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사의 마음가짐과 구용의 몸가짐을 정의하고 특히 현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사의 마음가짐과 구용의 몸가짐을 정의하고 특히 현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마음가짐

2) 몸가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말을 할 때나 먹을 것을 먹을 때가 아니면 말을 삼가 하는 게 좋다.
5) 성용정(聲容靜)- 말을 차분하려 하고 조용히 하라
:말은 조심하게 해야 하지만 말소리는 조용해야 한다. 말소리는 조절이 되므로 잘 다듬어서 해야 하고 구역질, 트림하는 소리까지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
6) 두용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세우려 하라
:머리는 수그리지 말아야 하며, 항상 머리를 곧게 세워 몸도 바르게 하면서 곧게 하며 기울거나 틀려서 한쪽으로 치우지지 말아야 한다.
7) 기용숙(氣容肅)- 숨소리를 고르게 하라
:숨을 가쁘게 쉬지 말고 고르게 쉬면서 기침 소리도 들리지 않게 해야 된다.
8) 입용덕(立容德)- 서 있을 때는 품위 있게 있어라
:서 있을 때는 앉아 있을 때와 같이 흐트러짐이 없어야 하며, 씩씩해 보이도록 해야 한다. 이 말은 자신이 서있을 자리와 물러설 자리를 분명히 알아야 하는 사람이 현명하고 총명한 사람임을 뜻한다.
9) 색용장(色容壯)- 얼굴빛은 밝아야 하며 씩씩하게 하여라
:얼굴빛이 어두워 있지 말아야 하며 온화하면서 거만해 보이지 않게 하며 얼굴빛은 항상 단정해야 한다. 환한 웃음을 띤 얼굴이 유지가 되도록 힘써야 된다.
3. 결론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부정적인 편견과 시선으로 세상을 보려 하는 반면, 높은 사람은 매사에 늘 적극적이고 긍정적이다. 어떤 어려움이 다가오더라도 쉽게 극복해나갈 수 있는 자아를 가졌기 때문이다. 또한, 그렇게 되기 위해 “잘할 수 있다”라는 마음가짐이 중요하고 자신을 다독이며 스스로 의심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주변을 통해 어떠한 말을 듣더라도 비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종합해 볼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을 사랑하고 단점보다 장점을 찾아 보강하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고, 스스로를 아끼는 길이자 방법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한국예절문화원
http://www.etiquette.or.kr/boad/bd_news/1/egoread.asp?bd=4&typ=0&val=0&itm=&txt=&pg=2&seq=134
율곡 이이의 교육이론
https://huldah74moon.wordpress.com/2017/06/15/%EC%9C%A8%EA%B3%A1-%EC%9D%B4%EC%9D%B4%EC%9D%98-%EA%B5%90%EC%9C%A1%EB%A1%A0/
충북일보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317757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8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