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격조사
① 주격조사
② 목적격 조사
③ 관형격 조사
④ 부사격 조사
2) 보조사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격조사
① 주격조사
② 목적격 조사
③ 관형격 조사
④ 부사격 조사
2) 보조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계를 맺으면서 특별한 뜻을 더해주기도 한다. 조사는 체언에 어떤 조사가 오느냐에 따라 문장의 의미도 완전히 바뀌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경우 조사라는 개념이 어렵게 느껴진다고들 한다. 조사는 외국인뿐 아니라 한국인에게도 어렵게 다가오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인 경우는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흐름을 알기 때문에 조사활용을 하면서 문법적인 개념을 익히는 것이다.
저는 한국어를 조사하여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2. 본론
* 조사의 개요 및 분류 *
한국어 조사는 자립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반드시 체언과 부사, 어미 등의 아래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어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단어이다. 조사는 크게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뉜다.
1) 격조사
- 선행하는 체언과 용언의 명사항에 결합해 일정한 문장성분을 가지도록
해주는 조사, 체언과 명사구 그리고 명사절 뒤에 결합해 없어도 격을
인지할 수 있으며 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예로 : 나 밥 먹었어. 또는 너 숙제 다했지?
- 격조사의 분류
유형
형태
주격
이/가, 깨서, 에서
서술격
이다
목적격
을/를
보격
이/가
관형격
의
부사격
에,에서, 에게/에, 보다, 로(써), 와/과, 라고/고
호격
아/야, 여/이여, 이시여
① 주격조사
- 선행어가 그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 주는 조사이다.
- 주격조사의 분류
이/가 : 보편적인 주격조사로 선행 음운의 차이에 따라 음운론적 이형태
께서 : 주어가 높임의 대상일 때 쓰는 주격조사
에서 : 선행 체언이 단체 명사일 경우
# 보격조사가 주격조사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주의 한다.
② 목적격 조사
- 선행어를 목적어가 되게 하는 조사
- 타동사의 목적어 뒤에 결합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 동완이는 수지를 사랑한다.
- 목적격 중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 : 미영이는 장미를 다섯 송이를 샀다.
③ 관형격 조사
- 두 명사를 ‘수식어 + 피 수식어’의 동사적 관계로 묶어서 더 큰
명사구를 만들어 주는 기능
④ 부사격 조사
- 선행어를 부사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이에 속하는 조사의 수가 상당히
많고 기능도 복잡하다.
2) 보조사
-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로 기저에는 반드시 어떠한 격조사가 있다.
동일 보조사가 다양한 격에 쓰일 수 있다.
예 : 철수는 학교에 갔다. 지훈이가 빵은 좋아해.
- 부사나 어미, 다른 조사 뒤에도 결합할 수 있다.
예로 아직도 답장을 안
저는 한국어를 조사하여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2. 본론
* 조사의 개요 및 분류 *
한국어 조사는 자립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반드시 체언과 부사, 어미 등의 아래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어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단어이다. 조사는 크게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뉜다.
1) 격조사
- 선행하는 체언과 용언의 명사항에 결합해 일정한 문장성분을 가지도록
해주는 조사, 체언과 명사구 그리고 명사절 뒤에 결합해 없어도 격을
인지할 수 있으며 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예로 : 나 밥 먹었어. 또는 너 숙제 다했지?
- 격조사의 분류
유형
형태
주격
이/가, 깨서, 에서
서술격
이다
목적격
을/를
보격
이/가
관형격
의
부사격
에,에서, 에게/에, 보다, 로(써), 와/과, 라고/고
호격
아/야, 여/이여, 이시여
① 주격조사
- 선행어가 그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 주는 조사이다.
- 주격조사의 분류
이/가 : 보편적인 주격조사로 선행 음운의 차이에 따라 음운론적 이형태
께서 : 주어가 높임의 대상일 때 쓰는 주격조사
에서 : 선행 체언이 단체 명사일 경우
# 보격조사가 주격조사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주의 한다.
② 목적격 조사
- 선행어를 목적어가 되게 하는 조사
- 타동사의 목적어 뒤에 결합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 동완이는 수지를 사랑한다.
- 목적격 중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 : 미영이는 장미를 다섯 송이를 샀다.
③ 관형격 조사
- 두 명사를 ‘수식어 + 피 수식어’의 동사적 관계로 묶어서 더 큰
명사구를 만들어 주는 기능
④ 부사격 조사
- 선행어를 부사어가 되게 하는 조사로 이에 속하는 조사의 수가 상당히
많고 기능도 복잡하다.
2) 보조사
-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로 기저에는 반드시 어떠한 격조사가 있다.
동일 보조사가 다양한 격에 쓰일 수 있다.
예 : 철수는 학교에 갔다. 지훈이가 빵은 좋아해.
- 부사나 어미, 다른 조사 뒤에도 결합할 수 있다.
예로 아직도 답장을 안
추천자료
국어 정보 처리를 위한 품사 태그의 몇 문제
국어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어말어미'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조선시대 교육의 형태
[국어어휘][국어어휘지도][국어어휘교육][있다][통사구조][국어교육][국어지도][어휘]국어어...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연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의 검토를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한국어 교육론] 국내 국외 교재 분석
교수 학습의 과제와 발전 방향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