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물의 추출정제, 물성 및 화학구조 결정에서는 미생물로부터 미백활성 물질을 탐색한 결과, 토양곰팡이의 일종인 것으로부터 Mel-Ab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멜라닌 생합성저해활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본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및 Mass등 기기분석을 통하여 분자식 C8H10O3,분자량 154 KDa의 terrein을 규명하였다. Terrein의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NMR기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cyclopentene계 화합물로 결정하였다(아래그림설명).
Terrein화합물의 미백활성 및 작용기작 Melancocyte유래 세포주인 Mel-Ab세포를 이용하여 미백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표적인 미백활성 물질인 kojicacid보다 약 10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예비 임상 실험에서도 매우 우수한 성적으로 미백활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 앞으로 더욱 좋은 미백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세포 독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terrein은 100nM농도까지 처리하여도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mouse를 이용한 독성실험에서도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 되었다.
본 terrein화합물은 향후 매우 유용한 미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것이 예상된다.
Terrein화합물의 미백활성 및 작용기작 Melancocyte유래 세포주인 Mel-Ab세포를 이용하여 미백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표적인 미백활성 물질인 kojicacid보다 약 10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예비 임상 실험에서도 매우 우수한 성적으로 미백활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 앞으로 더욱 좋은 미백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세포 독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terrein은 100nM농도까지 처리하여도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mouse를 이용한 독성실험에서도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 되었다.
본 terrein화합물은 향후 매우 유용한 미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것이 예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