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2해업)2209 지역사회영양학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302해업)2209 지역사회영양학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
2. 2018년 기준치, 2030년 목표치, 2019년 및 2020년의 결과 수치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성
개선
유지
악화
평가불가
기준
2020년목표수치 달성및초과
목표치에 접근하는 지표(기준치에서개선된지표)
목표치에 접근하나변화율이 적은지표
목표치에 멀어지는 지표(기준치에서악화되는
지표)
지표생성불가, 지표기준
변경
달성도
100% 이상
10% 이상 - 100% 미만
0% 이상 - 10% 미만
변화율로
산정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
성별 분석은 6세 이상 남자 33.9%, 6세 이상 여자 28.7%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과일은 여성이, 채소는 남성이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
연령별 분석은 6-9세 14.2%, 10-18세 13.8%, 19-29세 16.6%, 30-39세 24.5%, 40-49세 38.8%, 50-59세 45.8%, 60-69세 44.6%, 70세 이상 31.5%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많은 층에서 건강을 더 중요시하여 과일 및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
본인은 35세 여성이며, 해당수치는 24.5%이다.
III. 결 론
매일 아침 먹는 사과는 의사의 얼굴이 질리게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제철 과일과 채소의 섭취는 인간의 건강에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약 9년 후의 2030년에는 과일/채소의 섭취인구가 40 %가 넘어 초과달성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소망한다.
참고문헌
동우, 이수경, 이윤나, 정상진, 지역사회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보건복지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 2021.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6.14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20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