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나다순
본문내용
할 의 기이할 기
아름다울의
배댈 의 거룻배 차
율무 의 율무 억
개미 의
떳떳할 이
익힐 이
질경이 이
벨 이
띠싹 제
끼칠 이
가까울 이
엿 이
먹일 사
강이름 익
웃을 익 시호 시
기운 인
자리 인
가슴걸이인
역말 일
아이밸 임
생각할 임 너 님
여물 임
들깨 임
스물 입
인할 잉
새풀싹 잉
물을 자
힘쓸 자
지붕일 자
벨 작
잔약할 잔
졸졸흐를잔
봉우리 잠 산세가험준한모양 음
밝을 장
녹나무 장
장롱 장
담 장
착할 장
장물 장
가래나무재 가래나무자
맑을 재
일 재
가져올 재 탄식할 자
쟁 쟁
간할 쟁
우두커니설저
쌓을 저
누이 저
교만할 저
공이 저 공이 처
닥나무 저
가죽나무저
물가 저
돼지 저 암퇘지 차
등창 저
모시 저
모시풀 저
김치 저
늪 자
감자 저 감자 서
이 저
물수리 저
어긋날 저 이바르지못할 차
공적 적
꿩 적
고을이름책
물억새 적
나아갈 적
화살촉 적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9)
밭갈 전
신선이름전
벽돌 전 뭉칠 단
귀막이 전
화전 전
통발 전
설명할 전
비녀 전
새길 전
솥 휴
강이름 절 일 석
부스럼 절
땅이름 점 고개 재
점 점
시들 다
메기 점
접을 접
접을 절
끌 랍
단정할 정
해뜨는모양정
위성류 정
앙금 정 앙금 전
물괼 정
물이름 정
깨끗할 정
빛날 정
옥 소리 정 옥 소리 쟁
가죽띠 정
조정할 정
징소리 정
쇳덩이 정
천둥소리정
배꼽 제
냉이 제
맑은술 제
비갤 제
조상할 조
이를 적
도마 조
아침 조
고을이름주
면류관드림옥 조
으늑할 조 예쁠 요
벼룩 조
독수리 조
새길 조
살촉 족
화살촉 촉
호미 착
상고신인종
즐길 종
종려나무종
물소리 종 물댈 상
쇠북 종
난쟁이 주
예쁠 주
모일 주
단비 주
심지 주
살 주
얽을 주
쌀 도
거미 주
전국술 주
투구 주
죽 죽
팔 육
준걸 준
모일 준
구울 준 태울 출
농부 준
뒷걸음질칠준
영특할 준
살찐고기전땅이름 취
싹 줄
싹틀 촬
싹 절
노 즙
노 집
이을 즙
모을 집
건질 증
김오를 증
시루 증
비단 증
물가 지
담글 지
숫돌 지
다만 지
공경할지
땅귀신 기
어수리 지
거미 지
폐백 지 움직이지아니할 얼
발 지
놀랄 진 입술 순
꽂을 진 흔들 장
나아갈 진
진나라 진
평고대 진
개암나무진
다할 진
많을 진
아름다운돌 진
옥돌 진
두둑 진
부릅뜰 진
붉은비단진
고울 진
이를 진
더위지기진
홑옷 진
구휼할 진
수레뒤턱
나무 진
어리석을질
조카 질
사람이름질
거머리 질
샘솟을 집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0)
판금 집
낙망할 차
우뚝솟을차 울쑥불쑥할치
갈 차
삭은뼈 자
찌를 차
악착할 착
맑을 찬
숨을 찬
빼앗을 찬
정미 찬
이을 찬
감을 찰
녹봉 채
진터 채
비단 채
비녀 채 비녀 차
기개있을척 어긋나게뻗을 주
뼈바를 척 깎을 체
근심할 척
밟을 척
일천 천
밭두둑 천
옥고리 천
어그러질천
잡될 준
두렁 천
그네 천
그칠 철
더할 첨 젖을 점 경망할 접
달 첨
제비 첨
이를 첨 넉넉할 담 두꺼비 섬
성가퀴 첩
속눈썹 첩 깜작일 섭
문득 첩
우거질 청 순무 정
청어 청 잡회 정
머리깎을체
끊을 초
산초나무초
풀 초
완두 초
풀이름 소
신맛나는조미료 초
잔돌릴 작
제사지낼초
우거질 촉
마을 촌
바쁠 총
총명할 총
분주할 총
다 총
합할 총
파 총 짐수레 창
다할 추 낮을 초
주름 추
사철쑥 추
물을 추
병아리 추
마부 추
나라이름축
두터울 독
악기이름축
쌓을 축
닥칠 축
줄어들 척
옥이름 춘
차조 출
부리 취
달릴 취
독수리 취
기울 측
뒷간 측
치자나무치
검은빛 치
어리석을치
어릴 치
검을 치
어리석을치
짐수레 치
신칙할 칙
옻 칠
일곱 칠 삼갈 철
보배 침
꾸짖을 타
끌 타
늘어질 타
실을 타 실을 태
클 탁
쫄 탁
부리 주
터질 탁
밝을 탁
딱따기 탁 쪼갤 석 처녑 사
사람이름탁 사람이름착
탄식할 탄
또 우
걸상 탑
금고 탕 처자 노
나라이름태
버틸 탱
토끼 토
훔칠 투
엿볼 틈
열 파
옷의아랫단파
열 패
옷의아랫단패
비파나무파
언덕 판
외씨 판
금박 판
입 벌릴 팔
나팔 팔
깨뜨릴 팔
여덟 팔
강이름 패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1)
이리 패
낭패할 패
으뜸 패
두목 패
삶을 팽
나부낄 편
바둑판 평
짖을 폐
사랑할 폐
펼 포
박 포
쌀 포
나누어줄표
범 표
바가지 표
폭풍 표
황부루 표
방죽 피 비탈 파
칼집장식필
향기로울필 종족이름별
좋은향내가 날 필
문간방 하
문간방 하
여름 하
이 시
옳을 시
새우 하
넓고큰모양 한
한가할 한 사이 간
재갈머금을 함
물고기많은모양 합
쪽문 합
문짝 합
짝 항
항아 항
항아 항 항아 상
건널 항
차꼬 항 도리 형
지경 해
어린아이해
이슬기운해
게 해
요행 행
노랑어리
연꽃 행
옥 이름 향 옥 이름 상
건량 향
나무이름헌
클 혁
염탐할 현
햇살 현 햇살 년
이슬빛날현 땅이름 견
옥돌 현
불거진눈현
뱃전 현
외로울 혈
머리 혈
책 면 엽
낄 협
두루미칠협
위협할 협
겨드랑이협
꼬투리 협
집게 협
멀 형
실개천 형
물이름 형
등불 형
노리개 형
멀 형
줄 형
줄 영
빛날 형
빛날 경
별반짝일혜
풀이름 혜
좁은길 혜
이상야릇할계
신 혜
병 호
산 호
맑을 호
물가 호 물가 허
넓을 호
박 호
명주 호
지황 호 지황 하 갈대 로
마늘 호
쑥 호
짚 고
나비 호
구할 호
클 호
퍼질 호 삶을 확
아름다운옥 혼
수은 홍
화톳불 홍
그림 화
그을 획
시끄러울화
움킬 확 움킬 국
굳을 확 고르지않은모양 교
빛날 환
환할 환
흩어질 환 물이름 회
흰비단 환
뚫린골 활
휘장 황
마음밝을황
밝을 황
책상 황
성지 황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2)
웅덩이 황
패옥 황
대숲 황
서 황
혀 황
메뚜기 황
해자 황
물돌아나갈 회
봇도랑 회
교활할 회 교활할 쾌
회향풀 회
집울릴 횡
클 홍
클 굉
종 횡
가르칠 효
올빼미 효 목매달 교
성씨 효
뒤섞일 효
안주 효
날랠 효
제후 후
따뜻하게할 후
옥 이름 후 옥 이름 허
공 훈
질나발 훈
김쐴 훈
연기낄 훈
훙서 훙 많을 횡
온난할 훤
마를 훤
불 훼
원추리 훤
빛 휘
빛날 휘 햇무리 운
밭두둑 휴
이지러질휴
속일 휼
도요새 휼
새벽 흔
화끈거릴흔
기뻐할 흔
말더듬을흘
우뚝솟을흘
묶을 흘
이를 흘 이를 글
합할 흡
기쁠 희
빛날 희
쌍희 희
기쁠 희
희롱할 희 탄식할 호
마를 희
햇빛 희
빛날 희
지을 희
아름다울의
배댈 의 거룻배 차
율무 의 율무 억
개미 의
떳떳할 이
익힐 이
질경이 이
벨 이
띠싹 제
끼칠 이
가까울 이
엿 이
먹일 사
강이름 익
웃을 익 시호 시
기운 인
자리 인
가슴걸이인
역말 일
아이밸 임
생각할 임 너 님
여물 임
들깨 임
스물 입
인할 잉
새풀싹 잉
물을 자
힘쓸 자
지붕일 자
벨 작
잔약할 잔
졸졸흐를잔
봉우리 잠 산세가험준한모양 음
밝을 장
녹나무 장
장롱 장
담 장
착할 장
장물 장
가래나무재 가래나무자
맑을 재
일 재
가져올 재 탄식할 자
쟁 쟁
간할 쟁
우두커니설저
쌓을 저
누이 저
교만할 저
공이 저 공이 처
닥나무 저
가죽나무저
물가 저
돼지 저 암퇘지 차
등창 저
모시 저
모시풀 저
김치 저
늪 자
감자 저 감자 서
이 저
물수리 저
어긋날 저 이바르지못할 차
공적 적
꿩 적
고을이름책
물억새 적
나아갈 적
화살촉 적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9)
밭갈 전
신선이름전
벽돌 전 뭉칠 단
귀막이 전
화전 전
통발 전
설명할 전
비녀 전
새길 전
솥 휴
강이름 절 일 석
부스럼 절
땅이름 점 고개 재
점 점
시들 다
메기 점
접을 접
접을 절
끌 랍
단정할 정
해뜨는모양정
위성류 정
앙금 정 앙금 전
물괼 정
물이름 정
깨끗할 정
빛날 정
옥 소리 정 옥 소리 쟁
가죽띠 정
조정할 정
징소리 정
쇳덩이 정
천둥소리정
배꼽 제
냉이 제
맑은술 제
비갤 제
조상할 조
이를 적
도마 조
아침 조
고을이름주
면류관드림옥 조
으늑할 조 예쁠 요
벼룩 조
독수리 조
새길 조
살촉 족
화살촉 촉
호미 착
상고신인종
즐길 종
종려나무종
물소리 종 물댈 상
쇠북 종
난쟁이 주
예쁠 주
모일 주
단비 주
심지 주
살 주
얽을 주
쌀 도
거미 주
전국술 주
투구 주
죽 죽
팔 육
준걸 준
모일 준
구울 준 태울 출
농부 준
뒷걸음질칠준
영특할 준
살찐고기전땅이름 취
싹 줄
싹틀 촬
싹 절
노 즙
노 집
이을 즙
모을 집
건질 증
김오를 증
시루 증
비단 증
물가 지
담글 지
숫돌 지
다만 지
공경할지
땅귀신 기
어수리 지
거미 지
폐백 지 움직이지아니할 얼
발 지
놀랄 진 입술 순
꽂을 진 흔들 장
나아갈 진
진나라 진
평고대 진
개암나무진
다할 진
많을 진
아름다운돌 진
옥돌 진
두둑 진
부릅뜰 진
붉은비단진
고울 진
이를 진
더위지기진
홑옷 진
구휼할 진
수레뒤턱
나무 진
어리석을질
조카 질
사람이름질
거머리 질
샘솟을 집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0)
판금 집
낙망할 차
우뚝솟을차 울쑥불쑥할치
갈 차
삭은뼈 자
찌를 차
악착할 착
맑을 찬
숨을 찬
빼앗을 찬
정미 찬
이을 찬
감을 찰
녹봉 채
진터 채
비단 채
비녀 채 비녀 차
기개있을척 어긋나게뻗을 주
뼈바를 척 깎을 체
근심할 척
밟을 척
일천 천
밭두둑 천
옥고리 천
어그러질천
잡될 준
두렁 천
그네 천
그칠 철
더할 첨 젖을 점 경망할 접
달 첨
제비 첨
이를 첨 넉넉할 담 두꺼비 섬
성가퀴 첩
속눈썹 첩 깜작일 섭
문득 첩
우거질 청 순무 정
청어 청 잡회 정
머리깎을체
끊을 초
산초나무초
풀 초
완두 초
풀이름 소
신맛나는조미료 초
잔돌릴 작
제사지낼초
우거질 촉
마을 촌
바쁠 총
총명할 총
분주할 총
다 총
합할 총
파 총 짐수레 창
다할 추 낮을 초
주름 추
사철쑥 추
물을 추
병아리 추
마부 추
나라이름축
두터울 독
악기이름축
쌓을 축
닥칠 축
줄어들 척
옥이름 춘
차조 출
부리 취
달릴 취
독수리 취
기울 측
뒷간 측
치자나무치
검은빛 치
어리석을치
어릴 치
검을 치
어리석을치
짐수레 치
신칙할 칙
옻 칠
일곱 칠 삼갈 철
보배 침
꾸짖을 타
끌 타
늘어질 타
실을 타 실을 태
클 탁
쫄 탁
부리 주
터질 탁
밝을 탁
딱따기 탁 쪼갤 석 처녑 사
사람이름탁 사람이름착
탄식할 탄
또 우
걸상 탑
금고 탕 처자 노
나라이름태
버틸 탱
토끼 토
훔칠 투
엿볼 틈
열 파
옷의아랫단파
열 패
옷의아랫단패
비파나무파
언덕 판
외씨 판
금박 판
입 벌릴 팔
나팔 팔
깨뜨릴 팔
여덟 팔
강이름 패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1)
이리 패
낭패할 패
으뜸 패
두목 패
삶을 팽
나부낄 편
바둑판 평
짖을 폐
사랑할 폐
펼 포
박 포
쌀 포
나누어줄표
범 표
바가지 표
폭풍 표
황부루 표
방죽 피 비탈 파
칼집장식필
향기로울필 종족이름별
좋은향내가 날 필
문간방 하
문간방 하
여름 하
이 시
옳을 시
새우 하
넓고큰모양 한
한가할 한 사이 간
재갈머금을 함
물고기많은모양 합
쪽문 합
문짝 합
짝 항
항아 항
항아 항 항아 상
건널 항
차꼬 항 도리 형
지경 해
어린아이해
이슬기운해
게 해
요행 행
노랑어리
연꽃 행
옥 이름 향 옥 이름 상
건량 향
나무이름헌
클 혁
염탐할 현
햇살 현 햇살 년
이슬빛날현 땅이름 견
옥돌 현
불거진눈현
뱃전 현
외로울 혈
머리 혈
책 면 엽
낄 협
두루미칠협
위협할 협
겨드랑이협
꼬투리 협
집게 협
멀 형
실개천 형
물이름 형
등불 형
노리개 형
멀 형
줄 형
줄 영
빛날 형
빛날 경
별반짝일혜
풀이름 혜
좁은길 혜
이상야릇할계
신 혜
병 호
산 호
맑을 호
물가 호 물가 허
넓을 호
박 호
명주 호
지황 호 지황 하 갈대 로
마늘 호
쑥 호
짚 고
나비 호
구할 호
클 호
퍼질 호 삶을 확
아름다운옥 혼
수은 홍
화톳불 홍
그림 화
그을 획
시끄러울화
움킬 확 움킬 국
굳을 확 고르지않은모양 교
빛날 환
환할 환
흩어질 환 물이름 회
흰비단 환
뚫린골 활
휘장 황
마음밝을황
밝을 황
책상 황
성지 황
어문회 特級II 漢字쓰기(12)
웅덩이 황
패옥 황
대숲 황
서 황
혀 황
메뚜기 황
해자 황
물돌아나갈 회
봇도랑 회
교활할 회 교활할 쾌
회향풀 회
집울릴 횡
클 홍
클 굉
종 횡
가르칠 효
올빼미 효 목매달 교
성씨 효
뒤섞일 효
안주 효
날랠 효
제후 후
따뜻하게할 후
옥 이름 후 옥 이름 허
공 훈
질나발 훈
김쐴 훈
연기낄 훈
훙서 훙 많을 횡
온난할 훤
마를 훤
불 훼
원추리 훤
빛 휘
빛날 휘 햇무리 운
밭두둑 휴
이지러질휴
속일 휼
도요새 휼
새벽 흔
화끈거릴흔
기뻐할 흔
말더듬을흘
우뚝솟을흘
묶을 흘
이를 흘 이를 글
합할 흡
기쁠 희
빛날 희
쌍희 희
기쁠 희
희롱할 희 탄식할 호
마를 희
햇빛 희
빛날 희
지을 희
추천자료
[독후감/서평/요약] 학습계획서
한자능력검정시험 배정한자 한국어문회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일본어 오용 표현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학교 수학과 ICT활용, 영어과 이러닝 지도자료(수업자료), 중학교 사회과 수준별, 과학과 ...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어문회3급-배정한자총정리
한자교육에 대한 인식, 필요성, 마케팅, 변화, 선호도, 정도, 분석, 고객, 4P 분석, 시사점, ...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교육에 있어 한자어 형태소의 쓰임과 어휘 확장에 대한 일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