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프로그램-장애영아를 위한 원스톱 치료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프로그램-장애영아를 위한 원스톱 치료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What?
1.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
2. 문제가 무엇인지
3. 어떤 사업을 하려고 하는지
4. 계획하는 활동의 실행계획은 어떻게 되는지

Ⅱ. Why?

Ⅲ. How?

Ⅳ. What Effect?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혹은 장애를 가진 영아들에게 적절한 조기교육을 제공하면 장애의 심화를 예방하고, 전반적으로 발달상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훌륭한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영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하여 적절한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장애아의 일생에서 매우 의미있고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를 크리티컬 피리어드라고 하며 많은 치료를 해주면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현재의 의료복지 실정에는 클라이언트가 센터를 찾아가는 것이 주된 과정이었으나 한 곳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치료 프로그램이 있다면 삶의 질이 보다 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꼭 치료 프로그램만이 아닌, 처음 집에서 이루어지는 케어가 매우 중요하고 그에 따른 부모의 교육도 중요하기 때문에 치료사가 모든 생활에 개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부모들만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한다면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장애영아의 경제적, 환경적 제한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치료지원 및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서로 협력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선진국(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EU 대부분 국가, 대만 등)에서는 ‘국가제도’로 시행되고 있는 ‘장애영아를 위한 가족중심 조기개입’이라는 프로그램은 ‘출생부터 36개월까지의 장애 및 발달지연 영아와 가족을 위한 통합 지원서비스’로 치료재활, 특수교육, 가족지원 등으로 세분화되어 국가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기본적 로드맵을 연구, 고안하여 각 지역마다 지원 체계를 구축, 동일하고 평등한 보편적 복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은 ‘장애영아와 가족’을 지원하는 ‘국가제도’로서의 로드맵조차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장애아의 출산은 곧 개인의 책임이 되어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는 고가의 재활 서비스를 전전하게 되고, 결국 가족과 가정 내에 정신적, 물질적 부담으로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출처: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아교실의 수업운과 서비스지원의 실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심리·행동치료전공, 주정권, 2016. 2)
(출처: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71431)
(출처: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아교실의 수업운과 서비스지원의 실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심리·행동치료전공, 주정권, 2016. 2)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180503164324931561#z)
□ 필요예산규모
센터(오피스텔)
60평 방 4개: 보증금 2천만원
월세: 180만원
관리비: 45만원
치료방 1개당 셋팅비
치료테이블: 70만원
높낮이 조절 발판, 책상: 30만원
바닥매트: 15만원
장난감, 서적: 50만원
워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12.12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2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