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A++ 급성후두개염 사례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A++ 급성후두개염 사례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했다.
: ceftiaxone sodium hydrate 2g을 60mg/kg을 1일 1회 투여했다.
④ 해열제를 복용했다.
: 맥시부펜시럽 500ml을 1일 1회 0.5mL/kg의 용량을 4~6시간 간격으로 필요시 복용했다.
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했다.
: 고체온으로 인해 피부홍조나 식음땀이 나는지 확인했다.
⑥ 열을 낮추기 위해 미온수에 적신 스펀지로 아동의 몸을 닦아주었다.
평가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 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 36.6도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 대상자는 24시간이내 체온이 38.0이하로 감소한다.
: 달성/ 대상자는 24시간이내 18:00에 체온이 37.5도로 감소되었다.
일 시
2월 10일
입원 후 ( 1 )일
사정
주관적 자료
“ 아이가 숨을 제대로 못 쉬요”
“ 아이 목소리가 잘 나지 않고 쉰 목소리가 나요. 어쩌면 좋죠?”
객관적 자료
목소리가 쉬고, 잘 나오지 않음
- RR(호흡): 38회/분(빈호흡)
- PR(맥박): 138회/분(빈맥)
입술 색이 약간 푸른색을 뜀
산소포화도 SPO2: 90%(정상: 95-100%)
아동은 턱을 앞으로 내밀고 앞으로 향해 앉아 있음(삼각대 자세)
간호진단
#2.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산소포화도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목소리가 잘 나온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보인다.
대상자는 2일이내 정상적인 맥박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1일이내 청색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중재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한다.
염증에 의한 부종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한다.
정맥을 통해 수액을 공급한다.
처방된 ceftiaxone 항생제를 투여한다.
비강캐뉼러 통해 가습된 산소를 제공한다.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한다.
숨 쉬기 편한 앉은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환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기관 내 삽관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이다.
스테로이드제제는 염증과 부종, 통증을 완화해주는 약물이다.
정맥 수액공급을 통해 손실된 수분 및 전해질의 보충 및 끈적한 가래를 연화시킨다.
ceftiaxone 항생제는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약물로, 황생포도알균, 폐렴연쇄구균, 인플루엔자균 등에 효과가 있다.
초기에 가습화된 산소를 보충하여 저산소혈증을 역전시킬 수 있다.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에 따라 적절한 간호중재를 취할 수 있다.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좀 더 쉽게 호흡하도록 똑바로 앉거나 편안한 자세를 하도록 한다.
피부 상태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①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했다.
② 염증에 의한 부종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했다.
: 하이손 1일 40mg, 3회 분할 경구투여했다.
③ 정맥을 통해 수액을 공급했다.
: N/S 500ml를 공급하였으며, 주사부위의 발적이 없고 통증도 호소하지 않았음을 관찰했다.
④ 처방된 ceftiaxone 항생제를 투여했다.
: ceftiaxone sodium hydrate 2g을 60mg/kg을 1일 1회 투여했다.
⑤ 비강캐뉼러를 통해 가습된 산소를 제공했다.
: 4L/min의 가습화된 산소를 제공했다.
⑥ 아동의 호흡기 및 기도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관찰했다.
시간
SpO2
10:00
90%
10:30
92%
11:00
95%
12:00
96%
⑦ 숨 쉬기 편한 앉은 자세를 취하도록 했다.
⑧ 환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하였다.
시간
피부색의 변화
10:00
입술에 푸른 색을 띔
14:00
입술에 약간의 푸른기가 있음
18:00
입술 색은 분홍색을 띔(정상적인 색)
: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산소포화도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 달성/ 환아는 퇴원 시 97%의 산소포화도 결과가 나왔다.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목소리가 잘 나온다.
: 미달성/ 목소리는 아직 약간의 쉰 목소리가 남아있다.
- 대상자는 2일 이내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보인다.
: 달성/대상자는 2022.2.12.에 호흡: 32회/분으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대상자는 2일이내 정상적인 맥박을 유지한다.
: 달성/ 대상자는 2022.2.12.에 맥박: 110회/분으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대상자는 1일이내 청색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 달성/ 대상자는 2022.02.10. 18:00 입술색이 분홍색을 띄었다.
D. 결론 및 제언(※ 반드시 작성)
환아는 고열과 심한 인후통을 호소하며 울고 보채며 2022년 2월 10일에 입원했다. 환아는 입원 시 체온이 39.7℃도로 check되어, 정맥 내 수액공급과 처방된 해열제인 맥시부펜시럽을 복용하여 다음날 2월 11일에 36.6℃로 정상체온을 유지하게 되었다. 입원 후 이틀 저녁부터 항생제 및 약물투여와 기도유지, 가습 산소 제공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빈호흡과 호흡곤란, 인후통, 청색증으로부터 점점 호전되기 시작했다. 산소포화도도 정상범위를 유지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 약간의 쉰 목소리가 남아있으며 약간의 호흡곤란이 있었다. 따라서 환아의 호흡기계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해 보였다. 환아의 목소리변화와 상태에 따른 부모의 불안과 걱정이 보여 자녀의 전반적인 상태설명과 치료 이후 나아질 것을 교육하고, 안심시켰다.
급성 후두개염은 부종과 염증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부종과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고, 즉각적인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이 필요하다. 급성 후두개염을 가진 환아의 사례를 연구하면서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으로 간호 처치해야 하는 것은 기도유지 및 기도 삽관이다. 또한 효율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기 위해 가습화 된 산소를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E. 참고문헌
심인옥 외(2021) 아동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후두개염/질환백과/의료정보/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4.07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2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