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학과 디자인이 함께하는 환경색체
색체계획이 완성되지 않은 실내디자인은 실패한다.
ex) 푸른색의 사용 : Institutional green (제도적인 녹색)
색체계획은 공간을 개선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 색체는 주요디자인 요소일 뿐 아니라, 중요한 디자인 툴임.
- 색체는 좁은 공간을 넓게 보이게도 하고, 나쁜 속성을 숨기기 위해서도 사용됨.
색체계획은 색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여 복잡한 작업들을 포함한다.
- 몇몇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타고난 재능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음.
- 색의 사용은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없는 경험을 통해 습득된다고도 주장함.
-------------------------------------------------
< 실내공간의 색 >
- 실내공간의 색채효과
-> 공간의 개성, 공간과 사물 사이에 안정감 부여
-> 공간지각에 영향 : 작은 공간을 보다 크게, 긴 공간을 보다 짧게, 평면적인 공간을 입 체적으로 + 흰색이나 차가운 색의 천장이 높아 보이고, 어두운 색 이나 따듯한 색의 천장이 실제보다 낮아보임.
- 3차원의 공간
-> 공간을 이루는 각각의 색면이 공간 내의 어떤 물건보다 큰 면적으로 구성됨.
- 색체의 중첩성과 인접성
-> 실내공간은 벽면, 바닥뿐 아니라 매우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물건들로 구성
-> 시선의 위치가 공간의 사용방식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인접한 색면들의 효과도 계속 적으로 변화
자연색 Natural Color
사물의 성장, 제조과정에서 비롯된 색채 ex) 돌이 굳어지면서 생기는 색, 나무의 색
장점) 디자인의 정직함, 표현성 ex) Frank Lloyd Wright 대표적인 근대 건축가, 디자이너
역사적 건축의 실내공간 ex) 중세의 성과 교회, 유럽과 미국의 식민지 주택과 농촌주택, 초가지붕
합성수지의 자연색
-> 최소한의 인공적인 채색을 가미한 플라스틱 칼라
-> 내구성과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안료의 사용
중성색
물질의 자연색에 대한 특별한 고려없음
단색 또는 단일색조의 사용
안전하고 충돌이 없으며 어떤 상황에도 수용 가능
-> 흰색-회색-검정의 중성색의 사용
-> 따듯한 색 ex) 베이지, 아이보리
-> 차가운 색 ex) 녹색, 푸른색, 보라색 기미의 회색
중성색의 가미(neutral plus)
기능색
실내공간의 요구에 부합하는 색채의 사용
날씨나 향과 같은 환경적 요소를 강화, 완화
-> 따뜻한 색 - 추운 날씨나 북향
-> 차가운 색 덥거나 맑은 날씨
난해한 공간의 형태를 수정
-> 배색을 통해 공간을 넓게 보이게 만들거나 이상한 형태를 이상적인 형태로 보이게 함.
구성요소의 강조/제거
-> 흰색 벽에 흰색 문
업무공간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 단조로움 지양, 쾌적한 분위기
-> 건강유지
업무효율향상
-> 창조적 자극
-> 커뮤니케이션 향상
식음료공간
분위기가 침체되거나 불쾌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 검정, 짙은 파랑이나 보라색, 연두색 지양
-> 빨강, 따뜻한 색채를 유사한 색이나 보색의 액센트 색채와 함께 사용
서비스 음식의 전통적 특성을 살리되 진부하지 않도록
-> 목재마감 바닥과 테이블 해산물
-> 빨강, 흰색, 초록 이탈리안 레스토랑
의료공간
의사/간호사, 기타 의료진, 환자, 방문객의 요구가 복잡하게 작용
-> 사용하는 공간이 중첩되기도 하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용함.
회복과 건강을 지원할 수 있는 색채계획
-> 휴식과 안정, 긍정적인 분위기 제공
Art vs Design
-> 목적과 기능
-> 표현의 제약
-> 사용자 요구사항
-> 생산의 효율성
Why Design Color?
메시지의 전달 / Communication
-> 색을 통해 부정적, 긍정적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전달
2. 특징의 표출 / Presentation
-> 제품의 형태에 색이 더해져서 그 제품의 특징을 확실하게 나타냄
3. 심리적 효과 / Psychology
-> 따뜻하고 차가움, 넓고 좁음 등을 심리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4. 심미적 효과 / Aesthetics
-> 소비자의 개성과 미에 대한 욕구충족
환경
environ : 둘러싸다. 에워싸다. 포위하다.
고리 환, 지경 경 : 어느 한 장소를 고리처럼 둥글게 둘러싸고 있는 것
->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비물리적 제반조건
->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유형, 무형의 객체
-> 도시환경 : 자연과 인공적인 구조물이 형성하는 거대한 환경
-> 거리환경 : 도시의 한 부분으로 사람들이 직접 활동하게 되는 외부환경
-> 건물 : 사람들의 생활을 보호하는 구조물로서의 환경
-> 실내공간 :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내부 환경
-> 제품환경 의류 : 사람들의 몸과 접하는 친근한 환경
과학과 디자인이 함께하는 환경색체
색이란?
- 시각기관(눈)을 통해서 뇌로 전달되어지는 빛에 대한 감각이다.
색지각 3요소
-> 광원(빛), 물체, 시각기관(눈)
-> 색에 대한 대뇌에서의 반응에 대한 이해 필요
빛
색을 보는 첫 번
색체계획이 완성되지 않은 실내디자인은 실패한다.
ex) 푸른색의 사용 : Institutional green (제도적인 녹색)
색체계획은 공간을 개선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 색체는 주요디자인 요소일 뿐 아니라, 중요한 디자인 툴임.
- 색체는 좁은 공간을 넓게 보이게도 하고, 나쁜 속성을 숨기기 위해서도 사용됨.
색체계획은 색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여 복잡한 작업들을 포함한다.
- 몇몇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타고난 재능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음.
- 색의 사용은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없는 경험을 통해 습득된다고도 주장함.
-------------------------------------------------
< 실내공간의 색 >
- 실내공간의 색채효과
-> 공간의 개성, 공간과 사물 사이에 안정감 부여
-> 공간지각에 영향 : 작은 공간을 보다 크게, 긴 공간을 보다 짧게, 평면적인 공간을 입 체적으로 + 흰색이나 차가운 색의 천장이 높아 보이고, 어두운 색 이나 따듯한 색의 천장이 실제보다 낮아보임.
- 3차원의 공간
-> 공간을 이루는 각각의 색면이 공간 내의 어떤 물건보다 큰 면적으로 구성됨.
- 색체의 중첩성과 인접성
-> 실내공간은 벽면, 바닥뿐 아니라 매우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물건들로 구성
-> 시선의 위치가 공간의 사용방식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인접한 색면들의 효과도 계속 적으로 변화
자연색 Natural Color
사물의 성장, 제조과정에서 비롯된 색채 ex) 돌이 굳어지면서 생기는 색, 나무의 색
장점) 디자인의 정직함, 표현성 ex) Frank Lloyd Wright 대표적인 근대 건축가, 디자이너
역사적 건축의 실내공간 ex) 중세의 성과 교회, 유럽과 미국의 식민지 주택과 농촌주택, 초가지붕
합성수지의 자연색
-> 최소한의 인공적인 채색을 가미한 플라스틱 칼라
-> 내구성과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안료의 사용
중성색
물질의 자연색에 대한 특별한 고려없음
단색 또는 단일색조의 사용
안전하고 충돌이 없으며 어떤 상황에도 수용 가능
-> 흰색-회색-검정의 중성색의 사용
-> 따듯한 색 ex) 베이지, 아이보리
-> 차가운 색 ex) 녹색, 푸른색, 보라색 기미의 회색
중성색의 가미(neutral plus)
기능색
실내공간의 요구에 부합하는 색채의 사용
날씨나 향과 같은 환경적 요소를 강화, 완화
-> 따뜻한 색 - 추운 날씨나 북향
-> 차가운 색 덥거나 맑은 날씨
난해한 공간의 형태를 수정
-> 배색을 통해 공간을 넓게 보이게 만들거나 이상한 형태를 이상적인 형태로 보이게 함.
구성요소의 강조/제거
-> 흰색 벽에 흰색 문
업무공간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 단조로움 지양, 쾌적한 분위기
-> 건강유지
업무효율향상
-> 창조적 자극
-> 커뮤니케이션 향상
식음료공간
분위기가 침체되거나 불쾌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 검정, 짙은 파랑이나 보라색, 연두색 지양
-> 빨강, 따뜻한 색채를 유사한 색이나 보색의 액센트 색채와 함께 사용
서비스 음식의 전통적 특성을 살리되 진부하지 않도록
-> 목재마감 바닥과 테이블 해산물
-> 빨강, 흰색, 초록 이탈리안 레스토랑
의료공간
의사/간호사, 기타 의료진, 환자, 방문객의 요구가 복잡하게 작용
-> 사용하는 공간이 중첩되기도 하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용함.
회복과 건강을 지원할 수 있는 색채계획
-> 휴식과 안정, 긍정적인 분위기 제공
Art vs Design
-> 목적과 기능
-> 표현의 제약
-> 사용자 요구사항
-> 생산의 효율성
Why Design Color?
메시지의 전달 / Communication
-> 색을 통해 부정적, 긍정적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전달
2. 특징의 표출 / Presentation
-> 제품의 형태에 색이 더해져서 그 제품의 특징을 확실하게 나타냄
3. 심리적 효과 / Psychology
-> 따뜻하고 차가움, 넓고 좁음 등을 심리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4. 심미적 효과 / Aesthetics
-> 소비자의 개성과 미에 대한 욕구충족
환경
environ : 둘러싸다. 에워싸다. 포위하다.
고리 환, 지경 경 : 어느 한 장소를 고리처럼 둥글게 둘러싸고 있는 것
->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비물리적 제반조건
->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유형, 무형의 객체
-> 도시환경 : 자연과 인공적인 구조물이 형성하는 거대한 환경
-> 거리환경 : 도시의 한 부분으로 사람들이 직접 활동하게 되는 외부환경
-> 건물 : 사람들의 생활을 보호하는 구조물로서의 환경
-> 실내공간 :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내부 환경
-> 제품환경 의류 : 사람들의 몸과 접하는 친근한 환경
과학과 디자인이 함께하는 환경색체
색이란?
- 시각기관(눈)을 통해서 뇌로 전달되어지는 빛에 대한 감각이다.
색지각 3요소
-> 광원(빛), 물체, 시각기관(눈)
-> 색에 대한 대뇌에서의 반응에 대한 이해 필요
빛
색을 보는 첫 번
키워드
추천자료
색채와 마케팅
미진사, <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을 읽고 요약하는 과제
[디자인][디자인이론][디자인가치][디자인구성][디자인과정]디자인의 개념, 디자인의 어원, ...
[색채심리][색채조절][아동화분석][신호등][색채]색채심리의 배경, 색채심리의 발달단계, 색...
[색][색채][색깔][색상][컬러마케팅][컬러리스트][컬러 코디네이션]색(색채, 색깔, 색상)의 ...
우리나라 해양관광 현황과 개발사례 및 발전방향, 한국 해양 관광 현황, 발전 방향
[냉장고][김치냉장고][디오스][김장독]냉장고의 역사, 냉장고의 보관상식, 냉장고와 김치냉장...
교육공학3공통)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학...
[불어불문학과 B형] 다음 두 작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감상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인상...
[점포설계] 외식 점포설계(실내디자인의 개요와 기본전략, 점포설계계획, 실내인터리어, 식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