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에 대해서 인간 중신적이다. 또는 여성 차별적이다. 라는 비판이 있었다. 이런 비판의 내용을 서술하고 창조 이야기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2. 로마제국 치하 팔레스타인의 상황 속에서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서술하되, 그의 말씀과 활동에서 최소 두 가지 이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3. 다윗 왕과 그 가문에 대해서 아는 대로 설명하시오.
4. 예수를 따른 여성들에 대해서 아는 대로 서술하시오.
5. 로마제국과 기독교
2. 로마제국 치하 팔레스타인의 상황 속에서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서술하되, 그의 말씀과 활동에서 최소 두 가지 이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3. 다윗 왕과 그 가문에 대해서 아는 대로 설명하시오.
4. 예수를 따른 여성들에 대해서 아는 대로 서술하시오.
5. 로마제국과 기독교
본문내용
면서 도덕적인 생활을 중시한 초기 기독교인이 당시 로마인들의 향락생활을 거부했으며, 로마제국내에서 공직을 거부하는 등 로마제국의 공직자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아 오히려 하나님의 심판대상이라고 인식되면서 로마인들에게 반사회적 집단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또한, 기독교인들이 로마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서 로마의 신상들에 예배하지 않으면서 보이지 않는 신을 믿고, 더 나아가 신으로 여겨진 황제에 대한 숭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로마제국내 다른 종교들은 대체적으로 특정 계층만을 그 대상으로 하지만, 기독교는 신분의 구별없이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수용하여 이러한 기독교의 평등사상은 노예제도를 근본적으로 부정한다는 로마인들의 평가가 지배적이였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는 막센티우스와의 전쟁 중에 꿈에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이를 계기로 전쟁에 승리하면서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공인하는 밀라노 칙령을 발표한다. 그 이후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친기독교 정책을 전개하여 이에 기독교는 니케아 공의회의 주재로 기독교 최초의 정통교리를 탄생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에 대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로마제국 전체의 인구의 20% 이상이 이미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기독교의 유일신사상은 당시 다신교를 믿어서 실질적으로 분열된 로마제국을 통합하기 위해서 기독교를 마침내 국교화하게 된다.
이렇게 로마제국과 기독교의 관계를 통해 필자는 로마제국에서 반란범으로 지목하여 처형당한 예수를 따르던 자들의 종교가 오히려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점이 아이러니하며, 아무리 시대적 착오로 비판과 조롱의 받던 종교일지라도 후대의 역사적 평가에 의해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면, 이에 대한 예찬받으면서 시대를 초월하여 지속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기독교의 확대가 오히려 기독교의 정통교리보다 변질된 종파의 비사회적 기능으로 사회를 혼란에 빠지게 한다는 비판을 기독교는 수용하여, 이에 기독교는 자신에 대한 자만을 버리고 종교로서 사회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Craig L. Blomberg 외 5인 공저, 송일 역, 「현대 신약성서 연구」, 새물결플러스 : 서울, 2019
· 박현정 저,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실천적 구성원리’, 백석대학교 : 충청남도, 2010
· 이지철, 저, ‘에른스트 카시러의 사상을 중심으로 본 기독교교육의 인간 이해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4
이렇게 로마제국과 기독교의 관계를 통해 필자는 로마제국에서 반란범으로 지목하여 처형당한 예수를 따르던 자들의 종교가 오히려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점이 아이러니하며, 아무리 시대적 착오로 비판과 조롱의 받던 종교일지라도 후대의 역사적 평가에 의해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면, 이에 대한 예찬받으면서 시대를 초월하여 지속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기독교의 확대가 오히려 기독교의 정통교리보다 변질된 종파의 비사회적 기능으로 사회를 혼란에 빠지게 한다는 비판을 기독교는 수용하여, 이에 기독교는 자신에 대한 자만을 버리고 종교로서 사회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Craig L. Blomberg 외 5인 공저, 송일 역, 「현대 신약성서 연구」, 새물결플러스 : 서울, 2019
· 박현정 저,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실천적 구성원리’, 백석대학교 : 충청남도, 2010
· 이지철, 저, ‘에른스트 카시러의 사상을 중심으로 본 기독교교육의 인간 이해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