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간경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수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간경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평가
6. 참고자료

본문내용

게 저나트륨식이의 중요성 및 식이 조절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저나트륨식이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복수가 있다면 짜게 먹는 것이 복수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싱겁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너무 심하게 제한하여 식욕이 떨어지고 식사량이 줄어드는 것은 좋지 않으니, 우선 염분이 과다한 국물, 젓갈, 장아찌, 김치, 가공식품 등의 섭취를 줄이고 식초, 참기름 등을 이용해 새콤하거나 고소한 맛을 살리면 먹기 더 좋으실겁니다.”
15.체내 염분축적은 간경변 대상자에서 복수생성의 특징적인 병태생리 소견이며, 체내 나트륨 축적이 수분의 저류와 복수를 유발하므로 저염식이는 복수 조절의 필수적이다.
15.나트륨은 체내의 물질 이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도한 나트륨은 물이 조직에 머무르게 하므로 부종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호흡수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② 대상자는 5일 이내 호흡곤란이 호전되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③ 대상자는 침상 안정 중 Spo2 95% 이상 유지된다
④ 대상자는 10일 이내 복부 둘레가 현재보다 10cm 이상 감소한다.
⑤ 대상자는 7일 이내 간과 관련된 혈액검사수치가 호전된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 시 호흡곤란 증상이 없고, 객담을 스스로 배출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퇴원 시 호흡양상이 규칙적이며, 충분한 환기를 유지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편집.
·간경변성 복수의 관리, 윤아일린,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내과
·2017년 대한간학회 복수 및 관련 합병증 진료 가이드라인 소개: 2011년 가이드라인과 어떻게 달라졌는가?, 서연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간경변성 복수 및 자발성세균성복막염의 치료, 최성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이진호, 인제대학교 내과학교실 상계백병원 내과
·간경변증 환자에서 복수천자가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금민수 외 7명,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대한중환자학회
· 서울대학교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0.18
  • 저작시기202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7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