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Ⅰ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 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Ⅱ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갑절
(2) 곱절
(3) 돋우다
(4) 돋구다
(5) 제치다
(6) 젖히다
(7) 장본인
(8) 주인공
(9) 사단
(10) 사달
(11) 탓
(12) 기리다
(13) 인상착의(人相着衣)
(14) 현안(懸案)
(15) 배석하다
참고문헌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 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Ⅱ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갑절
(2) 곱절
(3) 돋우다
(4) 돋구다
(5) 제치다
(6) 젖히다
(7) 장본인
(8) 주인공
(9) 사단
(10) 사달
(11) 탓
(12) 기리다
(13) 인상착의(人相着衣)
(14) 현안(懸案)
(15) 배석하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또는 그렇게 하다.“ 의 뜻이다.
가. 발이 뜨거운 국에 데었다. / 나. ‘데이다’는 잘못된 표현.
3. 교재 제Ⅱ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갑절 : 2배수를 의미 예) 다음 달에는 품삯을 갑절로 주겠다.
(2) 곱절 : 2배수 이상을 뜻하면 곱절을 사용한다. 예) 이번 달은 매출이 세 곱절로 늘었다.
(3) 돋우다 : 입맛을 당기게 하다. 예) 구수한 청국장 냄새가 입맛을 돋웠다.
(4) 돋구다 : 안경의 도수를 맞출 때 쓴다. 예) 눈이 나빠져 안경 도수를 돋구어야겠다.
(5) 제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라는 의미. 예) 한국 선수가 일본 선수를 제치고 나갔다.
(6) 젖히다 : ‘뒤로 기울게 하다’라는 뜻이다. 예) 어깨가 뻐근하여 고개를 뒤로 젖혔다.
(7) 장본인 :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부정적인 상황에 쓰임. 예) 그 사건의 장본인은 자취를 감췄다.
(8) 주인공 :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 예) 한국 경제 성장의 주인공은 부모님 세대이다.
(9) 사단 : 사건의 단서, 실마리라는 뜻 예) 탐정은 현장을 샅샅이 뒤졌으나 사단을 찾지 못했다.
(10) 사달 : 사고나 탈이라는 뜻. 예) 잘못된 일을 쉬쉬하더니 결국 이 사달이 났군.
(11) 탓 : 탓은 부정적인 현상이 일어난 원인이나 까닭을 의미한다. 예) 이번 사업이 잘되면 내 덕이고, 못되면 자네 탓이야.
(12) 기리다 : ‘기리다’는 뛰어난 업적이나 바람직한 정신, 위대한 사람들을 칭찬하고 기억하다는 의미이다. 예) 현충원에 방문해 선열의 뜻을 기렸다.
(13) 인상착의(人相着衣) :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예) 어두운 밤이라 용의자의 인상착의가 확실히 보이지 않았다.
(14) 현안(懸案) : 이전부터 의논하여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문제나 의안. 예) 서울시에는 해결이 시급한 현안이 쌓여있다.
(15) 배석하다 : 웃어른 또는 상급자를 따라 어떤 자리에 함께 참석하다. 예) 말단직원이 임원들과 한자리에 배석 되었다.
참고문헌
고성환, 이상진 지음, 글쓰기, 출판문화원. 2019.
표준국어대사전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가. 발이 뜨거운 국에 데었다. / 나. ‘데이다’는 잘못된 표현.
3. 교재 제Ⅱ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갑절 : 2배수를 의미 예) 다음 달에는 품삯을 갑절로 주겠다.
(2) 곱절 : 2배수 이상을 뜻하면 곱절을 사용한다. 예) 이번 달은 매출이 세 곱절로 늘었다.
(3) 돋우다 : 입맛을 당기게 하다. 예) 구수한 청국장 냄새가 입맛을 돋웠다.
(4) 돋구다 : 안경의 도수를 맞출 때 쓴다. 예) 눈이 나빠져 안경 도수를 돋구어야겠다.
(5) 제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라는 의미. 예) 한국 선수가 일본 선수를 제치고 나갔다.
(6) 젖히다 : ‘뒤로 기울게 하다’라는 뜻이다. 예) 어깨가 뻐근하여 고개를 뒤로 젖혔다.
(7) 장본인 :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부정적인 상황에 쓰임. 예) 그 사건의 장본인은 자취를 감췄다.
(8) 주인공 :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 예) 한국 경제 성장의 주인공은 부모님 세대이다.
(9) 사단 : 사건의 단서, 실마리라는 뜻 예) 탐정은 현장을 샅샅이 뒤졌으나 사단을 찾지 못했다.
(10) 사달 : 사고나 탈이라는 뜻. 예) 잘못된 일을 쉬쉬하더니 결국 이 사달이 났군.
(11) 탓 : 탓은 부정적인 현상이 일어난 원인이나 까닭을 의미한다. 예) 이번 사업이 잘되면 내 덕이고, 못되면 자네 탓이야.
(12) 기리다 : ‘기리다’는 뛰어난 업적이나 바람직한 정신, 위대한 사람들을 칭찬하고 기억하다는 의미이다. 예) 현충원에 방문해 선열의 뜻을 기렸다.
(13) 인상착의(人相着衣) :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예) 어두운 밤이라 용의자의 인상착의가 확실히 보이지 않았다.
(14) 현안(懸案) : 이전부터 의논하여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문제나 의안. 예) 서울시에는 해결이 시급한 현안이 쌓여있다.
(15) 배석하다 : 웃어른 또는 상급자를 따라 어떤 자리에 함께 참석하다. 예) 말단직원이 임원들과 한자리에 배석 되었다.
참고문헌
고성환, 이상진 지음, 글쓰기, 출판문화원. 2019.
표준국어대사전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글쓰기 중간과제물)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 2023] 1. 좋은 글의 요건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
글쓰기-2023년 교재 제I부 제1장 14쪽 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글쓰기(공통) - 교재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
글쓰기 )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