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사회복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고 추상적이라는 견해이다. 두 번째로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가 타 전문직과 차별성이 없고 중복된다는 견해이다. 현재 위클래스의 전문상담사가 배치되어야한다는 것은 법적인 근거가 존재하고 있으나, 학교사회복지사가 있어야한다는 법적 근거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또한, 위클래스의 전문상담가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차별성에 대해 잘 알 수 없다는 의견이 많다. 세 번째로 별도의 법을 만들면 위원회 등 관련 전달체계를 법 조항에 포함하게 되는데, 타 법률에서 정하고 있어 중복되는 부분이 조정이 필요하다는 견해이다. 네 번째로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교육시설인 학교를 사회복지사업법 내에 포함할 수 없다는 견해이다. 종합적으로는 지난 10여 년 동안 입법과정에서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되나, 타 전문직과 구별되는 구체적인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내용이 입법기관인 국회와 행정기관인 중앙정부에 명쾌하게 설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Ⅲ. 결론
결론적으로 현 상황에서의 학교사회복지는 제도화가 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까지 나온 필요성 이외에도 전문상담가와 어떠한 점이 차별화되는지 논의하고 했으면 한다. 예를 들자면, 전문 상담가는 학생과 일대일로 만나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이끌어 주고 있으나, 사회복지사처럼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자원을 연계하고, 이후 사례관리를 통해 꾸준히 사례관리 한다는 점을 부각시켰으면 하는 것이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들을 조금 더 늘리고, 학생들이 만나는 사회복지사는 어떠한지, 이러한 일들로 인하여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게 된다면 더 나은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타 법률에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법적 근거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부터 체계적으로 논의해보아야하는 기회가 주어져야한다. 현재 까지는 제도화에 대한 이슈만을 생각하고 있었으나, 더 나은 환경과 모습을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들의 근무환경, 체계적인 대처방안, 각 현장에 있는 교수들, 사회복지사들이 함께 연구해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이종익 외 2명, 2018,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과정과 주요 쟁점”, 학교사회 복 지, Vol 41, p.29~54
- 장수한, ‘학교사회복지론’, 공동체.
- 한국학교사회복지협회
- 2015 미국의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사례와 시사점 : ‘커뮤니티 수클’ 사례를 중심으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1.11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