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하장애는 인후두의 기계적인 협착 또는 입술, 혀 구개, 인후두에 관계하는 운동성 뇌신경핵 장애에 의해 삼키기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2. 당뇨병 환자에게 족부궤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뇌졸중 환자의 운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바닥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5가지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참고문헌]
2. 당뇨병 환자에게 족부궤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뇌졸중 환자의 운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바닥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5가지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칭, 골반운동으로 의자에 바르게 앉아 골반을 앞으로 내민다는 느낌으로 움직이고 다음에는 골반을 뒤로 빼준다는 느낌으로 뒤로 움직인다.
두 번째 몸통 돌기로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깍지를 끼고 오른쪽, 왼쪽 번갈아 가면서 가능한 만큼 몸통을 돌려 5초 정도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간다.
앉을 수 없다면 누워서 무릎을 구부려 양 무릎을 붙인 상태로 오른쪽, 왼쪽 하체를 넘어 뜨려 몸을 크게 비틀게 한다. 이때 얼굴은 반대쪽으로 돌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팔 들어올리기 운동으로 마비가 된 쪽을 건강한 손으로 깍지를 낀 후 무리가 가지 않게 천천히 머리 위로 올렸다가 천천히 제자리로 돌아온다. 깍지를 낀 손을 원을 그리듯이 크게 아래에서 머리 위로 올려주는 방법도 있으며, 앉은 상태에서 책상에 엎드려 반원의 형태로 오른쪽에서 왼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는 방법도 있다.
네 번째 상체 숙이기로 양 발을 어깨 너비만큼 벌린 후 발바닥을 모두 바닥에 붙이고, 두 손으로 발목을 잡을 수 있을 만큼 오른쪽으로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3초 정도 유지 후 원래 자세로 돌아온다. 반대편도 마찬가지로 왼쪽으로 상체를 기울이고 3초 정도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온다.
다섯 번째 다리를 꼬아 가슴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마비된 쪽을 건강한 다리위에 올리고 손을 이용해 마비된 다리를 가슴 쪽으로 지그시 당겨준다. 제자리로 온 후 반대편 다리도 본인의 가슴 쪽으로 지그시 당겨준다.
[참고문헌]
정성희, 최윤경 공저(2019). 재활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 오정희 (2011). 재활의학. 대학서림(보문서원)
두 번째 몸통 돌기로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깍지를 끼고 오른쪽, 왼쪽 번갈아 가면서 가능한 만큼 몸통을 돌려 5초 정도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간다.
앉을 수 없다면 누워서 무릎을 구부려 양 무릎을 붙인 상태로 오른쪽, 왼쪽 하체를 넘어 뜨려 몸을 크게 비틀게 한다. 이때 얼굴은 반대쪽으로 돌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팔 들어올리기 운동으로 마비가 된 쪽을 건강한 손으로 깍지를 낀 후 무리가 가지 않게 천천히 머리 위로 올렸다가 천천히 제자리로 돌아온다. 깍지를 낀 손을 원을 그리듯이 크게 아래에서 머리 위로 올려주는 방법도 있으며, 앉은 상태에서 책상에 엎드려 반원의 형태로 오른쪽에서 왼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는 방법도 있다.
네 번째 상체 숙이기로 양 발을 어깨 너비만큼 벌린 후 발바닥을 모두 바닥에 붙이고, 두 손으로 발목을 잡을 수 있을 만큼 오른쪽으로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3초 정도 유지 후 원래 자세로 돌아온다. 반대편도 마찬가지로 왼쪽으로 상체를 기울이고 3초 정도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온다.
다섯 번째 다리를 꼬아 가슴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마비된 쪽을 건강한 다리위에 올리고 손을 이용해 마비된 다리를 가슴 쪽으로 지그시 당겨준다. 제자리로 온 후 반대편 다리도 본인의 가슴 쪽으로 지그시 당겨준다.
[참고문헌]
정성희, 최윤경 공저(2019). 재활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 오정희 (2011). 재활의학. 대학서림(보문서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