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11주차_생식세포분열의 관찰 결과 Report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11주차_생식세포분열의 관찰 결과 Re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본정보

Ⅱ. 서론 (Introduction)
1. 생식세포 (Germ cells)
2. 생식세포분열의 의의
3. 생식세포분열 과정

Ⅲ. 실험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 방법(Methods)

Ⅳ. 실험결과 및 결론 (Data and Results)

Ⅴ. 고찰 (Discssion)

Ⅵ. 참고 문헌 (Reforence)

본문내용

는 포자체를 만들어 사멸케 되며, 결국 종족보전에 실패한다.
2. 제1 생식세포분열 전기에 각 염색체 당 평균 2-3회의 교차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genetic recombination)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이 극대화된 배우자를 만들게 된다.
3. 제1분열 중기의 적도판 배열 조합은 2n, 따라서 인간은 1회 감수분열시 부계와 모계에서 각각 223=8,388,608가지의 배우자 조합이 가능하다.
4. 각기 다른 유전자조합을 갖는 암·수배우자는 또한 무작위적으로 만나 부모와는 유전적으로 상이한 접합자가 된다.
5. 접합자의 발생과정에서, 동일한 유전자를 보유한 자손이라 하더라도, 재조합의 결과 또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유전자 발현 과정 및 그 결과는 자손마다 차이가 나며, 각 자손은 환경에 적응된 이질적인 표현형을 갖는 성체로 발달하게 된다.
6. 결국 생식세포분열은 유성생식을 통하여 종족의 보존을 가능케 하고, 유전적으로 다양한 자손을 생상토록 하여, 생물종 전체의 유전자풀(gene pool)이 다양한 환경 선택압(selection pressure)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생식세포분열 과정
3-1. 감수 제 1분열
전기Ⅰ
세사기
leptonema
1) 염색분체가 가늘게 1줄로 보임
2) 염주알 같은 염색소립이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열; 크기, 수, 위치에 따라 염색체를 특정화하기 때문에 특이 염색체 동정의 기준
접합기
zygonema
1) 염색체가 1열로 늘어서서 접합(pairing, synapsis)
2) 상동염색체 간 간격은 0.5-0.2㎛
태사기
pachynema
1) 염색체는 완전히 쌍을 이룸
2) 세로로 수축하여 ㅚ고 두꺼워짐
3) 염색체는 4분염색체(terad chromosome)로서 수가 반감되나 핵상은 2n
4) 세사기, 접합기는 단 몇시간이 소요되나, 태사기는 며칠, 몇주, 몇 년이 지속되니도 한다.
복사기
diplonema
1) 이중기,겹섬유기
2) 밀접하게 쌍을 이룬 염색체가 서로 밀어내기(asynapsis)
3) 인접한 염색분체는 염색체 당 1곳 이상 chiasma 형성
4) 교차(crossing over)가 일어나서 분절 교환
이동기
diakinesis
1) 염색체 수축이 더욱 뚜렷해지고, 핵 안에서 고르게 분산
2) 핵막과 인이 사라짐
3) chiasma가 말단부로 이동(말단화, teeminalization); 상동염색체 말단이 서로 붙음
그림2. 생식세포 제 1분열 전기의 단계
전중기Ⅰ
1) 염색체의 응축이 최고
2) 방추체 미세소관은 동원체에 부착
3) Chr. congression(집합), c. orientation(정위치), ch. distribution(분포)
중기Ⅰ
1) 염색체의 적도판 배열
2) 염색체의 분리
후기Ⅰ
상동염색체는 2개의 염색분체 단위로 양극으로 이동
말기Ⅰ
1) 양극 도달
2) 응축된 상태를 유지
그림2. 생식세포 제 1분열
3-2. 중간기
1) 유사분열 간기와 유사한 ㅚ은 기간
2) 염색체의 복제X
3) 첫 번의 분열 결과로 동물의 웅성은 정모세포 Ⅱ로, 자성은 난모세포 Ⅱ(Ocyte Ⅱ)와 제 1 극체(polar body)를 만듬
3-3. 감수 제 2분열
전기Ⅱ
1) 전기Ⅰ과 달리 매우 ㅚ은 기간
2) 방추사 형성
중기Ⅱ
1) 염색체의 적도판 배열
2) 각 자매염색분체(sister chromatid)는 분열
후기Ⅱ
2개의 염색분체는 각각 반대극으로 이동
말기Ⅱ
각 염색분체는 핵상이 n인 생식세포로 분화
그림3. 생식세포 제 2분열
Ⅲ. 실험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현미경
세포분열 슬라이드 (식물 체세포분열, 동물 체세포분열, 제 1 감수분열, 제 2 감수분열, 딸세포, 동물 감수분열)
2. 실험 방법(Methods)
1. 현미경에 슬라이드를 고정하고,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 현미경 사용법
1. 현미경의 전원을 켠다.
2. 슬라이드를 재물대 위에 위치시킨다.
3. 조동나사를 이용해 상을 맞춘다.
4. 저배율에서 고배율 순으로 표본을 관찰한다.
Ⅳ. 실험결과 및 결론 (Data and Results)
식물의 체세포분열, 동물의 체세포분열, 제 1 감수분열, 제 2 감수분열, 딸세포, 감수분열의 동물을 관찰 및 비교했다.
식물 체세포분열 관찰 400X
체세포분열
- 뚜렷하게 관찰 불가능 하지만 전기, 중기, 후기, 말기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전기와 후기는 그나마 알 수가 있지만, 중기와 말기는 뒤의 세포와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9.25
  • 저작시기2020.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5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