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목 록
Ⅰ. 서론 - DHL & FedEx 기업선정 배경
Ⅱ. 국제특송
1. 특송서비스의 정의
2. 특송산업의 역할
3. 국제특송의 중요성
4. 특송업무 서비스 흐름
5. 국제특송의 업무영역
6. 국제특송의 특화 서비스
7. 국제특송의 수출입 업무프로세스
Ⅲ. 글로벌 특송기업 기업 소개 (DHL, FedEx)
1. Deutsche Post DHL
2. FedEx (FedEx Corporation)
Ⅳ. DHL & FedEx 의 서비스 종류
1. DHL
2. FedEx
Ⅴ. DHL & FedEx 의 기업 전략
1. 경영전략
(1) DHL
(2) FedEx
2. 차별화 전략
(1) DHL
(2) FedEx
3. 서비스 품질의 향상
(1) DHL
(2) FedEx
(3) 생산성 증대 : DHL & FedEx
(4) 고객의 편의성 및 충성도 : DHL & FedEx
(5) 정보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 DHL & FedEx
4. 광고전략
(1) DHL
(2) FedEx
5. 사회적 책임
(1) DHL
(2) FedEx
Ⅵ. 결론
Ⅶ. 참고 자료
Ⅰ. 서론 - DHL & FedEx 기업선정 배경
Ⅱ. 국제특송
1. 특송서비스의 정의
2. 특송산업의 역할
3. 국제특송의 중요성
4. 특송업무 서비스 흐름
5. 국제특송의 업무영역
6. 국제특송의 특화 서비스
7. 국제특송의 수출입 업무프로세스
Ⅲ. 글로벌 특송기업 기업 소개 (DHL, FedEx)
1. Deutsche Post DHL
2. FedEx (FedEx Corporation)
Ⅳ. DHL & FedEx 의 서비스 종류
1. DHL
2. FedEx
Ⅴ. DHL & FedEx 의 기업 전략
1. 경영전략
(1) DHL
(2) FedEx
2. 차별화 전략
(1) DHL
(2) FedEx
3. 서비스 품질의 향상
(1) DHL
(2) FedEx
(3) 생산성 증대 : DHL & FedEx
(4) 고객의 편의성 및 충성도 : DHL & FedEx
(5) 정보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 DHL & FedEx
4. 광고전략
(1) DHL
(2) FedEx
5. 사회적 책임
(1) DHL
(2) FedEx
Ⅵ. 결론
Ⅶ. 참고 자료
본문내용
DHL 파셀콥터는 위스트 섬으로 가는 배나 항공편과 같은 다른 운송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주로 의약품을 배송하는데 쓰여질 예정이다. 도이치 포스트 DHL의 우편 전자상거래 부문 CEO인 위르겐 게르더는 “DHL의 무인기 파셀콥터는 관제사들의 통제구역을 벗어나 특정 물품을 운송한 첫 사례” 라며 “파셀콥터가 이번 위스트 섬 임무 수행에서 입증했듯이 현재 개발 중인 무인기 중에서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전했다. 한편 DHL은 아직까지 이 파셀콥터를 일반적인 배송에 이용할 구체적인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무인기의 사용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고, 경제성에 부합하면 인구 밀도가 낮거나 접근이 어려운 외곽 지역, 긴급한 상황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미래의 운송 옵션이 될 것이라고 시사했다.
(2) FedEx
1) 서비스 개발
① 물류허브혁명
창업자 프레드릭 스미스가 예일대 재학당시 교수의 혹평을 받았던 레포트를 실제 사업화 하였다. 이는 두지점간의 최단거리 수송을 중시하던 업계의 상식을 바꿔 중심지에 화물 집결지, 일명 허브를 만들고 모든 화물을 허브에 모은 다음 다시 전세계에 특급으로 배송하는 방식이다. 물류허브혁명이라 일컬어지는 이 서비스는 기업들의 리드타임 및 재고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소 시켰고 페덱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 되었다.
② 최초 익일특급 배송
경쟁사에 비해 가장 늦게 특송사업을 시작한 페덱스는 설립이후 지속된 손실을 해결하고자 차별화된 운송 시스템을 개발 했다. 바로 지금은 일반화된 서비스인 익일배송 시스템이었다. 그는 꼭 필요한 화물이라면 야간에도 반드시 배달한다는 배송 서비스의 새로운 원칙을 만들었다. 게다가 당시 막강한 경쟁업체들의 장기파업으로 인해 경쟁사로 가야할 물량이 페덱스로 오게 되면서 더욱 많은 이익을 창출하였다. 1975년 7월 최초 흑자 기록, 1976년 순이익만 350만 달러, 1977년 매출액 1억달러 순이익 820만달러 기록, 이로써 페덱스는 세계적인 운송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기반을 쌓게 된다.
2) 고객과 상호작용 : 최초 전자상거래 실시
페덱스는 업계 최초로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실시하였다. 페덱스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고객들은 자신이 직접 화물운송을 신청하고 자신의 프린터로 바코드를 직접 출력하여 소포에 붙일 수 있었으며 소포는 배달원을 부르거나 가까운 화물 접수처에 맡기면 됐었다.
3) 첨단기술 경영 : 최초 화물추적시스템 도입
이른바 첨단기술경영으로 불리어진 화물추적시스템 관련 장비의 구축과 개발로 페덱스의 트레이드마크인 정확한 배송이 가능했다. 초소형 컴퓨터인 수퍼트랙커와 자체 통신위성이 만들어낸 완벽한 물류배송통신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고객이 화물 발송 하면 FedEx의 웹사이트를 통해 화물 추적번호를 이용 내가 보낸 화물이 현재 어디에 있으며 언제쯤 목적지에 도착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이는 페덱스가 자체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 인 코스모스 덕분이었는데, 코스모스 시스템의 처리 과정은 먼저 화물을 입수, 휴대용 슈퍼트랙커 장치로 바코드에 찍힌 화물의 시간과 날짜를 스캔한다. 다시 배달트럭으로 돌아와 슈퍼트랙커를 제자리에 놓으면정보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고 운송과정 중 실시간으로 갱신이 된다. 이러한 트랙킹 추적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발송물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4) 내부고객(직원) : PSP 전략
<그림 Ⅴ-3> FedEx 프레드릭 스미스 회장
출처 : DHL홈페이지
페덱스의 기업철학은 경쟁사들과는 달랐다. 운수기업갑부의 아들, 명문대 졸업등 가장 귀족적인 창업자인 프레드릭 스미스가 가장 수평적인 경영을 실천한것은 해군 소대장으로 복무한 베트남 전쟁에서 처음 노동자 계층을 만난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들을 보며 스미스는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는것의 중요함을 배웠고 이점은 페덱스의 종업원제일주의의 기업철학으로 이어졌다.
경쟁업체인 UPS와 DHL은 기업철학은 고객제일주의인 반면 페덱스는 종업원제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기업 내부구조도 최고경영자가 가장 밑이고 일선종업원이 가장 위인 역피라미드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림 Ⅴ-3> FedEx 기업 내부 구조 (역피라미드 구조)
PSP (People-사람, Service-서비스, Profit-수익)전략은 회사가 최선을 다해 직원을 배려하면 직원은 진지하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이는 이윤증대로 연결된다는 전략이다.
① 제도
페덱스의 특별한 내부 제도인 GFT는 상사의 명령이나 평가가 불공정하다고 느낄때 회사에 호소하는 심의제도이고 SPA는 직원들이 자신의 상사를 평가하도록 하는 제도로 이는 인사고과에도 반영이 된다.
② 교육지원
그리고 페덱스는 직원들을 위해 교육을 지원하기도 한다. 고졸출신의 마이클 더커는 시간당 2달러 81센트를 받는 핸들러로 페덱스에 입사했다. 회사엔 일명 유리천장이라는 고위직 승진을 가로막는 직장내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고 더커는 회사의 지원을 받아 대학원까지 졸업하며 아시아태펴양 회장, 남부 유럽 부회장을 거쳐 최고운영책임자겸 인터내셔널 대표에 올랐다. 이처럼 페덱스의 임원 절반이 더커와 같은 교육의 혜택을 받았다.
③ (업적) 인식 프로그램 개발
페덱스는 성공은 직원들의 헌신에 달려있다 생각하고 직원들의 성과와 회사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업적인식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내용에는 파이브스타상, 브라보줄루상, 퍼플약속상, 인도주의상이 있으며, 특히 인도주의상은 자동차 사고, 점심시간, 산불, 부상등의 개인의 비극과 불행에 직면한 순간에도 직업정신을 보여준 직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를 통해 페덱스는 더욱 사회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그 위상을 높여갔다.
그 외 직원들의 학비 보조금 지급, 신축적인 휴가기간 운영, 파트타임 직원들을 위한 각종 혜택제공 등 직원의 복지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 동종업계 최저 수준의 이직률을 자랑하며 2001년과 2002년에는 미국에서 가장존경받는 기업에 올랐고 2005년 포천지가 선정한 가장 일하고 싶은 100대 기업에도 선정되었다. 특히 스미스 회장은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가장 존경하는 최고경영자이기도 하다.
3. 서비스 품질의 향상
(1) DHL
독일
(2) FedEx
1) 서비스 개발
① 물류허브혁명
창업자 프레드릭 스미스가 예일대 재학당시 교수의 혹평을 받았던 레포트를 실제 사업화 하였다. 이는 두지점간의 최단거리 수송을 중시하던 업계의 상식을 바꿔 중심지에 화물 집결지, 일명 허브를 만들고 모든 화물을 허브에 모은 다음 다시 전세계에 특급으로 배송하는 방식이다. 물류허브혁명이라 일컬어지는 이 서비스는 기업들의 리드타임 및 재고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소 시켰고 페덱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 되었다.
② 최초 익일특급 배송
경쟁사에 비해 가장 늦게 특송사업을 시작한 페덱스는 설립이후 지속된 손실을 해결하고자 차별화된 운송 시스템을 개발 했다. 바로 지금은 일반화된 서비스인 익일배송 시스템이었다. 그는 꼭 필요한 화물이라면 야간에도 반드시 배달한다는 배송 서비스의 새로운 원칙을 만들었다. 게다가 당시 막강한 경쟁업체들의 장기파업으로 인해 경쟁사로 가야할 물량이 페덱스로 오게 되면서 더욱 많은 이익을 창출하였다. 1975년 7월 최초 흑자 기록, 1976년 순이익만 350만 달러, 1977년 매출액 1억달러 순이익 820만달러 기록, 이로써 페덱스는 세계적인 운송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기반을 쌓게 된다.
2) 고객과 상호작용 : 최초 전자상거래 실시
페덱스는 업계 최초로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실시하였다. 페덱스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고객들은 자신이 직접 화물운송을 신청하고 자신의 프린터로 바코드를 직접 출력하여 소포에 붙일 수 있었으며 소포는 배달원을 부르거나 가까운 화물 접수처에 맡기면 됐었다.
3) 첨단기술 경영 : 최초 화물추적시스템 도입
이른바 첨단기술경영으로 불리어진 화물추적시스템 관련 장비의 구축과 개발로 페덱스의 트레이드마크인 정확한 배송이 가능했다. 초소형 컴퓨터인 수퍼트랙커와 자체 통신위성이 만들어낸 완벽한 물류배송통신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고객이 화물 발송 하면 FedEx의 웹사이트를 통해 화물 추적번호를 이용 내가 보낸 화물이 현재 어디에 있으며 언제쯤 목적지에 도착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이는 페덱스가 자체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 인 코스모스 덕분이었는데, 코스모스 시스템의 처리 과정은 먼저 화물을 입수, 휴대용 슈퍼트랙커 장치로 바코드에 찍힌 화물의 시간과 날짜를 스캔한다. 다시 배달트럭으로 돌아와 슈퍼트랙커를 제자리에 놓으면정보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고 운송과정 중 실시간으로 갱신이 된다. 이러한 트랙킹 추적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발송물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4) 내부고객(직원) : PSP 전략
<그림 Ⅴ-3> FedEx 프레드릭 스미스 회장
출처 : DHL홈페이지
페덱스의 기업철학은 경쟁사들과는 달랐다. 운수기업갑부의 아들, 명문대 졸업등 가장 귀족적인 창업자인 프레드릭 스미스가 가장 수평적인 경영을 실천한것은 해군 소대장으로 복무한 베트남 전쟁에서 처음 노동자 계층을 만난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들을 보며 스미스는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는것의 중요함을 배웠고 이점은 페덱스의 종업원제일주의의 기업철학으로 이어졌다.
경쟁업체인 UPS와 DHL은 기업철학은 고객제일주의인 반면 페덱스는 종업원제일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기업 내부구조도 최고경영자가 가장 밑이고 일선종업원이 가장 위인 역피라미드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림 Ⅴ-3> FedEx 기업 내부 구조 (역피라미드 구조)
PSP (People-사람, Service-서비스, Profit-수익)전략은 회사가 최선을 다해 직원을 배려하면 직원은 진지하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이는 이윤증대로 연결된다는 전략이다.
① 제도
페덱스의 특별한 내부 제도인 GFT는 상사의 명령이나 평가가 불공정하다고 느낄때 회사에 호소하는 심의제도이고 SPA는 직원들이 자신의 상사를 평가하도록 하는 제도로 이는 인사고과에도 반영이 된다.
② 교육지원
그리고 페덱스는 직원들을 위해 교육을 지원하기도 한다. 고졸출신의 마이클 더커는 시간당 2달러 81센트를 받는 핸들러로 페덱스에 입사했다. 회사엔 일명 유리천장이라는 고위직 승진을 가로막는 직장내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고 더커는 회사의 지원을 받아 대학원까지 졸업하며 아시아태펴양 회장, 남부 유럽 부회장을 거쳐 최고운영책임자겸 인터내셔널 대표에 올랐다. 이처럼 페덱스의 임원 절반이 더커와 같은 교육의 혜택을 받았다.
③ (업적) 인식 프로그램 개발
페덱스는 성공은 직원들의 헌신에 달려있다 생각하고 직원들의 성과와 회사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업적인식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내용에는 파이브스타상, 브라보줄루상, 퍼플약속상, 인도주의상이 있으며, 특히 인도주의상은 자동차 사고, 점심시간, 산불, 부상등의 개인의 비극과 불행에 직면한 순간에도 직업정신을 보여준 직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를 통해 페덱스는 더욱 사회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그 위상을 높여갔다.
그 외 직원들의 학비 보조금 지급, 신축적인 휴가기간 운영, 파트타임 직원들을 위한 각종 혜택제공 등 직원의 복지향상을 위해 노력한 결과 동종업계 최저 수준의 이직률을 자랑하며 2001년과 2002년에는 미국에서 가장존경받는 기업에 올랐고 2005년 포천지가 선정한 가장 일하고 싶은 100대 기업에도 선정되었다. 특히 스미스 회장은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가장 존경하는 최고경영자이기도 하다.
3. 서비스 품질의 향상
(1) DHL
독일
추천자료
물류관련 기업의 세계적인 성공방법론 모색-한진택배와 FedEX(페텍스)와의 비교 분석
[마케팅] DHL의 마케팅 분석과 발전방안
FedEx(Federal Express)
현대택배에 관하여
페덱스의 조직관리 성공사례
DHL
DHL VS 한진택배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SWOT, STP분석
Fedrx 페덱스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페덱스 SCM,서비스전략분석및 새로운...
FedEx 페덱스 기업분석과 SWOT분석, 페덱스 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연구, 페덱스 미래전략제안
페덱스 Fedex 기업 SWOT분석과 마케팅믹스 7P전략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