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치료과정
4) 기능적 건강양상의 사정
5) 수술 후 경과
6)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치료과정
4) 기능적 건강양상의 사정
5) 수술 후 경과
6)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2차 사정 방법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HPV가 고위험 유형으로 확인되는 경우 80% 이상에서 CIN 또는 침윤성 암이 발견된다.
4)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cervicogrphy)
비정형적 세포진검사 결과 후 2차 사정 방법으로 병소를 확인하고 질 확대경 검사 결과와 조직검사 결과와 비교한다. 자궁경부를 미세사진 촬영하여서 방사선과에서 흉부 X-선 검사를 판독하는 것과 동일하게 촬영된 슬라이드를 질 확대경 전문의사에게 보내여 자궁경부를 판독하게 하는 방법이다.
5) 원추생검(Conization of the cervix)
마취와 수술 후 합병증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6) Cervical Punch biopsy***
병변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pap smear를 하고 눈에 보이는 경우에는
colposcopocally directed biopsy를 시행한다. Cervical punch biopsy는 colposcopy하에서 병변을 확인하면서 시행된다. 만약 punch biopsy에서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지 않으면 conization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는 비정상 세포검사(Pap test)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된다.
절대적인 금기사항은 없으나 임신여성에서는 혈관 분포/기능상태(vascularity)의 증가에 의해 출혈이 과다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얻어진 조직은 자궁경부에서의 위치를 표시한 후 10% formalin solution에 넣는다. 대개의 경우에서 출혈은 심각하지 않기 때문에 거즈를 약 4시간 정도 Packin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6. 치료
1) 비정상상피내종양(ASCUS)의 치료
질 세포진 검사를 6개월 후에 다시 실시한다. 연속 2회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1년마다 질세포진 검
사를 받도록 한다.
검사결과가 반복적으로 ASCUS로 나오거나 좀 더 심한 분류로 나올 때는 질확대경검사, 자궁경부 확
대촬영술 및 HPV 유형검사를 해야한다.
검사결과가 1회 검사에서 ASCUS로 나오는 경우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이나 HPV 유형검사를 하고, 이
두 검사 중 한 가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오면 바로 질확대경 검사를 하고, 모두 음성이면 1년 뒤에
검사하도록 한다.
2) 저등급상피내종양(LSIL)의 치료
LSIL의 소견을 보이는 여성의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치유되나 일부여성에서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게된다. 치료의 결정은 환자에게 달려있으나 이 병소를 가진 여성의 15%에서 지속적 진행을 보이므로 병소부위를 박리해야한다.
3) 고등급 상피내종양(HSIL)의 치료
질 세포진검사에서 고등급 상피내종양(HSIL, moderate or severe dysplasia, CIN2 or CIN3 or CIS)을 보이는 경우에는 질확대경 검사와 조준생검(directed biopsy)을 해야한다.
치료 전 조직학적 진단이 정확하고 병소의 정도가 분명하게 결정되면 다양한 박리기술이 적용된다. 이들 치료는 외래에서 수행가능하며, 치료 후 재발률이 10% 정도 되므로 치료 후 1년간은 3개월 간격으로 세포학적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냉동요법 (cryotherapy)
세포내액을 결정화해서 경부의 상피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치료의 적응증은
CIN1,2, 병소가 1.0cm 이하로 작은 경우
외자궁경부에만 국한된 병소인 경우
내자궁경부 소파결과 음성인 경우
조직검사에서 내자궁경부선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2) 레이져 요법
질 확대경을 직접 보면서 치료의 깊이와 넒이를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으며, 치료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보통 3~4주의 치료기간이 걸리며, 3~4주후에는 새로운 글리코겐을 함유한 상피세포가 돋아난다. 레이져 요법은 침윤암이 배제된 경우, 전체 병소를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고 내자궁 경부 소파결과가 음성인 경우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적응증은
병변이 커서 냉동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는 경우
자궁경부 표면이 불규칙하여 병변의 깊이가 다른 불규칙 자궁경부인 경우
병소가 질로 확대되거나 질에 위성병소가 있을 때
광범위하게 선이 포함된 병소여서 가장 깊은 선열 이상의 치료가 이루어져야하는 경우이다.
(3) 루프환상 투열절제술(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국소마취하에서 절단과 응고를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1회 외래방문으로 진단과 치료적 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합병증 발생은 레이져 요법이나 원추 절개에 비해 낮다.
(4) 원추 생검(Cone biopsy)-원추 절제(Conization)***
원추 생검의 장점은 냉동치료와 전기소작, laser치료와 같은 국소 파괴요법과는 다르게 치료와 함께 조직표본으로 진단검사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①적응증
병소를 질확대경으로 볼 수 없는 경우
평평원주 접합부가 질 확대경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
내 자궁경부 소파결과 CIN2나 3에서 양성인 경우
세포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및 질확대경 검사결과가 상이한 경우
조직검사, 질확대경검사, 세포학적 검사에서 미세핌윤이 의심되는 경우 등이다.
②술기
원추 생검은 입원하에서 마취한 후에 시행하게 된다. 출혈, 감염 등의 문제 때문에 안전성을 고려하여 입원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원추 생검에 경관확대경을 보완적으로 사용하면 절제부위를 확실히 정할 수 있어서 positive margin률을 줄일 수 있다.
원추 생검시의 문제점은 출혈이다. 출혈방지를위해 혈관수축제(epinephrine, vasopressin)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심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vasopressin 0.5ml를 생리식염수 1,000ml에 희석하여 사용하되 사용량은 15~20ml 이내만 사용한다.
③Laser Scalpel Cone
CO2 laser 광선절제술로 원추 생검을 하면 출혈도 적고 직접 지혈되므로 편리하다.
④합병증(Complication)
원추생검의 주요 합병증은 출혈이다. 그 외에 경관 협착, 감염 자궁천공, 직장, 방광 손상 등이 있다. 원
추 생검 전 후 임신, 유산, 조산과의 관계는
4)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cervicogrphy)
비정형적 세포진검사 결과 후 2차 사정 방법으로 병소를 확인하고 질 확대경 검사 결과와 조직검사 결과와 비교한다. 자궁경부를 미세사진 촬영하여서 방사선과에서 흉부 X-선 검사를 판독하는 것과 동일하게 촬영된 슬라이드를 질 확대경 전문의사에게 보내여 자궁경부를 판독하게 하는 방법이다.
5) 원추생검(Conization of the cervix)
마취와 수술 후 합병증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6) Cervical Punch biopsy***
병변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pap smear를 하고 눈에 보이는 경우에는
colposcopocally directed biopsy를 시행한다. Cervical punch biopsy는 colposcopy하에서 병변을 확인하면서 시행된다. 만약 punch biopsy에서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지 않으면 conization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는 비정상 세포검사(Pap test)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된다.
절대적인 금기사항은 없으나 임신여성에서는 혈관 분포/기능상태(vascularity)의 증가에 의해 출혈이 과다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얻어진 조직은 자궁경부에서의 위치를 표시한 후 10% formalin solution에 넣는다. 대개의 경우에서 출혈은 심각하지 않기 때문에 거즈를 약 4시간 정도 Packin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6. 치료
1) 비정상상피내종양(ASCUS)의 치료
질 세포진 검사를 6개월 후에 다시 실시한다. 연속 2회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1년마다 질세포진 검
사를 받도록 한다.
검사결과가 반복적으로 ASCUS로 나오거나 좀 더 심한 분류로 나올 때는 질확대경검사, 자궁경부 확
대촬영술 및 HPV 유형검사를 해야한다.
검사결과가 1회 검사에서 ASCUS로 나오는 경우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이나 HPV 유형검사를 하고, 이
두 검사 중 한 가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오면 바로 질확대경 검사를 하고, 모두 음성이면 1년 뒤에
검사하도록 한다.
2) 저등급상피내종양(LSIL)의 치료
LSIL의 소견을 보이는 여성의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치유되나 일부여성에서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게된다. 치료의 결정은 환자에게 달려있으나 이 병소를 가진 여성의 15%에서 지속적 진행을 보이므로 병소부위를 박리해야한다.
3) 고등급 상피내종양(HSIL)의 치료
질 세포진검사에서 고등급 상피내종양(HSIL, moderate or severe dysplasia, CIN2 or CIN3 or CIS)을 보이는 경우에는 질확대경 검사와 조준생검(directed biopsy)을 해야한다.
치료 전 조직학적 진단이 정확하고 병소의 정도가 분명하게 결정되면 다양한 박리기술이 적용된다. 이들 치료는 외래에서 수행가능하며, 치료 후 재발률이 10% 정도 되므로 치료 후 1년간은 3개월 간격으로 세포학적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냉동요법 (cryotherapy)
세포내액을 결정화해서 경부의 상피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치료의 적응증은
CIN1,2, 병소가 1.0cm 이하로 작은 경우
외자궁경부에만 국한된 병소인 경우
내자궁경부 소파결과 음성인 경우
조직검사에서 내자궁경부선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2) 레이져 요법
질 확대경을 직접 보면서 치료의 깊이와 넒이를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으며, 치료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보통 3~4주의 치료기간이 걸리며, 3~4주후에는 새로운 글리코겐을 함유한 상피세포가 돋아난다. 레이져 요법은 침윤암이 배제된 경우, 전체 병소를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고 내자궁 경부 소파결과가 음성인 경우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적응증은
병변이 커서 냉동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는 경우
자궁경부 표면이 불규칙하여 병변의 깊이가 다른 불규칙 자궁경부인 경우
병소가 질로 확대되거나 질에 위성병소가 있을 때
광범위하게 선이 포함된 병소여서 가장 깊은 선열 이상의 치료가 이루어져야하는 경우이다.
(3) 루프환상 투열절제술(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국소마취하에서 절단과 응고를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1회 외래방문으로 진단과 치료적 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합병증 발생은 레이져 요법이나 원추 절개에 비해 낮다.
(4) 원추 생검(Cone biopsy)-원추 절제(Conization)***
원추 생검의 장점은 냉동치료와 전기소작, laser치료와 같은 국소 파괴요법과는 다르게 치료와 함께 조직표본으로 진단검사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①적응증
병소를 질확대경으로 볼 수 없는 경우
평평원주 접합부가 질 확대경 상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
내 자궁경부 소파결과 CIN2나 3에서 양성인 경우
세포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및 질확대경 검사결과가 상이한 경우
조직검사, 질확대경검사, 세포학적 검사에서 미세핌윤이 의심되는 경우 등이다.
②술기
원추 생검은 입원하에서 마취한 후에 시행하게 된다. 출혈, 감염 등의 문제 때문에 안전성을 고려하여 입원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원추 생검에 경관확대경을 보완적으로 사용하면 절제부위를 확실히 정할 수 있어서 positive margin률을 줄일 수 있다.
원추 생검시의 문제점은 출혈이다. 출혈방지를위해 혈관수축제(epinephrine, vasopressin)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심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vasopressin 0.5ml를 생리식염수 1,000ml에 희석하여 사용하되 사용량은 15~20ml 이내만 사용한다.
③Laser Scalpel Cone
CO2 laser 광선절제술로 원추 생검을 하면 출혈도 적고 직접 지혈되므로 편리하다.
④합병증(Complication)
원추생검의 주요 합병증은 출혈이다. 그 외에 경관 협착, 감염 자궁천공, 직장, 방광 손상 등이 있다. 원
추 생검 전 후 임신, 유산, 조산과의 관계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