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포도(散布圖)
[상관도]
① 서로 대등되는 두 개의 짝으로 된 자료를 그래프용지 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② 품질특성과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두 종류의 데이터의 상호관계를 보는 것
관리도(管理圖)
① 가로축에 날짝 혹은 롯(lot)순을, 세로축에는 품질특성으로서의 치수, 강도,
불량율 등 관리나 해석이 되는 항목을 잡고, 중심선과 그 상하에 공정의 이
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관리한계선을 설치하여 그린 그림
② 공사 또는 제품의 품질관리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
특성요인도
①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를 알기 쉽게 나무형상으로 도시한 것
② 공정 중에 발생한 문제나 하자분석을 할 때 사용
파레토도
(Pareto)
①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류해서 문제의 크기순서대로 나열한그림
② 하자발생이나 결함 등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점을 확실히 판단하기 위한 것
히스토그램
(Histogram)
① 공사 또는 품질상태가 만족한 상태에 있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
② 가로축에 특성값을, 세로축에 도수를 잡고 구간의 폭으로 주상의 그림을 그린 도수도
층별(層別)
① 얻어진 많은 자료를 적당한 요인별 그룹으로 분류한 것
② 전체 자료에서는 분명치 않는 것이 명확하게 되거나 층별 그룹사이의 상이점을 알 수 있다.
체크 시트
(Check Sheet)
불량수, 결점수 등 셀 수 있는 자료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었을 때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 가를 알기 쉽도록 한 그림이나 표
건 축 구 조
【탄성계수】
1.가 일 때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n)는 얼마인가? (단, 보통골재를 사용했을 경우)
가. 10 나. 9 다. 8 라. 7
【해설】
①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② 보통골재를 사용한 경우 :
③ 철근의 탄성계수
④ 탄성계수비 :
2.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일반콘크리트인 경우 탄성계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
가.15000 나.16000
다.13000 라.14000
【해설】 (보통골재)
【Creep】
3., 콘크리트 탄성계수
이고 크리프 계수 0=3일 때 콘크리트 크리프에 의한 변형률은?
가. 0.00167 나. 0.0020 다. 0.0022 라. 0.00267
【해설】 ① 탄성변형율 ② 크리프 계수
③ 크리프 변형율
【철근】
4.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는 인장 철근의 항복강도에 대한 상한값은?
가. 4,000kgf/cm2 나. 4,200kgf/cm2
다. 5,500kgf/cm2 라. 5,200kgf/cm2
【해설】 ① 휨 부재에서 휨에 대해 보강된 철근은
5,500kg/cm²를 초과할 수 없다.
② 휨 보강 이외의 목적으로 보강된 철근은 4,000kg/cm²를 초과할 수 없다.
【하중(소요강도)】
5. 강도 설계법으로 보를 설계할 때 사하중 10tonf/m 활하중 15tonf/m라면 하중계수를 사용한 설계 단면력은?
가.39 tonf/m 나.39.5 tonf/m 다.45 tonf/m 라.48 tonf/m
【해설】
6.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고정하중(D)과 적재하중(L)에 대해 하중계수로서 적합한 것은?
가. U=1.5D + 1.5L 나. U=1.7D + 1.4L
다. U=1.4D + 1.7L 라. U=0.75(1.4D+1.8L)
【해설】 정답 : 다
7.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Vc)가 4.0t, 전단보강근에 의한 공칭전단강도(Vc)가 2.0t일 때 계수 전단력(Vu)으로 옳은 것은?
가. 6t 나. 5.8t 다. 5.1t 라. 5.4t
【해설】
【보】
8. 강도 설계법에 휨부재는?
가. 과다 철근보로 설계한다.
나. 평형보로 설계한다.
다. 평형철근비의 75% 이내의 과소철근보로 설계한다.
라. 제한없이 과소 철근보로만 설계한다.
【해설】부재의 갑작스런 파괴(취성파괴)를 막기 위해 철근비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규정 하여 연성파괴를 유도한다.
이하 → β₁= 0.85
9. 평형철근량보다 작은 인장철근을 가진 보가 휨에 의해 파괴 될 때의 설명중 옳은 것은 어느 것 인가?
가. 압축측 콘크리트가 먼저 파괴한다.
나. 인장측 철근이 먼저 항복한다.
다. 압축측과 인장측이 동시에 파괴한다.
라. 중립축이 인장측으로 내려 오면서 철근이 먼저 파괴된다.
【해설】평형철근량보다 작은 인장철근을 배치한 경우, 즉 과소철근보인 경우 인장측 철근이 먼저 항복한 다음 압축측 콘크리트가 극한 상태에 도달하여 연성파괴가 된다.
10. 평형철근비이고,라 할 때 유효한 최대 철근량은? (단, 강도 설계법으로 한다)
가. 39.0 cm2 나. 41.1 cm2 다. 54.5 cm2 라. 53.3 cm2
【해설】
①
③
11.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철근량 를 구하시오.
(단, 등가높이 =15cm)
가. 20.1 cm2 나. 40.2 cm2 다. 60.2 cm2 라. 80.3 cm2
【해설】① 콘크리트의 압축력
② 철근의 인장력
③ C = T
④
12.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시방서에 규정된 최소 철근단면적은 얼마인가?
(단, , 이다)
가. 3.0 cm2 나. 7.0 cm2
다. 5.0 cm2 라. 12.5 cm2
【해설】최소철근 단면적은 최소 단면적은 최소 철근비에 부재 단면적을 곱해서 구한다.
①
② 중 큰값
13.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일 때 철근
량을 구하면? (단, 로 한다)
가. 20.7 cm2 나. 30.7 cm2
다. 35.7 cm2 라. 38.7 cm2
【해설】 ①
②
③
14. 그림과 같은 단철근보에서이고
이라면 철근량 은 얼마가 필요한가? (단, 강도설계법에 의함)
가. 28.4 cm2
나. 30.6 cm2
다. 32.4 cm2
라. 34.6 cm2
【해설】
15.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보의 강도 이론에 의한 압축응력의 등가 사각형 분포도 깊이(a)는 얼마인가?
(단,,, 임)
가. 15 cm 나. 12 cm
다. 10 cm 라. 9 cm
【해설】
16. 그림과 같은 T형보에서 플랜지 부분의 압축력과 균형을 이루기 위한 철근 단면적는 얼마인가?
(단, 강도설계법에 의함
,)
가. 10.25 cm2 나. 12.75 cm2
다. 14.65 cm2 라. 16.75 cm2
【해설】
17. 그림은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단근장
[상관도]
① 서로 대등되는 두 개의 짝으로 된 자료를 그래프용지 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② 품질특성과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두 종류의 데이터의 상호관계를 보는 것
관리도(管理圖)
① 가로축에 날짝 혹은 롯(lot)순을, 세로축에는 품질특성으로서의 치수, 강도,
불량율 등 관리나 해석이 되는 항목을 잡고, 중심선과 그 상하에 공정의 이
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관리한계선을 설치하여 그린 그림
② 공사 또는 제품의 품질관리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
특성요인도
①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를 알기 쉽게 나무형상으로 도시한 것
② 공정 중에 발생한 문제나 하자분석을 할 때 사용
파레토도
(Pareto)
①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류해서 문제의 크기순서대로 나열한그림
② 하자발생이나 결함 등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점을 확실히 판단하기 위한 것
히스토그램
(Histogram)
① 공사 또는 품질상태가 만족한 상태에 있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
② 가로축에 특성값을, 세로축에 도수를 잡고 구간의 폭으로 주상의 그림을 그린 도수도
층별(層別)
① 얻어진 많은 자료를 적당한 요인별 그룹으로 분류한 것
② 전체 자료에서는 분명치 않는 것이 명확하게 되거나 층별 그룹사이의 상이점을 알 수 있다.
체크 시트
(Check Sheet)
불량수, 결점수 등 셀 수 있는 자료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었을 때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 가를 알기 쉽도록 한 그림이나 표
건 축 구 조
【탄성계수】
1.가 일 때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n)는 얼마인가? (단, 보통골재를 사용했을 경우)
가. 10 나. 9 다. 8 라. 7
【해설】
①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② 보통골재를 사용한 경우 :
③ 철근의 탄성계수
④ 탄성계수비 :
2.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일반콘크리트인 경우 탄성계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
가.15000 나.16000
다.13000 라.14000
【해설】 (보통골재)
【Creep】
3., 콘크리트 탄성계수
이고 크리프 계수 0=3일 때 콘크리트 크리프에 의한 변형률은?
가. 0.00167 나. 0.0020 다. 0.0022 라. 0.00267
【해설】 ① 탄성변형율 ② 크리프 계수
③ 크리프 변형율
【철근】
4.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는 인장 철근의 항복강도에 대한 상한값은?
가. 4,000kgf/cm2 나. 4,200kgf/cm2
다. 5,500kgf/cm2 라. 5,200kgf/cm2
【해설】 ① 휨 부재에서 휨에 대해 보강된 철근은
5,500kg/cm²를 초과할 수 없다.
② 휨 보강 이외의 목적으로 보강된 철근은 4,000kg/cm²를 초과할 수 없다.
【하중(소요강도)】
5. 강도 설계법으로 보를 설계할 때 사하중 10tonf/m 활하중 15tonf/m라면 하중계수를 사용한 설계 단면력은?
가.39 tonf/m 나.39.5 tonf/m 다.45 tonf/m 라.48 tonf/m
【해설】
6.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고정하중(D)과 적재하중(L)에 대해 하중계수로서 적합한 것은?
가. U=1.5D + 1.5L 나. U=1.7D + 1.4L
다. U=1.4D + 1.7L 라. U=0.75(1.4D+1.8L)
【해설】 정답 : 다
7.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Vc)가 4.0t, 전단보강근에 의한 공칭전단강도(Vc)가 2.0t일 때 계수 전단력(Vu)으로 옳은 것은?
가. 6t 나. 5.8t 다. 5.1t 라. 5.4t
【해설】
【보】
8. 강도 설계법에 휨부재는?
가. 과다 철근보로 설계한다.
나. 평형보로 설계한다.
다. 평형철근비의 75% 이내의 과소철근보로 설계한다.
라. 제한없이 과소 철근보로만 설계한다.
【해설】부재의 갑작스런 파괴(취성파괴)를 막기 위해 철근비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규정 하여 연성파괴를 유도한다.
이하 → β₁= 0.85
9. 평형철근량보다 작은 인장철근을 가진 보가 휨에 의해 파괴 될 때의 설명중 옳은 것은 어느 것 인가?
가. 압축측 콘크리트가 먼저 파괴한다.
나. 인장측 철근이 먼저 항복한다.
다. 압축측과 인장측이 동시에 파괴한다.
라. 중립축이 인장측으로 내려 오면서 철근이 먼저 파괴된다.
【해설】평형철근량보다 작은 인장철근을 배치한 경우, 즉 과소철근보인 경우 인장측 철근이 먼저 항복한 다음 압축측 콘크리트가 극한 상태에 도달하여 연성파괴가 된다.
10. 평형철근비이고,라 할 때 유효한 최대 철근량은? (단, 강도 설계법으로 한다)
가. 39.0 cm2 나. 41.1 cm2 다. 54.5 cm2 라. 53.3 cm2
【해설】
①
③
11.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철근량 를 구하시오.
(단, 등가높이 =15cm)
가. 20.1 cm2 나. 40.2 cm2 다. 60.2 cm2 라. 80.3 cm2
【해설】① 콘크리트의 압축력
② 철근의 인장력
③ C = T
④
12.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시방서에 규정된 최소 철근단면적은 얼마인가?
(단, , 이다)
가. 3.0 cm2 나. 7.0 cm2
다. 5.0 cm2 라. 12.5 cm2
【해설】최소철근 단면적은 최소 단면적은 최소 철근비에 부재 단면적을 곱해서 구한다.
①
② 중 큰값
13.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일 때 철근
량을 구하면? (단, 로 한다)
가. 20.7 cm2 나. 30.7 cm2
다. 35.7 cm2 라. 38.7 cm2
【해설】 ①
②
③
14. 그림과 같은 단철근보에서이고
이라면 철근량 은 얼마가 필요한가? (단, 강도설계법에 의함)
가. 28.4 cm2
나. 30.6 cm2
다. 32.4 cm2
라. 34.6 cm2
【해설】
15.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보의 강도 이론에 의한 압축응력의 등가 사각형 분포도 깊이(a)는 얼마인가?
(단,,, 임)
가. 15 cm 나. 12 cm
다. 10 cm 라. 9 cm
【해설】
16. 그림과 같은 T형보에서 플랜지 부분의 압축력과 균형을 이루기 위한 철근 단면적는 얼마인가?
(단, 강도설계법에 의함
,)
가. 10.25 cm2 나. 12.75 cm2
다. 14.65 cm2 라. 16.75 cm2
【해설】
17. 그림은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단근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