
< 우울장애 간호>
본문내용
기록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비난할 것에 대해 걱저하고 있다. 이 대상자의 인지패턴에 대한 특성은?
1) 극대화
2) 과도한 일반화
3) 현실적인 인지
4) 흑백 논리적 사고
5) 자기가치의 외향화
: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민감하고 자기 가치의 기준을 자신보다는 타인에게 두는 자기가치의 외향화는 사건이나 상황을 왜곡하게 인지하게 한다.
5. 행동수정요법에서 지향하는 1차적 목표는?
1) 환경적응 유지
2) 부적응 행동 감소
3) 적응적 행동 소멸 감소
4) 적응적 행동 강화 증진
5) 부적응 행동 강화 증진
: 행동수정요법에서는 부적응적 행동을 감소하기 위한 벌을 사용하고 적응적 행동 증가를 위해 칭찬을 사용한다. 치료적 접근은 대상자의 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이 가장 바람직 하다.
6. Haloperidol을 복용하고 잇는 환자가 갑자기 뒷목이 뻣뻣해지며 입이 옆으로 돌아가서 말을 못한다고 호소하낟. 예측 가능한 부작용은?
1) 정좌 불능증
2) 무과립세포증
3) 기립성 저혈압
4) 급성 근긴장 이상
5) 지연성 운동이상
: 항정신약물 Haloperidol의 부작용인 추체외로 증후군으로 뒷목이 뻣뻣해지며 입이 옆으로 돌아가는 증상은 급성근긴장이상이다.
7. 전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혈압을 자기 전에 재야 하는 이유는?
1) 약이 졸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2) 약물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하여
3) 기립성 저혈압을 사정하기 위하여
4) 호르몬의 불균형을 초래하기 때문에
5) 항정신병 약물들이 고혈압을 유발하기 때문에
: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는 급성 추체외로 증후군, 지연성 운동장애, 체중 증가, 대사증후군,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다.
< 조현병 >
1. 입원 2개월째, 심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지만 덜해졌고, 단시간의 산책도 하고 있다. 약은 거부하지 않고 복용하며, 병동에서는 혼자 지내며 가끔씩 장기를 둔다. 퇴원을 고려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1) 세탁법 교육
2) 요리 교실 참여
3) 직업 교육과정 소개
4) 복약 자가 관리 교육
5) 스포츠 및 활동 요법 권장
조현병의 치료 예후는 복약에 큰 영향을 받는다. 환자 스스로 약물을 적절히 복약하지 않는 것은 조현병 재발의 가장 큰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복약 관리 및 교육이 중요하다. 세탁법이나 요리, 스포츠 등은 권장되나 우선적으로 중요한 일은 아니다.
NMS-약물복용 중단 시 재발률 40%
투약을 중단한 대상자는 60~70%가 재발
투약을 계속한 대상자는 재발률이 40%
2. 신 씨는 누군가 자신의 음식에 독을 넣는다며 진공 포장된 음식만 먹는다. 혼자 중얼거디라 크게 웃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고 혼자 복도를 분주히 돌아다닌다. 신 씨의 몸에서는 악취가 나며 담당 간호사 외에 다른 사람과는 교류가 없다. 신 씨의 치료와 간호로 적절한 것은?
1) 신체적 접촉을 사용하며 접근한다.
2) 병원에서 조리된 음식은 안전하다고 교육한다.
3) Lithium 혈중 농도를 1.0~1.4mEq/L 로 유지해야 한다.
4) 어떤 목소리가 들리는지 물어보고 그 내용을 자세히 사정한다.
5) 몸에서 냄새가 난다고 알려주고 매주 빨간 날에 옷 갈아입기를 지시한다.
: 1번= 망상과 환각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신체적 접촉은 주의하며 사용한다. 의심 환자 중재 시에는 신체접촉을 피하여 오해를 방지해야 한다.
2번=망상은 설득되지 않는다.
3번= Lithium은 기분조절제로 양극성장애와 우울장애에 주로 사용한다.
4번= 환각의 내용보다는 그것의 근원적인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5번= 대상자의 위생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개인위생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3.. 조현병으로 입원한 40세 남자 김 씨는 환청과 과대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은?
1) Prozac 2) lithium 3) Tofranil 4) Diazepam 5) Chlorpromazine
: 1. 3 항우울제 / 2 기분안정제 / 4 - 항불안제
5 -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로 조현병의 양성증상 치료 시 사용한다. =Thorazine
4. 조현병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감각지각장애는?
1) 음식에 독이 들어잇다고 말한다.
2) 팔에 벌레가 기어 다닌다며 떼어내려한다.
3) 자신을 죽이려 달려드는 귀신이 있다고 한다.
4) 옆 환자에게서 지독한 냄새가 나서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5) 밤마다 아기 울음소리 때매 잠을 못잔다고 한다.
: 조현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환각은 환청이다.
1번: 피해망상/ 2번:환촉/ 3번: 환시/ 4번: 환후
5. 2일전 입원한 환자가 “나가 죽으라고 하잖아요!” 라며 환청 때문에 울고 있다. 이 대상자를 위한 간호중재 중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1) 환자를 격리시킨다.
2) 환자의 행동을 직면시킨다.
3) 사실이 아니라고 현실감을 준다.
4) 환청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을 사정한다.
5)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고 단호히 말한다.
: 죽으라는 내용의 환청이 들리고 입원 2일째인 대상자는 급성기라고 hqf tn 있다. 환청의 내용과 관련하여 자살 위험성에대해 사정하고 중재해야 한다. 조현병의 자살 위험률은 약 10%이다.
< 양극성 장애>
1. 자신에게는 특별한 능력이 있어 대단한 사람들과 친분이 있다고 말하는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정신 심리적 역동은?
1) 자신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
2) 자신에 대한 존엄성을 강조하고 있따.
3) 자신에 대한 열등감을 방어하는 것이다.
4) 특별한 인간으로 우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5)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긍정적 사고로 극복하고 있다.
: 양극성 장애의 과대 사고는 죄의식, 낮은 자존감, 불안으로 인한 현실적 위험과 내재된 우울에 대한 방어라는 정신 심리적 역동이 작용한 것으로 3번이 정답이다.
2. 평소에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열등감을 가진 양극성 장애 조증 에피소드 환자의 특징적인 행동은?
1) 위축된 행동을 보인다.
2) 새로운 사람 만나는 것을 꺼린다.
3) 다른 사람에게 과도한 친절을 베푼다.
4) 토론할 때 자신의
1) 극대화
2) 과도한 일반화
3) 현실적인 인지
4) 흑백 논리적 사고
5) 자기가치의 외향화
: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민감하고 자기 가치의 기준을 자신보다는 타인에게 두는 자기가치의 외향화는 사건이나 상황을 왜곡하게 인지하게 한다.
5. 행동수정요법에서 지향하는 1차적 목표는?
1) 환경적응 유지
2) 부적응 행동 감소
3) 적응적 행동 소멸 감소
4) 적응적 행동 강화 증진
5) 부적응 행동 강화 증진
: 행동수정요법에서는 부적응적 행동을 감소하기 위한 벌을 사용하고 적응적 행동 증가를 위해 칭찬을 사용한다. 치료적 접근은 대상자의 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이 가장 바람직 하다.
6. Haloperidol을 복용하고 잇는 환자가 갑자기 뒷목이 뻣뻣해지며 입이 옆으로 돌아가서 말을 못한다고 호소하낟. 예측 가능한 부작용은?
1) 정좌 불능증
2) 무과립세포증
3) 기립성 저혈압
4) 급성 근긴장 이상
5) 지연성 운동이상
: 항정신약물 Haloperidol의 부작용인 추체외로 증후군으로 뒷목이 뻣뻣해지며 입이 옆으로 돌아가는 증상은 급성근긴장이상이다.
7. 전형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혈압을 자기 전에 재야 하는 이유는?
1) 약이 졸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2) 약물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하여
3) 기립성 저혈압을 사정하기 위하여
4) 호르몬의 불균형을 초래하기 때문에
5) 항정신병 약물들이 고혈압을 유발하기 때문에
: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는 급성 추체외로 증후군, 지연성 운동장애, 체중 증가, 대사증후군,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다.
< 조현병 >
1. 입원 2개월째, 심장에 대한 불안은 여전하지만 덜해졌고, 단시간의 산책도 하고 있다. 약은 거부하지 않고 복용하며, 병동에서는 혼자 지내며 가끔씩 장기를 둔다. 퇴원을 고려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1) 세탁법 교육
2) 요리 교실 참여
3) 직업 교육과정 소개
4) 복약 자가 관리 교육
5) 스포츠 및 활동 요법 권장
조현병의 치료 예후는 복약에 큰 영향을 받는다. 환자 스스로 약물을 적절히 복약하지 않는 것은 조현병 재발의 가장 큰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복약 관리 및 교육이 중요하다. 세탁법이나 요리, 스포츠 등은 권장되나 우선적으로 중요한 일은 아니다.
NMS-약물복용 중단 시 재발률 40%
투약을 중단한 대상자는 60~70%가 재발
투약을 계속한 대상자는 재발률이 40%
2. 신 씨는 누군가 자신의 음식에 독을 넣는다며 진공 포장된 음식만 먹는다. 혼자 중얼거디라 크게 웃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고 혼자 복도를 분주히 돌아다닌다. 신 씨의 몸에서는 악취가 나며 담당 간호사 외에 다른 사람과는 교류가 없다. 신 씨의 치료와 간호로 적절한 것은?
1) 신체적 접촉을 사용하며 접근한다.
2) 병원에서 조리된 음식은 안전하다고 교육한다.
3) Lithium 혈중 농도를 1.0~1.4mEq/L 로 유지해야 한다.
4) 어떤 목소리가 들리는지 물어보고 그 내용을 자세히 사정한다.
5) 몸에서 냄새가 난다고 알려주고 매주 빨간 날에 옷 갈아입기를 지시한다.
: 1번= 망상과 환각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신체적 접촉은 주의하며 사용한다. 의심 환자 중재 시에는 신체접촉을 피하여 오해를 방지해야 한다.
2번=망상은 설득되지 않는다.
3번= Lithium은 기분조절제로 양극성장애와 우울장애에 주로 사용한다.
4번= 환각의 내용보다는 그것의 근원적인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5번= 대상자의 위생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개인위생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3.. 조현병으로 입원한 40세 남자 김 씨는 환청과 과대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은?
1) Prozac 2) lithium 3) Tofranil 4) Diazepam 5) Chlorpromazine
: 1. 3 항우울제 / 2 기분안정제 / 4 - 항불안제
5 -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로 조현병의 양성증상 치료 시 사용한다. =Thorazine
4. 조현병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감각지각장애는?
1) 음식에 독이 들어잇다고 말한다.
2) 팔에 벌레가 기어 다닌다며 떼어내려한다.
3) 자신을 죽이려 달려드는 귀신이 있다고 한다.
4) 옆 환자에게서 지독한 냄새가 나서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5) 밤마다 아기 울음소리 때매 잠을 못잔다고 한다.
: 조현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환각은 환청이다.
1번: 피해망상/ 2번:환촉/ 3번: 환시/ 4번: 환후
5. 2일전 입원한 환자가 “나가 죽으라고 하잖아요!” 라며 환청 때문에 울고 있다. 이 대상자를 위한 간호중재 중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1) 환자를 격리시킨다.
2) 환자의 행동을 직면시킨다.
3) 사실이 아니라고 현실감을 준다.
4) 환청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을 사정한다.
5)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고 단호히 말한다.
: 죽으라는 내용의 환청이 들리고 입원 2일째인 대상자는 급성기라고 hqf tn 있다. 환청의 내용과 관련하여 자살 위험성에대해 사정하고 중재해야 한다. 조현병의 자살 위험률은 약 10%이다.
< 양극성 장애>
1. 자신에게는 특별한 능력이 있어 대단한 사람들과 친분이 있다고 말하는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정신 심리적 역동은?
1) 자신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
2) 자신에 대한 존엄성을 강조하고 있따.
3) 자신에 대한 열등감을 방어하는 것이다.
4) 특별한 인간으로 우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5)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긍정적 사고로 극복하고 있다.
: 양극성 장애의 과대 사고는 죄의식, 낮은 자존감, 불안으로 인한 현실적 위험과 내재된 우울에 대한 방어라는 정신 심리적 역동이 작용한 것으로 3번이 정답이다.
2. 평소에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열등감을 가진 양극성 장애 조증 에피소드 환자의 특징적인 행동은?
1) 위축된 행동을 보인다.
2) 새로운 사람 만나는 것을 꺼린다.
3) 다른 사람에게 과도한 친절을 베푼다.
4) 토론할 때 자신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