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1. 천지 창조의 이유
2. 축복과 저주는 한 장 차이
3. 야곱의 자각
4. 야웨를 경외하며
Ⅱ. 가정 안에서 누리는 축복에 대한 고찰
1. 가장이 누리는 복
2. 아내에게주는 축복
3. 자녀에게 주는 축복
4. 교회를 통해 주시는 복
Ⅳ. 마치며
1. 천지 창조의 이유
2. 축복과 저주는 한 장 차이
3. 야곱의 자각
4. 야웨를 경외하며
Ⅱ. 가정 안에서 누리는 축복에 대한 고찰
1. 가장이 누리는 복
2. 아내에게주는 축복
3. 자녀에게 주는 축복
4. 교회를 통해 주시는 복
Ⅳ. 마치며
본문내용
가정이 축복으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고통과 저주로 여겨지는 분들도 우리 중에 혹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사실입니다. 얼마든지 그럴 수 있습니다. 축복과 저주는 종이 한 장 차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얼마든지 축복의 가정이 고통과 저주의 가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리의 가정이 만일 현재 축복이 되지 못하고 고통이 되었다면 그것은 하나님 탓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고통의 가정을 주신 적이 없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모두에게 축복의 가정을 주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정이 고통의 가정이 되었다면 그것은 하나님 탓이 아니라 전적으로 우리 탓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축복을 잘 관리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본래 축복은 잘 관리하지 못하면 그 축복이 변하여 고통이 되고 나중에는 저주가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담에게 처음 허락된, 하나님이 주신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의 열매가 맺는 과목을 맺는 땅이었습니다. 창1:11-12“하나님이 가라사대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과목을 내라 하시매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그러나, 아담이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하여 ’선악과‘를 따 먹었을 때 그에게 땅은 엉겅퀴를 내고, 수고하여야 먹고사는 인생이 되었습니다. 창1:17“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너더러 먹지 말라한 나무 실과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인하여 저주를 받고 너는 종신토록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아담과 하와의 관계도 그렇습니다. 처음, 아담에게 하나님께서 하와를 데리고 왔을 때는 “내 뼈중의 뼈, 살중의 살”이라고 기뻐했습니다. 창 2:22-23“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가로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칭하리라 하니라”
그러나, 그가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 했을 때, 하나님 탓, 아내 탓을 하며, 관계가 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창3:12절 “아담이 가로되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하게 하신 여자 그가 그 나무 실과를 내게 주므로 내가 먹었나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주신 복은 언제나 정성을 다하여 잘 관리를 하여야만 합니다. 그런데 많은 가정들이 관리 소홀로 파괴되어져 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정이 정성스러운 관리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그냥 가정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줄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세상의 그 어느 것보다도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관리하고 투자하여야 할 대상이 바로 가정입니다. 성경은 행복하고, 복된 가정을 이루기 위해 먼저 필요한 것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라 가르켜주고 있습니다. 시128:1 “여호와를 경외하며 그 도에 행하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하나님이 축복으로 주신 가정을 잘 관리하여 그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최고의 축복을 누리며 사시는 저와 여러분들이 다 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야곱의 자각
야곱을 잘 아실 것입니다. 야곱은 오늘날로 말하면, 금수저였습니다. 흙수저, 금수저이야기가 많은데, 태생에 부자로 태어났는가? 그렇지 않은가?입니다. 삼성 고 이건희 전 회장의, 아들 이재용 회장은 금수저입니다. 그런데, 야곱은 태어나 보니, 할아버지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입니다.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 왕에게 잡힌 롯을 318명을 데리고 가서 구해올 정도의 힘이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아버지 이삭은 우물을 팔 때 마다 물이 나오고, 양보해도 파도 또 나오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독자 이삭에게 그 모든 재산이 상속되었고, 그 재산을 이삭의 두 아들 야곱과 에서가 분배해야 하는데, 야곱이 생각할 때, 그 당시 문화가 장자에게 3/4을 , 차자에게 1/4을 주는 문화였기에 재산을 다 가지고 싶은 욕심이 있었습니다. 그가 그렇게 장자권에 목메었던 것도 어쩌면, 이런 재산권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팥죽으로 형을 속여 장자권을 산 야곱, 그는 결국, 아버지 이삭도 속여 그의 장자 축복 기도를 받아내고 맙니다. 그러나, 형 에서가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리브가의 말에 아무것도 갖지 못한채, 홀연 단신으로 지팡이 하나 만들고 도망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아시다 시피, 그가
아담에게 처음 허락된, 하나님이 주신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의 열매가 맺는 과목을 맺는 땅이었습니다. 창1:11-12“하나님이 가라사대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과목을 내라 하시매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그러나, 아담이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하여 ’선악과‘를 따 먹었을 때 그에게 땅은 엉겅퀴를 내고, 수고하여야 먹고사는 인생이 되었습니다. 창1:17“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너더러 먹지 말라한 나무 실과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인하여 저주를 받고 너는 종신토록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아담과 하와의 관계도 그렇습니다. 처음, 아담에게 하나님께서 하와를 데리고 왔을 때는 “내 뼈중의 뼈, 살중의 살”이라고 기뻐했습니다. 창 2:22-23“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가로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칭하리라 하니라”
그러나, 그가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 했을 때, 하나님 탓, 아내 탓을 하며, 관계가 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창3:12절 “아담이 가로되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하게 하신 여자 그가 그 나무 실과를 내게 주므로 내가 먹었나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주신 복은 언제나 정성을 다하여 잘 관리를 하여야만 합니다. 그런데 많은 가정들이 관리 소홀로 파괴되어져 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정이 정성스러운 관리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그냥 가정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줄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세상의 그 어느 것보다도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관리하고 투자하여야 할 대상이 바로 가정입니다. 성경은 행복하고, 복된 가정을 이루기 위해 먼저 필요한 것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라 가르켜주고 있습니다. 시128:1 “여호와를 경외하며 그 도에 행하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하나님이 축복으로 주신 가정을 잘 관리하여 그 가정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는 최고의 축복을 누리며 사시는 저와 여러분들이 다 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야곱의 자각
야곱을 잘 아실 것입니다. 야곱은 오늘날로 말하면, 금수저였습니다. 흙수저, 금수저이야기가 많은데, 태생에 부자로 태어났는가? 그렇지 않은가?입니다. 삼성 고 이건희 전 회장의, 아들 이재용 회장은 금수저입니다. 그런데, 야곱은 태어나 보니, 할아버지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입니다.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 왕에게 잡힌 롯을 318명을 데리고 가서 구해올 정도의 힘이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아버지 이삭은 우물을 팔 때 마다 물이 나오고, 양보해도 파도 또 나오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독자 이삭에게 그 모든 재산이 상속되었고, 그 재산을 이삭의 두 아들 야곱과 에서가 분배해야 하는데, 야곱이 생각할 때, 그 당시 문화가 장자에게 3/4을 , 차자에게 1/4을 주는 문화였기에 재산을 다 가지고 싶은 욕심이 있었습니다. 그가 그렇게 장자권에 목메었던 것도 어쩌면, 이런 재산권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팥죽으로 형을 속여 장자권을 산 야곱, 그는 결국, 아버지 이삭도 속여 그의 장자 축복 기도를 받아내고 맙니다. 그러나, 형 에서가 자신을 죽이려고 한다는 리브가의 말에 아무것도 갖지 못한채, 홀연 단신으로 지팡이 하나 만들고 도망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아시다 시피, 그가
추천자료
모리 오오가이의 『무희』를 통해서 본 일본 근대문학
[교회][하나님][그리스도][성령][성경][한국교회]교회 심층 분석(교회, 하나님, 교회란, 교회...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 내력과 의미를 기술하고, 21세기 한국교회의 부흥전략을 ...
[결혼문화]한국의 전통혼례 및 아시아 각국의 결혼문화
열린예배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
정형종, 최승호시인에 대한 모든것
존 비비어의 『 결혼 (The Story of Marriage) 』 [독서 보고서, 독후감]
[국가와 윤리]여호와의 증인을 통해 바라본 자율성과 국가복종의 한계
가정사역 프로젝트 ) 중년기 남성의 개성화 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