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sue Staining(H&E staining & Sirius red staining) 조직표본제작과 염색 결과 레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issue Staining(H&E staining & Sirius red staining) 조직표본제작과 염색 결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2) 실험기기 및 장비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7. 퀴즈

본문내용

① Fixation(고정)
세포에 산소공급이 중단되면 세포내의 가수분해효소들을 가두고 있던 막이 유지되지 못하여 효소들이 빠져나와 세포질소기관을 분해하고 결국 구조가 파괴된다. 따라서 조직학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표본을 먼저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세포의 구조가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직에 Formalin(포르말린), Glutaraldehyde(글루타르알데하이드), Picric acid(피크린산), Potassium dichromate(중크롬산칼륨) 등의 고정시약을 처리하여 세포내 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정제
: 37% 포름알데히드의 등장성 완충 용액인 포르말린(Formalin), 조직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아민기(NH2)와 결합하여 단백질의 분해를 막는다. Glutaraldehyde(글루타르알데하이드)의 경우 두 개의 알데히드가 단백질을 교차결합시킬 수 있어 고정이 더 잘 된다고 한다. 매우 작은 구조물의 확대와 해상도를 위해 Glutaraldehyde 완충용액으로 고정한 뒤 osmium tetroxide(사산화오스미움)로 침투시키는 이중고정의 방법도 있다. 이는 전자현미경관찰에 표준화되어 있고 사산화오스미움은 단백질뿐만 아니라 세포막 지질도 보존할 수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7.11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217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