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재에 수록된 고전문학 작품[출석수업 대상(<서경별곡>, 송강 시조, <용부가> 등)은 제외, 한 작가의 여러 작품을 다루어도 좋음]을 선택하여 해당 작품을 감상하시오. 단, 아래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한 답을 모두 포함하되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하나의 글을 완성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동문선(東文選)의 갈래 특징
2. 동문선(東文選)을 선택한 이유
3. 동문선(東文選)의 평가 및 근거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선택한 작품은 어떤 갈래에 해당하며, 그것이 속한 갈래의 특징.hwp
2. 해당 작품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으며 그렇게 평가하는 근거.hwp
3. 해당 작품을 선택한 이유.hwp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5. 결론 작성시 참조.hwp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동문선(東文選)의 갈래 특징
2. 동문선(東文選)을 선택한 이유
3. 동문선(東文選)의 평가 및 근거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선택한 작품은 어떤 갈래에 해당하며, 그것이 속한 갈래의 특징.hwp
2. 해당 작품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으며 그렇게 평가하는 근거.hwp
3. 해당 작품을 선택한 이유.hwp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5. 결론 작성시 참조.hwp
본문내용
I. 서 론
고전문학은 표기 방식에 따라 한글문학과 한문문학으로 나뉜다. 한문은 고조선 때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한문문학은 수천 년 동안 한국 고전문학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향찰로 표기된 향가나 조선 시대 때 기록된 고려의 노래가 있긴 하지만 한글 창제 이후에야 시조와 가사, 소설 등의 한글문학이 다수 등장하여 한문문학과 상호 보완하고 경쟁하게 된다.
한시는 우리나라 지식인들이 향유한 문예 양식이다. 우리나라에 『주역』의 음양 사상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것도 식자층인 유학자들이었으며, 음양오행을 내재화시킨 것도 그들이었다. 따라서 한시 작품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지식인들의 의식 세계를 비롯한 사유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동문선(東文選)은 우리나라 문학을 대표하는 시문선집으로, 성종의 명으로 1478년에 편찬되었다. 서거정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 강희맹, 양성지 등을 포함해 총 23명이 이 책을 편찬하는 데 참여해서,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약 500명에 달하는 작가의 작품 4302편을 실었다. 우리나라의 문학도 중국 못지않게 훌륭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그래서 책의 이름도 『동문선』이라 짓게 되었다. ‘동국’ 즉 우리나라의 문학 작품을 뽑아 놓은 책이라는 뜻이다.
이 레포트는 고전문학 작품 중 동문선(東文選)을 선택하여 해당 작품을 분석하였다.
II. 본 론
1. 동문선(東文選)의 갈래 특징
동문선(東文選)은 조선 성종때 서거정이 주축이 되어 편찬하였다. 삼한 이후부터 조선 전기까지 작가 수백 명의 작품을 문체별로 총망라하여 수록 편찬한 선문집이다. 동문선은 왕명에 의해 우리나 라 시문집을 집대성한 본문 130권, 목록 3권, 합 133권 45책으로 구성 된 시선집으로 역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문을 모두 모아놓은 총서 이기 때문이다. 편찬 책임자는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이었고, 노사신, 강희맹, 양성지 등 찬집관 23명이 공 동으로 참여하여 편찬하였다.
동문선(東文選)은 한문학에 속한다. 한문학은 오랫동안 국문학 분야의 적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직접적인 이유는 문자가 한국 문자가 아니고 중국문자이기 때문에 중국문학과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지만 간접적인 이유는 이른바 서구에서 도입한 문학 관념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 때문이었다.
국문학에서 문학갈래는 서정, 서사, 희곡, 교술의 이론 갈래와 향가, 경기체가, 소설 등 실제 갈래로 나누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작 한문학을 분류할 때는 기(記), 서(序), 전(傳) 등 문체별 분류를 하기 일쑤이다. 동문선에 수록된 55개의 문체는 그렇게 만들어졌다. 문체는 한문학에 있어서 실제 갈래인데 국문문학에 비해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서사증은 문체를 명확히 변별하기 위하여 문체명변(文體明辯)이라는 책을 짓기도 하였다. 그만큼 한문 문체는 문체가 많고 그 변별이 어려웠던 셈이다. 서사증은 문체를 120여류로 나누었는데 너무 세분하여 분류의 의미가 없다는 평을 듣는다. 이는 다양한 한문 문체를 이론 갈래 수준까지 잘 범주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 중략 -
고전문학은 표기 방식에 따라 한글문학과 한문문학으로 나뉜다. 한문은 고조선 때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한문문학은 수천 년 동안 한국 고전문학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향찰로 표기된 향가나 조선 시대 때 기록된 고려의 노래가 있긴 하지만 한글 창제 이후에야 시조와 가사, 소설 등의 한글문학이 다수 등장하여 한문문학과 상호 보완하고 경쟁하게 된다.
한시는 우리나라 지식인들이 향유한 문예 양식이다. 우리나라에 『주역』의 음양 사상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것도 식자층인 유학자들이었으며, 음양오행을 내재화시킨 것도 그들이었다. 따라서 한시 작품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지식인들의 의식 세계를 비롯한 사유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동문선(東文選)은 우리나라 문학을 대표하는 시문선집으로, 성종의 명으로 1478년에 편찬되었다. 서거정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 강희맹, 양성지 등을 포함해 총 23명이 이 책을 편찬하는 데 참여해서,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약 500명에 달하는 작가의 작품 4302편을 실었다. 우리나라의 문학도 중국 못지않게 훌륭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그래서 책의 이름도 『동문선』이라 짓게 되었다. ‘동국’ 즉 우리나라의 문학 작품을 뽑아 놓은 책이라는 뜻이다.
이 레포트는 고전문학 작품 중 동문선(東文選)을 선택하여 해당 작품을 분석하였다.
II. 본 론
1. 동문선(東文選)의 갈래 특징
동문선(東文選)은 조선 성종때 서거정이 주축이 되어 편찬하였다. 삼한 이후부터 조선 전기까지 작가 수백 명의 작품을 문체별로 총망라하여 수록 편찬한 선문집이다. 동문선은 왕명에 의해 우리나 라 시문집을 집대성한 본문 130권, 목록 3권, 합 133권 45책으로 구성 된 시선집으로 역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문을 모두 모아놓은 총서 이기 때문이다. 편찬 책임자는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이었고, 노사신, 강희맹, 양성지 등 찬집관 23명이 공 동으로 참여하여 편찬하였다.
동문선(東文選)은 한문학에 속한다. 한문학은 오랫동안 국문학 분야의 적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직접적인 이유는 문자가 한국 문자가 아니고 중국문자이기 때문에 중국문학과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지만 간접적인 이유는 이른바 서구에서 도입한 문학 관념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 때문이었다.
국문학에서 문학갈래는 서정, 서사, 희곡, 교술의 이론 갈래와 향가, 경기체가, 소설 등 실제 갈래로 나누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작 한문학을 분류할 때는 기(記), 서(序), 전(傳) 등 문체별 분류를 하기 일쑤이다. 동문선에 수록된 55개의 문체는 그렇게 만들어졌다. 문체는 한문학에 있어서 실제 갈래인데 국문문학에 비해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서사증은 문체를 명확히 변별하기 위하여 문체명변(文體明辯)이라는 책을 짓기도 하였다. 그만큼 한문 문체는 문체가 많고 그 변별이 어려웠던 셈이다. 서사증은 문체를 120여류로 나누었는데 너무 세분하여 분류의 의미가 없다는 평을 듣는다. 이는 다양한 한문 문체를 이론 갈래 수준까지 잘 범주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 중략 -
추천자료
- 고등학교 국어생활 교과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국어생활 교과의 내용체계, 고등학교 국어...
- 2021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제12장 다윈, 『종의 기원』 감상문)
- 2021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과제물(감상문 작성)
- 2022년 1학기 동서양문학고전산책 기말시험 과제물(교재 작품내용요약 + 감상과 해석)
- 2022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과제물(고전문학 작품 분석)
-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동서양문학고전산책 기말시험과제물)교재와 강의에서 소개된 15편의...
- 2023년 1학기 동서양문학고전산책 기말시험 과제물(교재와 강의에서 소개된 15편의 작품)
- (2023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동서양고전의이해, 과제물)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5장...
- 2023년 2학기 미술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과제물(가장 흥미롭고 감동 받은 미술 작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