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로웬펠드의 아동미술 발달단계 6단계
2. 리드의 미술을 통한 발달단계의 1단계와 비교
III. 결론
Ⅳ. 참고자료
II. 본론
1. 로웬펠드의 아동미술 발달단계 6단계
2. 리드의 미술을 통한 발달단계의 1단계와 비교
III.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비교점
로웬펠드는 아동의 성장에 따라서 미술표현 또한 발전을 한다고 주장을 하고 개인의 잠재력 그리고 창의성 개발에 중점을 두며 결과보단 아동이 작품을 만들고 창의성을 표현을 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느끼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다.
리드는 예술로서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을 하며, 예술 활동을 하여 감정을 해방시키기에 예술인을 만드는 것이 아닌 예술으로써 조화로운 인간이 되어진다는 사회중심적인 시선으로 주장하였다. 로웬펠드에서의 1단계의 아동의 그림은 무의식적인 근육의 움직임이라 하였으며 리드의 1단계에서의 아동의 그림은 생각을 하여 의미 부여한다고 주장을 하는 부분이 차이점이 있다. 이것은 로웬펠드가 주장을 하는 난화기의 그림은 목적이 없는 놀이로써 근육의 발달을 이루어내는 과정이라는 것에 비해 리드가 주장을 하는 그림은 아동의 심리적 영향을 받아 의미를 부여를 하여 정서를 표출을 하는 과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Ⅲ. 결론
만 1세경이 되면 기기를 시작하게 된다. 기기를 시작하게 되면 호기심이 늘어나게 되며 관심이 생기는 물건에 다가가서 만져보기도 하며 반짝이는 것과 화려한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런걸로 다면 2-4세경에는 어느 정도의 자의식을 가진 상태로 생각을 하고 바라보는 행동을 하는 연령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치만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만큼의 표현을 하기가 어려워서 끄적거리는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Ⅳ. 참고 문헌
- 아동미술[대면]_중간고사 교안
- 김혜진. 로웬펠드 유아 미술교육론의 교육적 의의,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로웬펠드는 아동의 성장에 따라서 미술표현 또한 발전을 한다고 주장을 하고 개인의 잠재력 그리고 창의성 개발에 중점을 두며 결과보단 아동이 작품을 만들고 창의성을 표현을 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느끼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다.
리드는 예술로서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을 하며, 예술 활동을 하여 감정을 해방시키기에 예술인을 만드는 것이 아닌 예술으로써 조화로운 인간이 되어진다는 사회중심적인 시선으로 주장하였다. 로웬펠드에서의 1단계의 아동의 그림은 무의식적인 근육의 움직임이라 하였으며 리드의 1단계에서의 아동의 그림은 생각을 하여 의미 부여한다고 주장을 하는 부분이 차이점이 있다. 이것은 로웬펠드가 주장을 하는 난화기의 그림은 목적이 없는 놀이로써 근육의 발달을 이루어내는 과정이라는 것에 비해 리드가 주장을 하는 그림은 아동의 심리적 영향을 받아 의미를 부여를 하여 정서를 표출을 하는 과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Ⅲ. 결론
만 1세경이 되면 기기를 시작하게 된다. 기기를 시작하게 되면 호기심이 늘어나게 되며 관심이 생기는 물건에 다가가서 만져보기도 하며 반짝이는 것과 화려한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런걸로 다면 2-4세경에는 어느 정도의 자의식을 가진 상태로 생각을 하고 바라보는 행동을 하는 연령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치만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만큼의 표현을 하기가 어려워서 끄적거리는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Ⅳ. 참고 문헌
- 아동미술[대면]_중간고사 교안
- 김혜진. 로웬펠드 유아 미술교육론의 교육적 의의,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