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
제 2장 서구문화와 대비되는 일본문화의 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제 2장 서구문화와 대비되는 일본문화의 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장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
1. 이문화에 대한 원초적 호기심
① 우리가 일본사회에 대해 갖는 문화적 관심은 상당히 일상적인 것으로 그중에는 일본인들이 섬나라 국민성 을 가져 폐쇄적이라든지, 이러한 폐쇄성은 열등감에 기초한다든지 하는 주관적인 논의도 찾아볼 수 있음
② 일본문화의 특징을 독창적으로 파악한 것으로 일본인들에게 널리 평가받고 있는 이어령의 축소지양의 일본 인 에서는 일본문화의 축소지향형 특징을 하이쿠에서버부터 하이테크 상품, 일상적인 관용어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함
2. 일본적인 것의 탐구
① 일본문화를 규명하려는 노력은 근대 초기인 메이지기부터 활발히 전개되어 왔음
② 메이지기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은 뒤떨어진 근대화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서구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보았음
③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론의 개략에서 문명의 외형을 취하는 것은 쉽고 그 정신을 구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함
④ 일본문화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것은 전후에 와서임
⑤ 고도 성장기에는 경제대국이 된 일본의 고도성장의 원일을 규명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어 일본의 독특한 사회구조와 문화적 요인이 널리 주목을 받음
3. 일본문화론이란 무엇인가?
1) 일본문화론
① 일본사회와 일본문화를 다루는 모든 논의가 곧 일본문화론에 해당함
② 일본문화론은 전체 사회의 차원에서 다른 사회의 문화와 대비되는 일본문화의 특징을 끄집어내고자 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음
- 일본문화를 포괄적으로 하나의 전체로 파악한다는 것은 바로 국민 국가를 분석 단위로 하고 있음
- 일본문화를 홀리스틱하게 다루는 것은 전체는 부분의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이라고 보는 입장임
⑤ 일본문화의 일반성보다는 고유성에, 보편성보다는 특수성에 주목해 왔음
4. 일본을 보는 거울로서의 일본문화론
① 일본문화론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으로는 일본계 미국인 연구자 하루미베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 스기모토 요시오와 로스 아오어 등이 있음
② 일본문화론에 대한 평가는 일본문화론이라는 논의를 통해 우리가 일본문화를 얼마나 더 잘 이해하게 되는가라는 관점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음
<1장 출제예상문제>
1.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문화론적 설명이란 본질적으로 선택적이다.
② 문화론적 설명은 순수한 설명을 추구하면 할수록 모순되는 사례를 무시하고 자신과 타자의 상호간의 차이를 강조하는 특징들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③ 문화론적 접근방식은 다른 문화에 대한 원초적인 호기심의 표현이다.
④ 한 사회의 문화적 특징을 여러 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다원화시켜 설명하는 것이 문화론적 접근이다.
[정답] 4
[해설] 문화론적 접근방법은 한 사회의 문화적 특징을 하나의 개념을 중심으로 단순화시켜 설명하고자하는 접근방법이다.
- 중략 -
1. 이문화에 대한 원초적 호기심
① 우리가 일본사회에 대해 갖는 문화적 관심은 상당히 일상적인 것으로 그중에는 일본인들이 섬나라 국민성 을 가져 폐쇄적이라든지, 이러한 폐쇄성은 열등감에 기초한다든지 하는 주관적인 논의도 찾아볼 수 있음
② 일본문화의 특징을 독창적으로 파악한 것으로 일본인들에게 널리 평가받고 있는 이어령의 축소지양의 일본 인 에서는 일본문화의 축소지향형 특징을 하이쿠에서버부터 하이테크 상품, 일상적인 관용어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함
2. 일본적인 것의 탐구
① 일본문화를 규명하려는 노력은 근대 초기인 메이지기부터 활발히 전개되어 왔음
② 메이지기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은 뒤떨어진 근대화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서구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보았음
③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론의 개략에서 문명의 외형을 취하는 것은 쉽고 그 정신을 구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함
④ 일본문화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것은 전후에 와서임
⑤ 고도 성장기에는 경제대국이 된 일본의 고도성장의 원일을 규명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어 일본의 독특한 사회구조와 문화적 요인이 널리 주목을 받음
3. 일본문화론이란 무엇인가?
1) 일본문화론
① 일본사회와 일본문화를 다루는 모든 논의가 곧 일본문화론에 해당함
② 일본문화론은 전체 사회의 차원에서 다른 사회의 문화와 대비되는 일본문화의 특징을 끄집어내고자 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음
- 일본문화를 포괄적으로 하나의 전체로 파악한다는 것은 바로 국민 국가를 분석 단위로 하고 있음
- 일본문화를 홀리스틱하게 다루는 것은 전체는 부분의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이라고 보는 입장임
⑤ 일본문화의 일반성보다는 고유성에, 보편성보다는 특수성에 주목해 왔음
4. 일본을 보는 거울로서의 일본문화론
① 일본문화론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으로는 일본계 미국인 연구자 하루미베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 스기모토 요시오와 로스 아오어 등이 있음
② 일본문화론에 대한 평가는 일본문화론이라는 논의를 통해 우리가 일본문화를 얼마나 더 잘 이해하게 되는가라는 관점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음
<1장 출제예상문제>
1.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문화론적 설명이란 본질적으로 선택적이다.
② 문화론적 설명은 순수한 설명을 추구하면 할수록 모순되는 사례를 무시하고 자신과 타자의 상호간의 차이를 강조하는 특징들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③ 문화론적 접근방식은 다른 문화에 대한 원초적인 호기심의 표현이다.
④ 한 사회의 문화적 특징을 여러 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다원화시켜 설명하는 것이 문화론적 접근이다.
[정답] 4
[해설] 문화론적 접근방법은 한 사회의 문화적 특징을 하나의 개념을 중심으로 단순화시켜 설명하고자하는 접근방법이다.
- 중략 -
추천자료
2019년 1학기 일본사회문화연습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0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2021년 1학기 일본사회문화연습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1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1년 2학기 현대일본정치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2년 1학기 일본사회문화연습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2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2년 2학기 현대일본정치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3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2023년 1학기 일본사회문화연습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