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결하기 위한 대상자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상자들의 사회, 건강, 문화, 경제 등의 요인을 파악한다.
2. 목표설정 (Desired Outcomes):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목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목표와 교육 대상자들이 얻어야 할 지식, 행동, 태도 등을 설정한다.
3. 이론적 기반 (Theoretical Foundations):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적절한 이론을 선택한다.
4. 계획 및 개발 (Program Planning):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 목표,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계획한다.
5. 구현 (Implementation):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실제로 실행하고, 대상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한다.
2) PROCEED 과정
PROCEED 과정은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에서 건강 증진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의 후반 4단계를 의미한다. PROCEED는 \"Policy, Regulatory, and Organizational Constructs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의 약자이다. 이 과정은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 및 결과 평가 단계로, 다음과 같은 4개의 단계로 구성되어진다.
1. 구현 평가 (Process Evaluation):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진행됐는지, 대상자들의 참여율은 어떠한지 등을 파악한다.
2. 결과 평가 (Impact Evaluation):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고, 대상자들의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한다.
3. 효과 평가 (Effectiveness Evaluation):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건강 행동, 건강 관심도 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4. 유지 보수 평가 (Maintenance Evaluation):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지속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한다.
2.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의 각 단계 적절한 예시와 함께 요약
1) 제1단계 : 사회적 진단
- 삶의 질 : 우리의 삶과 이를 둘러 싼 환경에 대한 행복감과 만족감(삶의 목표)
- PRECEDE-PROCEED 모델은 삶의 질을 정의하고 지표를 측정하는 것부터 시작
- 사회적 진단(사정) : 자신과 환경, 커뮤니티를 포함하여 행복하고 만족한지를 진단하는 과정
- 자료 수집 방법 : 1차, 2차적인 자료 수집
① 1차적인 자료수집
- 개념 : 보건교육사가 보건교육 대상자들로부터 직접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방법 : 표본조사, 관찰, 자원조사 일람, 지역사회 포럼, 포커스 그룹 인터뷰, 델파이 패널, 건강위험요인조사 등
- 특징 : 정확한 정보 수집, 많은 시간과 비용
② 2차적인 자료 수집
- 개념 : 다른 사람이 연구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
- 자료 : 통계청, 보건기관, 사회복지단체 등에서 발표한 인구와 보건에 관한 지표
- 특징 : 시간과 비용이 절감, 낮은 정확도
2) 제2단계 : 역학적 진단
- 사망과 유병률 등의 역학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 인구의 주요 건강문제를 파악
- 보건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 목표 : 질병 예방, 대상 인구의 사망률 감소(장기적 목표 - 수년이 걸린다)
3) 제3단계 : 교육적생태적 진단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교육 및 생태적 진단은 삶의 질과 연관된 행위적, 환경적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파악된 요인들은 프로그램의 즉각적인 목표가 된다. 보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성향요인(행위를 하기에 앞서 내재된 요인으로 동기화에 관련된 태도, 신념, 가치, 인식 등이 포함), 촉진요인(건강행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자원이 포함된다.), 강화 요인(행동을 지속, 유지, 반복하도록 하는 보상이나 인센티브 또는 벌칙)이 있다.
4) 제4단계 : 행정적정책적 진단
-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필요한 조직적 및 행정적 역량과 자원을 검토하는 단계
-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인력, 물자, 시설, 예산 등의 자원 확보
- 행정 조직적인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
5) 제5단계 : 수행
- 효과적인 교육 전략과 활동을 선택하여 보건교육 프로그램 실행
6) 제6단계 : 과정 평가
- 프로그램 시작과 동시에 할 수 있는 평가 방법
-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과 프로그램 실행과 관련된 활동, 교육대상자의 반응 평가
- 프로그램 수행 시 생기는 문제점을 일찌감치 발견할 수 있고 곧 수정
7) 제7단계 : 영향 평가
-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중단기적인 효과 평가
- 프로그램 실시 후 소인성, 가능, 강화 요인이나 영향력 있는 환경적 요인의 변화 평가
⇒ 대상자의 지식, 태도, 신념, 가치관, 기술, 행동의 변화 등을 측정
8) 제8단계 : 결과평가
- 질병의 유병률 또는 사망률의 감소 등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장기적인 효과 평가
- 삶의 질과 건강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했는지 확인
Ⅲ. 결론
협의의 건강증진과 광의의 건강증진은 둘 다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지만, 그 접근 방식이 조금 다르다.
협의의 건강증진은 개인이나 집단 내에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함께 협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회사에서 건강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이 협의의 건강증진에 해당되어진다.
반면에, 광의의 건강증진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제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7.12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7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