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글래디에이터 네러티브 분석 복수Revenge와 정치권력의 관점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글래디에이터 네러티브 분석 복수Revenge와 정치권력의 관점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영화에 대한 소개

2.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줄거리

3. 영화 속 등장인물 분석
1) 막시무스(러셀 크로우: Russell Crowe)
2) 코모두스(조아킨 피닉스: Joaquin Phoenix)
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리처드 해리스: Richard Harris)
4) 루실라(코니 닐슨: Connie Nielsen)
5) 프록시모(올리버 리드: Oliver Reed)
6) 주바(자이먼 운수: Djimon Hounsou)

4.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와 실제역사와의 차이점

5.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네러티브 분석
1) 영화에 있어 내러티브(Narrative)란 무엇인가
2)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내러티브: 모든 것을 잃은 한 남자의 복수
3) 영화의 배경 설정과 캐릭터 소개: 초반 전투장면 분석
- 주인공 막시무스를 관객들에게 소개.
- 막시무스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의 관계 설정.
- 코모두스가 악역이라는 것을 관객들에게 인지시킴.
- 막시무스라는 인물의 극적인 인생사에 대한 강조.
4)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갈등구조
5) 복수의 시작
6) 절정과 해결

6. ‘복수(Revenge)’의 관점에서 본 ‘글래디에이터(Gladiator)’
1) ‘검투사(Gladiator)’란 무엇인가?
2) 로마제국에서 주기적으로 검투사 경기를 개최한 이유
3) 실제 역사에서 검투사로 유명했던 인물들
4) 검투사들에게 있어 ‘콜로세움(Colosseum)’은 어떤 의미였나.
5) 막시무스가 검투사로서의 역할에 집중한 이유.

7. 정치권력의 관점에서 본 ‘글래디에이터(Gladiator)’

1) 막시무스는 왜 황제의 부탁을 거절하였을까
2) 공화국으로의 복귀를 추구한 이유는 무엇인가
3) 막시무스가 루실라와의 사랑을 거부한 이유는
4) 막시무스와 루실라는 왜 공화정으로 돌아가려고 노력했을까
4) 영화에서처럼 공화정으로 복귀했다면 과연 로마는 더 나아졌을까

본문내용

. 이러한 코모두스에게 당시 장안의 화제인 스패냐드(막시무스)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유리하게 해 줄 너무나도 좋은 선전도구였다. 하지만 이는 막시무스의 노림수로 황제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였기에 막시무스는 프록시모의 계획에 적극 협조했던 것이다.
로마의 콜로세움에서 열린 경기에 큰 승리를 거둔 프록시모의 검투사들에게 치하를 하기 위해 몸소 경기장에 방문한 황제 코모두스 앞에서 자신의 정체를 밝힌 막시무스는 공개적으로 복수를 천명하게 된다. 하지만 대중의 지지에 민감했던 코모두스는 차마 막시무스를 죽일 수 없었고 대신 검투사 경기를 열어 모두가 보는 앞에서 막시무스와 결투를 벌이겠다고 선언하고 만다. 결투를 준비하면서 막시무스는 한때 잠깐의 사랑의 감정을 나누었던 ’루실라(Lucilla)‘공주와 공화정 복귀를 지지하는 의원들의 지지 속에 쿠데타를 기획하지만 루실라 공주의 실수로 이내 발각되어 저지되고 만다. 경기 당일, 코모두스는 결투 전 확실한 승리를 위해 막시무스의 몸에 칼을 찔러 그를 약화시키지만, 막시무스는 이를 극복하고 결투에서 승리하여 코모두스를 죽이며 자신의 복수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막시무스 또한 출혈 과다로 결국 숨을 거두게 되고 루실라 공주는 공화정으로의 복귀를 공개적으로 선포하게 된다. 막시무스는 자신의 희생으로 많은 이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게 한다. 그의 희생으로 악을 상징했던 코모두스를 죽음으로 몰락시키며 존경과 충성의 대상이었던 선대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죽음 대한 복수 뿐 아니라 그가 생전에 원하던 공화정으로의 복귀에 크게 이바지하였을 뿐 아니라 자신과의 잠시나마 사랑의 관계였던 루실라 또한 동생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막시무스의 희생으로 검투사 동료들 또한 모두 자유를 되찾고 그 자신 또한 저세상에서나마 가족들과 재회하며 행복을 되찾게 된다. 막시무스의 죽음 이후, 그토록 갈망하던 자유를 되찾게 된 그의 친구인 주바(Juba)는 자신의 친구가 생전에 소중히 여긴 가족들을 상징하는 작은 신상을 땅 속에 묻어주며 친구의의 행복을 기원하며 영화는 마무리 된다.
3. 영화 속 등장인물 분석
1) 막시무스(러셀 크로우: Russell Crowe)
’막시무스(Maximus Decimus Meridius)‘는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주인공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는 장군에서 노예인 검투사의 위치까지 굴러 떨어졌으나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결국 복수를 완성한 강인한 인물이다. 그는 로마의 장군으로서, 뛰어난 무용을 지녔으며 전략가로서의 능력은 황제의 든든한 신념을 받는 것으로 충분히 증명되고 있다. 막시무스는 군인으로서든 검투사로서든 전투에 임할 때, 자신의 신체적인 위협이나 죽음에 대한 두려움 없이 본인의 책임을 다하며, 자신이 싸워야 할 전투를 결코 피하지 않는 용맹함을 지녔다.
그의 리더십은 그가 뛰어난 장군이 될 수 있는 이유를 알려주는데 전장에서의 막시무스는 뛰어난 리더로서 부하들이 전쟁터에서 목숨을 걸고 기꺼이 그를 믿고 따를 수 있게 해준다. 영화 초반의 전투신에서 그를 대하는 병사들의 모습을 보면 그가 얼마나 부하들에게 존경을 받는 인물인지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리더십은 검투사가 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발휘되어 나중에는 동료 검투사들의 지지를 한 몸에 받는 인물이 된다.
또한 그는 충직한 성격을 소유한 인물이었는데 국가에 대한 충성과 가정에 대한 충실함을 지닌 성실한 가장이었다. 막시무스는 자신의 조국인 로마제국의 안위를 위해 목숨을 걸고 최전선에서 싸우는 군인이면서도 매일 그의 막사에서 가족의 안녕을 신에게 기도드리는 가장이었다. 그는 자신을 깊이 신임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황제를 존경하며 언제든 자신의 황제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그의 충심은 그토록 존경하던 선대 황제와 자신의 사랑하는 가족을 모두 죽여버린 ‘코모두스(Commodus)’에게는 강력한 복수심으로 변하고 결국 그를 죽이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막시무스는 그저 복수만 추구하는 인물은 아니었다. 그 힘든 검투사 시절에도 불필요한 살생은 피하려 했으며 시합에 나갈 때마다 생사의 기로에 서 있던 상황 속에서도 원칙을 지키며, 너무나 사랑했던 가족과 충성을 다하던 존재인 황제를 위해 싸우려 한다. 또한 자신의 욕심을 추구하지 않고 기꺼이 선대 황제가 추구하던 대의인 공화정으로의 복귀를 추진하기 위해 쿠데타에 합류하고자 했던 그에게 영화를 보는 내내 응원의 마음을 가졌던 것은 필자뿐만이 아닐 것이다. 그의 이러한 매력에 수많은 관객들은 큰 지지를 보냈고 이는 영화의 흥행에 큰 역할을 하였다.
2) 코모두스(조아킨 피닉스: Joaquin Phoenix)
영화의 성공은 멋진 주인공 뿐 아니라 악역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주요 악역이었던 ‘코모두스(Lucius Aurelius Commodus Antoninus)’ 또한 그러한 악역이었다. 그는 영화 속에서 주인공인 막시무스와 대조적으로 복잡하고 잔혹한 성격을 가진 인물로 그려진다.
코모두스는 권력에 대한 강한 욕망의 소유자로 그는 자신의 권력을 위협할 수 있는 존재는 그 누구든 가리지 않고 제거하는 잔혹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친아버지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친아들인 자신 대신 일개 부하장수에 불과한 막시무스를 후계자로 선택한 것에 대한 강한 분노와 절망감을 보이는데 이는 막시무스를 자신이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는 권력을 가져가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러한 위기를 초래한 아버지 또한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제거해버린다. 아버지조차 죽인 판국에 막시무스 또한 제거대상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이다. 비록 죽이지는 못했지만 자신의 지위를 가져갈 수 있었던 정적인 막시무스와 그의 가족을 죽여 후환을 제거하려 했지만 막시무스를 죽이는데는 실패하고 이는 되려 자신의 목숨을 앗아가는 칼날이 되어 돌아온다. 자신이 사랑하는 누이와 조카조차도 자신의 권력을 빼앗으려 하면 절대 가만히 두지 않았다. 친누나 앞에서 조카의 목숨을 위협하며 자신을
  • 가격1,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3.06.22
  • 저작시기202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3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