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10점)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4. 참고문헌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10점)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D점(커피 14잔과 햄버거 6개)은 A점보다 효용 수준이 높으므로 C점과 D점을 통과하는 무차별곡선 I2 의 효용 수준이 무차별곡선 I1 보다 높다고 정리할 수 있다. 즉, 여러 무차별 곡선들이 있을 때 우상향 쪽으로 갈수록 효용 수준이 높아진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21~22페이지 참고
다시 말해서, 무차별곡선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이 증가하거나 커피나 햄버거의 소비 수량이 늘어날수록 효용 수준은 증가한다. 주어진 소득이 있기때문에 한 재화의 소비량이 증가하면 동일한 효용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재화의 소비량은 감소하는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는 우하향한다. 무차별곡선에서 수평축에 있는 변수가 증가할수록 절대값으로 보았을 때 기울기는 감소하면서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가 된다. 재화를 많이 소비할수록 추가적인 소비에 따른 효용이 증가, 즉 한계 효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23~24페이지 참고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를 한계대체율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MRS(Marginal Rate of Substitution)이라고 한다. 햄버거의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햄버거 한 단위를 더 소비했을 때 증가하는 효용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한계대체율이 감소한다고 한다. 이때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란 소비량이 늘어날수록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법칙이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27~28페이지 참고
예산 제약이란 소비자의 소득과 재화의 가격에 의해 소비자가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정해지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원하는 물건이 있다면 원하는 만큼 사고 싶은 욕구가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부자는 아니다. 부자도 가지고 있는 돈은 유한하며, 또한 살 수 있는 재화의 양도 유한하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득 내에서 어떤 재화가 필요해서 얼마나 소비할지, 어떤 재화는 보류하거나 포기해야 할지 등등 선택하며 예산을 짜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소득이 일정하다면 재화의 가격이 오를수록 소비자가 살 수 있는 재화의 양도 감소한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4페이지 참고
그림 4는 예산 제약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예산 제약선이란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으로 최대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나타내는 선이다. 예산 제약선 그래프의 수평축 및 수직축이 만나는 점을 수학에서 절편이라고 한다. 절편을 찾아서 그 점을 모두 연결하면 그림 4와 같은 예산 제약선이 된다. A점은 10잔의 커피와 5개의 햄버거는 소비자의 소득 100,000원으로 커피와 햄버거 구입에 모두 지출했을 때의 이다. B점은 커피 10잔과 4개의 햄버거를 소비하면 소득이 다 지출되지 않고 일부분이 남는 것을 보여준다. C점은 예산 제약선 바깥 ┵에 위치하여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으로는 구입이 불가능한 것을 알려 준다. 수평축과 만나는 점은 모든 소득을 나타내는 재화에 소비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양으로 소득을 수평축에 있는 재화의 가격으로 나누어 구한다. 수직축과 만나는 점은 모든 소득을 수직축이 나타내는 재화에 소비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양으로서 소득을 수직축에 있는 재화의 가격으로 나누어 구한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8페이지 참고
예산 제약선의 기울기는 수평축에 있는 변수 한 단위가 변했을 때 수직축에 있는 변수의 변화량이고, 햄버거 한 개가 줄면 커피 두 잔이 증가하므로 기울기는 2가 된다. 커피 두 잔을 더 마시려면 햄버거 한 개를 포기해야 하는데 햄버거 가격이 커피 가격의 두 배이기 때문이다. 소득이 변화하면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도 변한다. 커피와 햄버거 가격이 그대로이고 소득만 증가한 경우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는 증가한다. 소득이 증가하면 예산 제약선이 우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반대로 소득이 감소하면 예산 제약선은 좌측 안쪽으로 평행이동한다. 재화의 가격이 변하고 소비자의 소득이 그대로일 경우에도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예산 제약선도 이동한다. 햄버거 가격이 만 원에서 5천 원으로 하락하면 수직축인 커피 가격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동이 없지만, 수평축의 햄버거 가격은 만 원에서 5천 원으로 하락할 경우, 햄버거를 구매할 수 있는 수량이 10에서 20으로 증가한다. 햄버거 가격이 하락하면 예산 제약선은 우측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기울기도 평평해진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8~15페이지 참고
4. 참고문헌
기초미시경제론, 2016, 노형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다시 말해서, 무차별곡선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이 증가하거나 커피나 햄버거의 소비 수량이 늘어날수록 효용 수준은 증가한다. 주어진 소득이 있기때문에 한 재화의 소비량이 증가하면 동일한 효용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재화의 소비량은 감소하는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는 우하향한다. 무차별곡선에서 수평축에 있는 변수가 증가할수록 절대값으로 보았을 때 기울기는 감소하면서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가 된다. 재화를 많이 소비할수록 추가적인 소비에 따른 효용이 증가, 즉 한계 효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23~24페이지 참고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를 한계대체율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MRS(Marginal Rate of Substitution)이라고 한다. 햄버거의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햄버거 한 단위를 더 소비했을 때 증가하는 효용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한계대체율이 감소한다고 한다. 이때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란 소비량이 늘어날수록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법칙이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27~28페이지 참고
예산 제약이란 소비자의 소득과 재화의 가격에 의해 소비자가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정해지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원하는 물건이 있다면 원하는 만큼 사고 싶은 욕구가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부자는 아니다. 부자도 가지고 있는 돈은 유한하며, 또한 살 수 있는 재화의 양도 유한하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득 내에서 어떤 재화가 필요해서 얼마나 소비할지, 어떤 재화는 보류하거나 포기해야 할지 등등 선택하며 예산을 짜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소득이 일정하다면 재화의 가격이 오를수록 소비자가 살 수 있는 재화의 양도 감소한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4페이지 참고
그림 4는 예산 제약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예산 제약선이란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으로 최대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나타내는 선이다. 예산 제약선 그래프의 수평축 및 수직축이 만나는 점을 수학에서 절편이라고 한다. 절편을 찾아서 그 점을 모두 연결하면 그림 4와 같은 예산 제약선이 된다. A점은 10잔의 커피와 5개의 햄버거는 소비자의 소득 100,000원으로 커피와 햄버거 구입에 모두 지출했을 때의 이다. B점은 커피 10잔과 4개의 햄버거를 소비하면 소득이 다 지출되지 않고 일부분이 남는 것을 보여준다. C점은 예산 제약선 바깥 ┵에 위치하여 소비자에게 주어진 소득으로는 구입이 불가능한 것을 알려 준다. 수평축과 만나는 점은 모든 소득을 나타내는 재화에 소비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양으로 소득을 수평축에 있는 재화의 가격으로 나누어 구한다. 수직축과 만나는 점은 모든 소득을 수직축이 나타내는 재화에 소비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양으로서 소득을 수직축에 있는 재화의 가격으로 나누어 구한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8페이지 참고
예산 제약선의 기울기는 수평축에 있는 변수 한 단위가 변했을 때 수직축에 있는 변수의 변화량이고, 햄버거 한 개가 줄면 커피 두 잔이 증가하므로 기울기는 2가 된다. 커피 두 잔을 더 마시려면 햄버거 한 개를 포기해야 하는데 햄버거 가격이 커피 가격의 두 배이기 때문이다. 소득이 변화하면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도 변한다. 커피와 햄버거 가격이 그대로이고 소득만 증가한 경우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재화는 증가한다. 소득이 증가하면 예산 제약선이 우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반대로 소득이 감소하면 예산 제약선은 좌측 안쪽으로 평행이동한다. 재화의 가격이 변하고 소비자의 소득이 그대로일 경우에도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예산 제약선도 이동한다. 햄버거 가격이 만 원에서 5천 원으로 하락하면 수직축인 커피 가격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동이 없지만, 수평축의 햄버거 가격은 만 원에서 5천 원으로 하락할 경우, 햄버거를 구매할 수 있는 수량이 10에서 20으로 증가한다. 햄버거 가격이 하락하면 예산 제약선은 우측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기울기도 평평해진다. 기초미시경제론_7강 8~15페이지 참고
4. 참고문헌
기초미시경제론, 2016, 노형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미시경제론 )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의 개념을 설명...
방송대_22학년도1학기)_기초미시경제론(공통) - 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초미시경제론 중간과제물)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비...
2023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원의 희소성, 무차별곡선)
기초미시경제론
[경영학과] 2023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원의 희소성, 무차별곡선)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기초미시경제론(공통) -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